The discovery of new luminescent materials for use in light-emitting diodes(LEDs) has been of great interest, since LED-based solid state lighting applications a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in the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fields. Recent research trends have centered on the discovery of new luminescent materials rather than on fine changes in well-known luminescent materials. In a sense, the novelty of our study beyond simpl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existing phosphors. A good strategy for the discovery of new fluorescent materials is to introduce activators that are appropriate for conventional inorganic compounds, that have well-defined structures in the crystal structure database, but have not been considered as phosphor hosts. Another strategy is to discover new host compounds with structures that cannot be found in any existing databases. We have pursued these two strategies at the same time using composite search technology with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 In this study, using PSO, we have tracked down a search space composed of Sr-Al-Si-O-N and have discovered a new phosphor structure with yellow luminescence; this material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UV-LED applications
Aluminum-oxide(Al2O3) thin films were deposited by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plasma-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at room temperature using trimethylaluminum(TMA) as the Al source and O2 plasma as the oxidant. In order to compare our results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conventional thermal ALD method, Al2O3 films were also deposited with TMA and H2O as reactants at 280 oC.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the as-deposited Al2O3 film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XRD), X-ray photo-electric spectroscopy(XPS), atomic force microscopy(AF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Optical properties of the Al2O3 films were characterized using UV-vis and ellipsometry measurements. Electr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by capacitance-frequency and current-voltage measurements. Using the ECR method, a growth rate of 0.18 nm/cycle was achieved, which is much higher than the growth rate of 0.14 nm/cycle obtained using thermal ALD. Excellent dielectric and insulating properties were demonstrated for both Al2O3 films.
It is very important to treat infected livestock carcasses safely and quickly. In this study,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odo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carcasse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treatment of swine carcasses using the anaerobic burial composting method. While the carcasses were decomposed, the temperature remained high, at 40~55°C on average, and most of the carcasses were decomposed rapidly. The major odorcontributing substances in the buried composting method are sulfuric odor substances such as H2S, CH3SH, dimethyl sulfide (DMS) and dimethyl disulfide (DMDS), and the odor contribution of these substances is 93~99%. Among them, CH3SH, which accounts for about 56~89% of odor contribution, was the most representative indicator substance. Despite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the methane concentration in the digestion process was as low as 0.5~0.8% at the burial point of the carcass. The odor and methane produced during the decomposition of the carcasses decreased considerably during the discharge to the surface layer through the buried layer consisting of compo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aerobic high temperature burial composting is one of the most useful methods to treat carcasses of infected livestock.
Information about time spent in microenvironments plays a critical role in exposure assessment of the person concerned, considering that personal exposure rel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time-activity patterns of the population at risk as human activities impact the timing, location, and level of personal pollutant expos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the time-activity patterns of Korean adult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and to determine the time spent each day in microenvironments. The population-based study collected time-activity data of about 46,000 adults for two consecutive days on weekdays (n=28,152) and weekends (n=18,800). The mean times spent at one’s own house, workplace or school, other’s house house, restaurant or bar, other places, and transportation related to the whole sample of 28,152 people were 14.90 hrs (62.08%), 4.28 hrs (17.81%), 0.24 hrs (1.01%), 0.51 hrs (2.14%), 2.45 hrs (10.21%), and 1.62 hrs (6.74%) on weekdays, respectively. Looking at the total time spent indoors by adults in different countries, the following four countries were ranked as follows, from lowest to highest: USA > Canada > Korea > Hong Kong. Due to cultural, socioeconomic and climatic differences,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directly apply statistical data of other countries to the Korean situation. This paper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he proportion of persons in different locations changes by time of day, on weekdays and weekends. Here, we can see that over 90% of respondents were in a residence from about 11 PM to 5 AM, and the larg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in workplaces or schools and other places is found between 8 AM and 5 PM.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each facility group, the pollution level of local municipalities and the status of self-measuremen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using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workplaces to be managed are facilities of sensitive class, indoor parking lots and largescale store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total pollution level by facility group showed that the rate of contamination was the highest in the facilities where there are many sensitive users, including the subway station and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s. Through self-measurement, in the case of fine particle matter, it was found that it was present in amounts of 51.71 μg/m3, 50.72 μg/m3, 44.47 μg/m3 and 54.44 μg/m3 in medical institutions, day care centers, elderly care facilities and postnatal care centers,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facilities exceeding the standard in the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most of the pollutants in the facilities surveyed by the municipality are higher than the self-measured concentrations,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use of such pollution.
The changes in the aroma and spoilage odor emitted from eleven ‘Hongro’ apples during ten weeks’ storage were investigated using six types of metal oxide semiconductor gas sensor arrays. The gas sensors used in the evaluation were sensitive to apple-emitted aroma or spoilage odor, and a high reproducibility of 5%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r less was confirmed. Significantly, the change in apple-emitted aroma or spoilage odor was easily distinguished by the optimal gas sensor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r=0.992) between decay rate and sensitivity change was observed. The results of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signal patterns obtained by data standardization using the optimal gas sensor showed a clear classification between decayed sampler groups and undecayed sampler groups.
개별 사회 내, 폭력적 극단화와 테러리스트 급진화는 전 세계에 걸쳐 서 오늘날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폭력적 행위 의 극단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에 대해 실제 데 이터를 사용해서 분석한 경험적 연구는 매우 드물다. 관련 형사사법기관 에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발전시키기 위한 과학적 지식의 기반을 구축하 기 위해 이 연구는 잠재적 폭력적 극단주의활동 및 테러리스트로의 극단 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폭력적 극단화 및 테러리스트 급진화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과거 집단활동을 통한 비폭력적 집단활동 과 폭력적 집단활동, 그리고 정부에 대한 개인적 원망/불만 경험 등이 이 들의 미래의 폭력적 및 비폭력적 집단 활동에 대한 의사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개인의 폭력적 극단화 행동의 급진화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ᆞ인구통게학적 요인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 Homeland Security의 과학기술 연구지원을 받아 테러리즘과 폭력적 극단화에 관련 된 다양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Maryland 대학의 START 센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 데이터의 장점은 전 미국인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 된 429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과거의 집단 활동경험, 미래의 집단 활동에 대한 의사, 정부에 대한 불만 및 다양한 사회ᆞ인구통계학적 변수가 수집되어있고, 실험연구를 위해 수집되어 데 이터 수집절차에 실험연구기법을 사용하여 과학적 분석결과의 효과를 높 였다는 점이다. 연구분석결과, 과거의 비폭력적 집단활동경험은 미래의 비폭력적 집단활동의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부에대한 원망과 불만은 미래의 비폭력적 집단활동의사 뿐만 아니라 폭력적 집단활동의사 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폭력적 집단활동에 대한 의사에 특정 사회ᆞ통게학적 요인들이 비폭력적 집단활동보다 더 관련있게 나타 나는 영향요인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논의, 정 책적 함의 등이 결론과 논의에서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fine particles (PM2.5) pollution and to verify the necessity of managing PM2.5 in the indoor environment of public use facilities in Gyeonggi-d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for 24 hours ranged from 15.9 to 113.5 μg/m3 and averaged 42.5 μg/ m3, and for 6 hours, ranged from 20.4 to 167.1 μg/m3 and averaged 65.6 μg/m3. Average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subway stations, followed by nursery schools and indoor parking lots. 49 of the 55 sites investigated exceeded the 24hr-PM2.5 standard specified in WHO guidelines (25 μg/m3). The ratio of PM2.5 to PM10 was 70.2% for 24hr and 70.7% for 6hr on average. This means that PM2.5 tends to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total particulate pollution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that it is essential to control fine particulate matter in order to reduce total particulate matter in the indoor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ime to be sampled and total sampling time are one of important factors which affect PM2.5 concentration in indoor air quality;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concretely specify the time to be sampled and maximum range of total sampling time in the test method of PM2.5. Recently, regulations on PM2.5 in indoor environments have been strengthened in other countries due to its high risk to human health;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enforceable regulation in Korea. Given that PM2.5 is more harmful to human health than PM10,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proper policies and regulations to control PM2.5 in indoor environments.
With increasing public awareness regarding rado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radon to the public. We investigated the radon emissions from gypsum boards, which are known to emit relatively higher levels of radon among the building materials available on the market. Radon emissions were measured over three weeks using the closed chamber method with nuclear track detectors. For ceiling materials, the arithmetic mean of the radon emissions was 43.8 ± 42.2 Bq/m3 (geometric mean: 28.9 ± 5.6), 156.2 ± 150.5 mBq/m2/h per unit area (geometric mean, 103.1 ± 2.7) and 21.1 ± 19.9 mBq/kg/h per unit mass (geometric mean: 14.4 ± 2.6). Regarding the wall materials, the arithmetic mean of radon emissions was 24.1 ± 24.0 Bq/m3 (geometric mean: 15.6 ± 2.6), 133.3 ± 143.4 mBq/m2/h per unit area (geometric mean, 76.8 ± 3.0) and 13.0 ± 10.4 mBq/kg/h per unit mass (geometric mean, 9.5 ± 2.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er radon concentrations and emissions were detected in the ceiling materials than in the wall materials, but these values were lower than those previously measured in building materials.
디지털 매체의 사용이 확산되면서 이러한 매체의 최대 사용자인 청소년들이 유해매체물에 노 출되는 빈도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현행 청소년 유해매체물 규제 제도에 대해 유해매체물 심의 기준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현행 청소년유해매체물 심의 기 준에 의하면, 음란한 자태를 지나치게 묘사한 것, 성행위에 대해 그 방법 등을 지나치게 묘사한 것, 청소년 대상으로 성행위를 조장하는 등 성 윤리를 왜곡시키는 내용 등을 담은 매체들은 청소 년에게 유해한 매체물로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규제되지 않은 매체물도 많으며 또는 이와 유사 한 매체물들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여전히 활발하게 전파되고 있다. 나아가 때로는 동법에서 보 호하는 청소년이 이러한 매체물들을 직접 생산⋅전파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빈번한 현상을 볼 때, 보다 실질적인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그 방안으로서, 청소년 유해성의 개념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의 인권을 존중하는 범위 내에서 청소년의 보호가 어떠한 의미인지에 대해 현 시대에 적합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법적인 규제와 자율 규제를 조화롭게 운영하여 보다 실효성있는 규제 체계를 정립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보다 명확한 심의 기준을 바탕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In order to reduce odor and methane emission from the landfill, open biocovers and a closed biofilter were applied to the landfill site. Three biocovers and the biofilter are suitable for relatively small-sized landfills with facilities that cannot resource methane into recovery due to small volumes of methane emission. Biocover-1 consists only of the soil of the landfill site while biocover-2 is mixed with the earthworm casts and artificial soil (perlite). The biofilter formed a bio-layer by adding mixed food waste compost as packing material of biocover-2. The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over time on biocover-1. However, biocover-2 and the biofilter showed stable odor removal efficiency. The rates of methane removal efficiency were in order of biofilter (94.9%)>, biocover-1(42.3%)>, and biocover-2 (37.0%). The methane removal efficiency over time in biocover-1 was gradually decreased. However, drastic efficiency decline was observed in biocover-2 due to the hardening process. As a result of overturning the surface soil where the hardening process was observed, methan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gain. The biofilter showed stable methane removal efficiency without degradation. The estimate methane oxidation rate in biocover- 1 was an average of 10.4%. Biocover-2 showed an efficiency of 46.3% after 25 days of forming biocover. However, due to hardening process efficiency dropped to 4.6%. After overturn of the surface soil, the rate subsequently increased to 17.9%, with an evaluated average of 12.5%.
전 세계적인 테러위협의 확산은 우리사회에도 어떤 의미 있는 하나의 근심거리를 던지고 있다. 비록 아직 테러공격이 본격적으로 우리사회 내 에서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상황을 낙관적으로 지켜볼 수만은 없는 우려 가 있다. 2016년 3월 국회본회의를 통과한 테러방지법은 점증하는 테러 위협에 대한 우리사회의 대응노력의 중요한 한 전진이다. 이 테러방지법 은 국정원과 관계기관 행위를 규율하는 행정법으로서의 성격과 테러범 처벌을 위해 재판에 적용하는 사법법으로서의 성격, 그리고 테러범죄 요 건과 법률효과를 규정하는 실체법으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내용 적인 면에서는 테러의 예방과 대응 및 테러피해 보전을 규정하고 있다. 이제 이러한 테러방지법의 통과로 정부는 실제로 테러예방 및 대응, 그 리고 테러피해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 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테러방지법의 내용을 살펴보고 테러대상시설 에 대한 안전관리활동이 테러방지법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살 펴볼 것이다. 또한 테러방지법을 근거로 한 안전관리 강화방안에 관해 제안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odor characteristics of paprika with metal oxide gas sensors. Non-decayed paprika and decayed paprika were assessed by sensor array system comprising 10 kinds of sensors. Three representative sensor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10. Selection was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nsors from the results of the sensor array assessment on non-decayed paprika. It was found that the odo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aprika can be assessed by metal oxide gas sensors and that the odo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aprika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gas sensors. The odor characteristics of paprika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l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cay, the location of decay, the type of sensor, and the passage of time. Regardless of decay, the sensor response value of orange paprika was the highest, with the 2611 sensor yielding the highest response value. The SB-AQ1 sensor could not identify the difference in odo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decay, while detection was possible by both SB-41 and 2611 sensors.
Recent industrial developments have increased the us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dors (e.g., are hydrogen sulfide, mercaptan- type, amine- type and other irritating pungent gaseous or volatile substances)., which are disgusting and disgusting to humans. Currently, regenerative thermal oxidation (RTO), regenerative catalytic oxidation (RCO), Carbon Adsorption Tower, etc. are used for their control to remove VOCs. In this experiment, we report the use of silicon carbide (SiC) for the control of four common VOCs called BTEX (i.e.,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and, xylene (BTEX))., which is a representative material of VOCs, was removed by using silicon carbide (SiC). The heating SiC was heated be tween 400oC and 700oC in a microwave,. As a result, we observed the removal efficiency of BTEX from 10 ppm to 50 ppm was. At 400oC and 500oC, 0.6~60.3% and 11~64.7% the removal efficiency were achieved, with exponential increase at the temperature from 500oC. At 600oC, it showed more than 69.0~100% removal efficiency of most BTEX materials. Finally, At 700oC, it was confirmed that all BTEX materials were completely removed.
오늘날 예술에 있어서 공포의 표현은 인간성의 상실, 환경의 파괴, 인간관계에서의 소통의 부 재 등을 소재로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술작품에 표현된 공포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감정은 사회적, 외부 환경적, 심리, 유전적 원인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여러 예술 장르 중 영화는 이러한 공포 유발의 원인들을 표현하기 위해 이야기(내용)와 영상이미지(형식)를 함께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관객의 공포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공포영화에 있어 공포를 유발하는 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관객 수용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포영화의 이미지와 표현방법에 대한 관객 인식유형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 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방법론 중 하나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공포 영화 속 혐오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적 감정의 상태와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신체적 가해에 대한 공포 감정을 느끼는 유형이 다. 이 유형은 잔인함 혹은 신체적 가해로 인해 나타나는 불안함을 공포의 감정으로 표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낯섦에 대한 공포는 알려지지 않는 악령이나 초자연적 현상 혹은 여성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기형적 혐오성에 대해 공포를 느끼고 있는 유형은 이질적인 것들 인간과 다른 괴물이나 외계 생명체에 대해 공포의 감정을 갖고 있는 유형이다. 이러한 분석으로 도출되는 가설을 바탕으로 추후 계량적 방법론을 통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 된다면 더욱 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children who use day-care centers is increasing. Most indoor air quality (IAQ) management has been based on daily average pollutant concentrations measured once a year. A mor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IAQ is needed to protect children’s health from air pollutants in day-care cent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eekly variation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in a nursing room of a day-care center located at the roadside for a week in June of 2014. Average concentrations of CO2, PM10, black carbon, and total surface area of lungdeposited particles during nursing time of the day-care center were 510 ppm, 27.8 μg/m3, 1.87 μg/m3, and 30.6 μm2/cm3, respectively, with a similar diurnal pattern shown on weekdays.
Since people spend more than 85% of their time indoors, understanding indoor aerosol behavior is important in order to protect human health against aerosol exposure. In this article, exposure, behavior, and control technologies for indoor aerosols are addressed.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16 were reviewed. Most studies were focused on field surveys of PM10 concentration in public facilities regulated by law. More fundamental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control indoor aerosols effectively due to the fact that Korea has different building structures and lifestyles compared with western countries.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는 1987년 물질특허제도를 도입하면서 함께 도입하였고, 의약품의 기존 특허권 존속기간을 최대 5년까지 연장해 주 고 있다. 우리나라 특허법 제89조에 의하면, 특허발명을 실시하기 위하 여 다른 법령에 따라 허가를 받거나 등록 등을 하여야 하고, 그 허가 또 는 등록 등을 위하여 필요한 유효성·안전성 등의 시험으로 인하여 장기 간이 소요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발명인 경우에는 제88조 제1항에도 불구하고 그 실시할 수 없었던 기간에 대하여 5년의 기간까지 그 특허권 의 존속기간을 한 차례만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의약품은 특허권 존속기간 만료시점에 가까울수록 매출이 급증하는 경 향이 있어, 특허권 존속기간의 연장기간 문제로 원개발의약품 특허권자 와 일명 복제의약품을 제조하는 우리나라의 제약회사 간의 이해관계는 첨예하게 대립된다. 특히, 복제의약품 출시 과정에서 특허무효심판 또는 권리범위확인심판을 통한 특허도전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경쟁사 들보다 한발 앞서 연구개발에 착수하여 우선판매품목허가를 취득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의 연장기간 산정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관련 쟁점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논의의 순서 는 먼저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를 검토하고, 이 제도가 외국 에서는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외국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비교법적 검 토를 행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특허법원이 국내 최초로 제시 한 존속기간의 연장기간 산정기준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평석을 통하여 특허법원이 제시한 산정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최종 적으로 원개발의약품 특허권자와 복제의약품 제조업체 간의 합리적인 이 익조정을 위하여 우리 의약업계의 현실에 부합하는 특허권 연장기간 산 정기준의 개선방안을 다루기로 한다.
본 연구는 사전지식 수준이 어떠한 조절요인을 통해서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는지를 검 토하였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관여도와 뉴스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 관여도 구성 요소중 이슈관여, 가치관여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고, 뉴스신뢰도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검토한 결과, 정보전달과 정보공유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과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관계에서 관여도와 뉴스신뢰도가 조절 요인으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두 조절요인으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좋아요’에는 뉴스신뢰도와 가치관여가 조절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달기’는 가치관여가 가장 높게, 정치관여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공유하기’의 경우엔 뉴스신 뢰도, 이슈관여, 정치관여, 가치관여등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국의 다양한 영화기금정책 중 관객교육과 관련된 지원정책에 대한 것으로, 영국 영화기금의 조성 현황, BFI의 영화기금 지원정책, BFI의 영화교육 또는 관객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첫째, 영국 영화기금의 조성은 다양한 정부 기금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금은 국가복권기금과 영국 국세청기금으로 전체 금액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둘째, BFI의 영 화기금 지원정책은 크게 영국영화지원과 영화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BFI 지출의 상당부분은 영 국영화에 대한 제작 지원금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영국 내 미국영화의 점유울이 높아짐으로 써 독립적이고 실험적인 자국 영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BFI는 자국 영화 제작지원과 함께 영화교육에 대한 지원도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BFI의 영화교육은 1960년대 이후 계속해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그동안 매우 다양한 접근과 실천이 이루어져왔다. 최근에는 Into Film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수의 학교에서 영화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Into Film은 그동안 FILMCLUB과 First Light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다루면서 영화교육의 확대를 지향하고 있는 프 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FI 다양한 프로젝트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실험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 일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