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3.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2O3-SiC ceramic composites are produced using pressureless sintering, and their plasma resistance, electr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evaluated to confirm their applicability as electrostatic-discharge-safe compon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Through the addition of Mg and Y nitrate sintering aids, it is confirmed that even if SiC content exceeded 10%, complete densification is possible by pressureless sintering. By the uniform distribution of SiC, the total grain growth is suppressed to about 1 μm; thus an Al2O3-SiC sintered body with a high strength over 600 MPa is obtained. The optimum amount of SiC to satisfy all the desired properties of electrostatic-discharge-safe ceramic components is obtained by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sma resistance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as a function of SiC amount.
        4,000원
        24.
        201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ies of 600 MPa-grade high strength and seismic resistant reinforcing steels. The high strength reinforcing steel (SD 600) was fabricated by Tempcore processing, while the seismic resistant reinforcing steel (SD 600S) was air-cooled after hot-rolling treatment. The microstructur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D 600 steel specimen consisted of a tempered martensite and ferrite-pearlite structure after Tempcore processing, while the SD 600S steel specimen had a fully ferrite-pearlite structure. The room-temperature tensile test results indicate that, because of the enhanced solid solution and precipitation strengthening caused by relatively higher contents of C, Mn, Si and V in the SD 600S steel specimen, this specimen, with fully ferrite-pearlite structure, had yield and tensile strengths higher than those of the SD 600 specimen. 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of the SD 600 and SD 600S steel specimens chang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location, dependent on the microstructure, ferrite grain size, and volume fraction.
        4,000원
        2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이미 보고된 잉여 태양에너지 관련 연구결과와 현재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냉난방용 FCU 현황을 개략적으로 검토한 후, 잉여 태양에너지 회수에 필요한 FCU의 소요대수 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여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자 및 기술자들에게 기조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최대, 평균 및 최저 외기온은 각각 28.2oC, 4.4oC 및 -11.5oC정도였다. 온실 밖의 수평면 일사량은 0.8~20.5MJ·m-2로 정도의 범위였으며, 평균 및 총 일사량은 10.8MJ·m-2 및 1,187.5MJ·m-2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간동안 온실 내의 평균기온과 상대습도는 각각 18.8~45.5 및 53.5~77.5%정도였다. 실험기간 동안 온실로부터 회수한 총 잉여 태양에너지는 6,613.4MJ정도로서 총 난방에너지인 98,600.2MJ 약 6.7%정도를 보충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양이 유사한 FCU를 사용하지만, 난방을 위하여 설치되는 FCU의 대수는 제각각 다른 것을 알 수 있었고,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관점에서 설치높이, 방향 및 설치 간격, 적정 대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잉여 태양에너지 회수용 FCU의 적정 소요대수는 FCU를 통과하는 공기의 질량 및 순환유량을 기준으로 각각 8.4~10.9대 및 6.1~8.0대 정도이었다. 여기에 계산방법이나 FCU의 효율 및 사용 환경 등 위험률을 고려하면, 결국 9대 전후(약 24m3당 1대 정도)를 설치하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파이럴 기초를 국내 온실 기초로 사용한 사례는 거의 없으며 일본에서 스파이럴을 온실 기초로 사용한 사례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스파이럴 기초가 다른 분야에서 연약지반 보강 기초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 앞으로 온실기초의 보강을 위한 기초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파이럴 기초의 기초 설계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모형실험을 통해 기초의 매립깊이, 흙의 다짐률, 스파이럴 직경, 흙에 따른 인발하중 측정결 과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농경지 및 간척지 흙의 극한 인발저항력 비교결과 농경지 흙이 간척치 흙보다 상대적으로 1.2~3.0배 더 큰 값을 나타냈다. 또한 두 흙 모두 매립깊이, 다짐률이 증가할수록 극한 인발저항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고, 모두 비슷한 하중-변위 곡선을 보였다. 실험조건에 따른 극한 인발저항력은 매립깊이 증가에 따른 인발 하중 상승효과 보다 직경 크기 증가에 따른 상승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다짐률 증가에 따른 극한 인발저항력은 다른 조건들에 비해서 증가 폭이 상당히 큰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농경지뿐만 아니라 간척지와 같이 연약지반에 스파이럴 기초를 설치할 경우에도 기초의 매립깊이, 다짐율, 스파이럴 직경 등을 증가 시키면 인발저항력이 높아져 연약지반 보강 기초로 사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강풍 피해의 절감을 위하여 서까래 파이프 및 파이프 줄기초의 설계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온실의 지반고정을 위해 일반농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서까래 파이프와 내재해형 규격의 단동온실에 주로 사용되는 파이프 줄기초를 대상으로 토성, 다짐도 및 매입깊이에 따른 인발저항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극한인발저항력은 가장 단단한 지반조건인 다짐률 85%, 최대매입깊이 50cm를 기준으로 파이프의 경우는 간척지 흙(실트질 롬) 72.8kgf, 농경지 흙(사질 롬) 60.7kgf, 줄 기초의 경우는 간척지 흙 452.7kgf, 농경지 흙 450.3kgf 으로 줄기초의 경우 파이프 보다 약 6배 이상 인발저항력이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토성은 모래함량 35%~59%, 실트함량 39%~58%으로 극한인발저항력이 토성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온실의 파이프(서까래) 및 줄 기초를 설치할 때 적절한 다짐조건을 유지한다면 토성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온실의 지반고정에 대한 안정성 확보에 크게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준으로 줄기초는 다짐률 75% 이상, 일반 파이프의 경우에는 다짐률 85%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온실의 안정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내재해형 규격인 줄기초를 적용한다면 기상재해에 따른 온실의 안정성 확보에 크게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제되지 않은 ZnO 및 TiO₂나노입자를 M4배지에 노출시켜 두 나노입자가 어느 정도 크기의 응집체로 변화되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두 나노입자가 수생태계 생물종인 Daphnia magna에 어떠한 영향을 초래하는지 유영저해 및 폐사율을 통해 살펴보았다. ZnO 및 TiO₂나노입자의 분말상태 크기는 각각 20 nm와 40 nm였지만, M4배지에서는 1333 nm와 1628 nm로 약 40~70배의 크기로 응집되었다. 유영저해의 경우 ZnO와 TiO₂나노입자 모두 시간 및 농도가 높아질수록 D.magna가 유영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ZnO나노입자가 TiO₂나노입자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사율의 경우 ZnO나노입자에서는 시간 및 농도가 높아질수록 폐사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TiO₂나노입자에서는 72시간이 경과된 시점의 10 ppm 이상의 농도에서 폐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나노입자가 해양에 유입됨으로 인해 원래의 크기에 비해 응집되어 증가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그 응집체로 인해 수생태계 생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최대 담수호인 소양호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Flavobacterium을 분리하여 그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 97%와 98% 사이의 상동성을 지니는 Flavobacterium을 대상으로 21종을 선택하였으며, 그 균주들의 생리학적, 생태학적 위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양호에 존재하는 21종의 분리된 Flavobacterium은 4개의 주된 node에 위치하였으며, 그 중에서 대부분이 하나의 group에 속하여 있었다. 각 Flavoacterium 21종의 생리적인 특징은 기존의 보고된 Flavoacterium들과는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지만, total fatty acid의 분석결과 iso C15:0과 summed feature 3 (comprised C16:1 ω7c and/or C16:1 ω6c)가 주요 성분으로 전형적인 Flavobacterium의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양호내에는 유전적 유연관계가 있는 아변종의 Flavobacterium이 존재하며, 기존에 알려진 종들과는 다른 형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소양호 생태계의 생물 종 다양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2.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powder metallurgy and severe plastic deformation by high-pressure torsion (HPT) approaches were combined to achieve both full density and grain refinement at the same time. Water-atomized pure iron powders were consolidated to disc-shap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using HPT of 10 GPa up to 3 turns. The resulting microstructural size decreases with increasing strain and reaches a steady-state with nanocrystalline (down to ~250 nm in average grain size) structure. The water-atomized iron powders were deformed plastically as well as fully densified, as high as 99% of relative density by high pressure, resulting in effective grain size refinements and enhanced microhardness values.
        4,000원
        33.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een strength is an important property of powders since high green strength guarantees easy and safe handling before sintering. The green strength of a powder compact is related to mainly mechanical and surface characters, governed by interlocking of the particl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owder surface roughness on the green strength of iron powders was investigated using a transverse rupture test. Three-dimensional laser profiler was employed for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surface roughness. Two different surface conditions, i.e. surface roughness, of powders were compared. The powders having rough surfaces show higher green strength than the round surface powders since higher roughness leads increasing interlocked area between the contacting powders.
        4,000원
        3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에서 Betaproteobacteria의 종다양성을 조사하였고, 신분류군 후보 22균주를 확보하였다. 분리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Burkholderiaceae (3균주), Comamonadaceae (8균주), Oxalobacteraceae (5균주) 및 Neisseriaceae (5균주) 등 4개 과에 속한 15속, 그리고 소속 미상의 Burkholderiales 소속1속(1균주)으로 동정되었다. Chr
        4,000원
        3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한라산에 위치한 국내 최대규모의 고산습지인 숨은물벵뒤 습지의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강에 속하는 세균 종의 다양성을 조사하였고, 신분류군 후보 균주 19종을 확보하였다. 신종후보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을 때 표준균주와 98.7% 미만의 유사도를 보이는 균주들을 신종후보균주로 간주하였다. 총 19종의 세균이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
        4,000원
        3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한라산의 숨은물벵뒤 습지는 여러 다른 생태계에 비해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생물다양성이 높다고 여겨져 왔으나, 세균의 다양성과 새로운 종에 대한 보고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의 고산 습지인 숨은물벵뒤 습지에서 담수 및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acteroidetes, Firmicutes, Actinobacteria문에 속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 중 위의 3개의 문에 속하는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
        4,300원
        3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current study,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on compaction behavior of water-atomized pure iron powders are investigated. The iron powders are assort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20-45 , 75-106 , and 150-180 for the compaction experiments. The powder compaction procedures are processed with pressure of 200, 400, 600, and 800 MPa in a cylindrical die. After the compaction stage, the group having 150-180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shows the best densification behavior and reaches the highest green density. The reason for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largest average grain size in the largest particle group, due to the low plastic deformation resistance in large grain sized materials.
        4,000원
        3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하며 열에 민감한 기능성 물질의 전달체로 이용될 수 있는 beta-lactoglobulin (β-Lg) 나노입자 연구는 건강 기능성 유식품 개발에 기여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rotein self-assembly 방법을 이용하여 β-Lg나노입자를 제조하고, 투과 전자 현미경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β-Lg나노입자 제조 공정요인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 형태 및 화학적 특성 연구가 수행 되었다. 65℃ 열처리 온도와 1mM CaCl₂에서는 β-Lg나노입자가 형성 되지 않았다. 그러나 CaCl₂농도가 2mM에서 5mM로 증가 함 에 따라 나노입자 형성이 관찰 되었고 그 입자 크기도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Cl₂농도가 증가 할수록 turbidity 값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CaCl₂농도 증가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적 변화는 β-Lg와 Ca²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온도가 55℃에서 85℃로 증가함에 따라 β-Lg나노입자 크기가 증가 하였고, 이러한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적 변화는 β-Lg의 내부 free sulfhydryl 기와 관련된 분자간의 disulfide 결합이 입자형성에 관여함 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나노입자 형성과 입자크기 조절에는 CaCl₂농도와 열처리 온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Hair care products are mainly prepared by mixing chemicals and natural extracts, such as those obtained from medicinal 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ic extracts from the whole plant of Houttuynia cordata and tymosin β4 powder mixtures on the growth of HaCat cells,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and 3T3-L1 cells. Methods and Results : In the ratio of tymosin β4 more than 10% concentrations, the cell viability of HaCat and HFDPC cell were increased by higher tymosin β4 concentrations. The mixtures of 70% ethanolic extract of H. cordata and tymosin β4 had no toxicity potential to 3T3-L1 cell viability. In this test, the content of thymosin β4 was higher concentration, a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increased. The lipid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dipogenesis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treatment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optimal mixture ratio of hair growth effect was 70% ethanolic extract of H. cordata solution 50% and tymosin β4 solution 50%. This mixture solution could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hair care products.
        4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Lentinula edodes contain a variety of biosurgical substances and a large amount of beta-glucan, which is known for immune-boosting effects. L. edodes was cultivated in nation wide of Korea. And, almost farmhouse using imported strains from Japan and Chin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e the excellence of domestic strains to replace imported strains.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beta-glucan content, which is a unique immune component of domestic and imported strains, was compared to the native immune component of domestic L. edodes strains and imported L. edodes strains. In this test, the Korean strains such as Baekwahyang, Sanjo303ho, Suhyanggo, Cheonbaekgo, and the imported L. edodes strains is Mori290, Moriyujiro.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s.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ranged 3.74 - 5.50% in ash, 15.22 - 25.84% in crude protein, 0.93 - 1.43% in crude fat, 6.95 - 9.89% in crude fiber of Korean L. edodes strains and imported L. edodes strains, respectively. Major minerals of Korean L. edodes strains and imported L. edodes strains were potassium (684 - 904.05 ㎎%), calcium (0.46 - 0.65 ㎎%), sodium (8.77 - 11.01 ㎎%), magnesium (30.45 - 33.93 ㎎%). The content of beta-glucan from Korean L. edodes strains and imported L. edodes strains were ranged from 35.69% to 38.68%. Conclusion : As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were showed the no difference between Korean L. edodes strains and imported L. edodes strains. These results are meaning that the Korean L. edodes strains quality of the components is not inferior to imported strains. We expected that the Korean L. edodes strains could replace imported L. edodes strain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