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09

        26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령버섯의 자실체가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 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생후 5주령의 흰쥐에 표준식이를 급여한 정상 식이군(NC), 정상 식이에 10%의 대두유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급여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C),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신령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첨가하여 급여한 군(HC+AB) 등 3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HC에 비해 HC+AB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NC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식이섭취량은 NC에 비해 H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의 총콜레스테롤(TC), LDL-콜레스테롤(LDL-C), 중성지방(TG)의 농도는 HC에 비해 N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와 LDLC/HDL-C의 비율도 HC에 비해 N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의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도 NC와 HC+AB가 HC에 비해 조금 낮았다. 간기능의 척도를 나타내는 혈청의 GOT와 GPT 효소의 활성은 NC,와 HC+AB가 HC에 비해 낮았지만 유의성을 없었고, ALP의 농도는 HC에 비해 N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아서 신령버섯 자실체 분말의 급여가 흰쥐의 ALP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 5-6주 사이에 배출된 변을 채취하여 분석한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은 HC+AB가 NC와 HC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식이로 섭취한 일부의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변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신령버섯의 자실체 분말을 5% 수준으로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의 TC, LDL-C 및 TG의 농도와 동맥경화 수치(AI)가 정상 수준을 유지하고 지방간의 발생도 억제되는 효과가 현저히 나타나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의 섭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개선에 신령버섯의 자실체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6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aluronic acid is natural polysaccharide existing around skin or cartilage, and is known as a moisturizing factor. It is expected that hyaluronic acid cosmetics market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as its use and demand increases, like medical supplies and health food besides cosmetics containing hyaluronic acid. However, There are few present studies on content in cosmetics containing hyaluronic aci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atisfaction and examine what effect was produced on sebum and moisture in skin after applying to cosmetics the hyaluronic acid helpful in maintaining moisture in skin at 5%, 20% and 50% concentration. For 71 days, a clinical trial in a total 39 persons liv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was carried out. And sebum and moisture was measured through skin diagnosis system A-ONE TAB before trial and each day when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for hyaluronic acid content group. Besides, this study was to examin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living habits, and satisfaction after the clinical trial. This study analyz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to measure the skin condition among hyaluronic acid content groups by utilizing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v. 21.0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yaluronic acid content according to an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living habits among groups (p>.05). With regard to hyaluronic acid cont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isture and sebum prior to clinical trial in T zone and U zone among groups (p>.05). A change of moisture in T zone among groups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nd week (F =3.636, p<.05). And the highest level was shown in 50%(44.15±2.672), being followed by 20%(43.15±2.340), and 5%(41.62±2.219).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as hyaluronic acid content relatively increased, the moisture in T zone increas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nge of moisture in U zone, the change of sebum in T zone and U zone by group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ebum level of T zone by group(p>.05). For analyzing the subjective satisfaction after clinical trial among groups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satisfaction score was the highest in 'skin moistness' (4.38±0.650) for 5% group, 'skin moistness' (4.69±0.480) for 20% group and 'skin texture smoothness' (4.54±0.519) for 50% group.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each subjective satisfaction by group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p>.05). It wa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skin condi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would b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cosmetics containing the hyaluronic acid and marketing a skin moisturizer.
        4,600원
        26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human's average lifespan is gradually increased, the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is also increasing. More and more customers like to use the facial manual technique as a way to live a healthy life, instead of using it as measures to simply improve skin troubles or to have beautiful skin. The facial manual technique performed in the skin care stag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rease of stres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facial manual technique on the decrease of stres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same method by dividing 16 women residing in Seoul into four groups,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16. To underst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ual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facial manual technique through questionnaire, th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22.0 program.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see changes in stress, LF, HF, LF/HF, average pulse, pulse standard, and average deviation before/after experiment. The stress index was decreased in every group. Especially, the group of the 20s showed a huge decrease(24.3%), which was significant to every group except for the 50s. In the results of LF, the group of the 20s and of the 30s increased 2.8% and 4.6%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 In the group of the 40s, it was increased 4.0% while it was decreased 1.2% in the 50s. Rather than women in climacteric age, it was more effective for women in younger age. In results of pulse standard, it was increased 36.5% in the 20s, 63.6% in the 40s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p<0.05, p<0.01). In the group of the 30s and 50s, the significant values were not shown although it was still increased 48.3% and 65.1% respectively. In the survey of the facial manual technique, the whol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its effects on the decrease of stress. A majority of them took easy to control feelings, and it was highly possible for them to use it perio-dically in the future. It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facial manual technique could play a role on recover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decrease of stress. It could be considered as a safe and effective healthcare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s life.
        4,500원
        26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교개혁의 신앙전통의 계승을 강조하고 있는 재림교회의 설립자 중 한 사람인 엘렌 화이트의 루터 이해를 역사신학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이트의 루터 이해는 그녀의 대표작인 『대쟁투』 시리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화이트의 루터에 대한 연구는 루터 탄생 400주년인 1883 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884년부터 1888년까지 이어진 『각 시대의 대쟁투』에서 루터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특별히 루터에 대한 그녀의 글들은 메를 도비녜와 같은 19세기 교회사가들의 글들을 인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그녀는 루터를 선악의 대쟁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소개하고 있다. 이런 목적에 따라서 그녀는 루터를 위대한 개혁자로 소개하면서 루터의 전기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서 루터에 대한 역사적 오해들을 반복한다. 아울러 루터의 인간적인 면모들, 즉 결혼 이슈, 농민운동에 대한 부정적 평가, 반유대주의적 행동 등 역사학적 이슈들은 다루지 않았다. 이처럼 화이트의 루터 이해는 대쟁투적 관점에서 종교개혁을 완성시킨 인물됨을 부각시키려는 기록 의도와 더불어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
        6,400원
        27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임업의 6차 산업화 추진실태를 조사하여 임업의 6차 산업화 현황과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임업분야 6차 산업화 정책의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임업의 6차 산업화 실태조사를 위해 독림가, 임업후계자, 신지식임업인 5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업체의 경영형태, 6차 산업화 추진 유무, 6차 산업화 유형분류, 6차 산업화 추진기간 등의 주요 설문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업체의 경영형태는 개별임가 주도형이 가장 많았고, 임산물의 판매는 직거래를 통한 판매경로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임업의 6차 산업화를 추진 중인 응답자는 222명으로 전체의 42.5%이었으며, 1+2차 산업 추진비율이 69.8%로 나타났다. 임업의 6차 산업화 유형을 구분하면, 단기소득임산물 생산, 단기소득임산물 가공, 체험·관광·교육, 산림휴양·치유, 목재생산, 목재가공, 유통·판매, 음식업, 숙박업 중심형의 9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매출액 기준으로 임업의 6차 산업화 모델을 도출하면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체험, 단기소득임산물 생산·가공, 목재생산·가공, 산림휴양·치유 중심형 4가지로 나타났다. 임업분야의 6차 산업화는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에 가공과 체험·관광·교육이 연계하여 발전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72.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has been mostly caught by the Korean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Korean waters. The annual catch of Pacific bluefin tuna caught by the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Korean waters showed less than 1,000 mt until the 1990s except for 1997. The catch sharply increased to 2,401 mt in 2000 and recorded the highest of 2,601 mt in 2003, but the catch has generally decreased with a fluctuation thereafter. The main fishing ground of Pacific bluefin tuna of this fishery is formed around Jeju Island. However, it expanded to the Yellow Sea, the coastal of Busan, and the East Sea, which depends on the migration patterns of Pacific bluefin tuna by season. The CPUE standardization of Pacific bluefin tuna was conducted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 (GLM) to assess the proxy of the abundance index. The data used for the GLM were catch (weight), effort (number of hauls), catch ratio of Pacific bluefin tuna, moon phase by year, quarter and area. The standardized CPUE from 2004 to 2011, except for 2003 and 2010, showed a steady trend, and then increased until 2014. The CPUE in 2015 decreased, and in 2016 was higher than that in 2015. The result of GLM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he catch ratio of Pacific bluefin tuna is the largest factor affecting the nominal CPUE.
        4,000원
        27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음향 모델은 수중과 해저 음파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해저 지층의 물성과 음향 특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동해 남서부 내대륙붕에 위치한 울산 해역의 SSDP-105 시추 지점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수심 79 m의 연안 퇴적 지층에서 52 m 심도의 3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음향 모델은 연구 해역의 SSDP-105 심부시추 코어 자료와 스파커 탄성파 단면 자료에 근거한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지음향 특성값은 Hamilton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하부 현장 심도의 특성값으로 보정하였다.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울산 연안해역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특성을 반영하는 중·저주파수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4,000원
        27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reviews on nano-materials as part of a study to apply nano-technology related technologies to the construction field. First, the synthesis method of nano-materials was examined. Secondly, the mechanical application method of nano-materials was investigated. Finally, the analysis method of nano-materials was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