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2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접목선인장 신품종 ‘황운’은 해외 수출용 목적으로, 황색과 오렌지색을 가진 복색의 ‘황월’ 품종을 모본으로 황색의 계통 ‘0111021’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8년에 개발되었다. 이 품종은 처음 기내에서 무병삼각주에 접목 된 후 100 mL 시험관에 정식되어 6개월간 생육되었다. 2005년에 기외에서 접목한 후에 2008년까지 3회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구는 황색의 편원형이며, 몸체에 7~9개의 결각이 있으며, 갈색의 직립형 가시를 가지고 있다. 10개월간 재배되었을 때 구의 직경은 40.9mm로 대조 품종 ‘후광’에 비해 구가 작고, 자구 착생수는 평균 22.3개로 ‘후광’ 품종에 비해 우수하였다.
        3,000원
        24.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jority of strokes are caused by ischemia and result in brain tissue damage, leading to problem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cluding hemiparesis, dysfunction of language and consciousness, and dysfunction of perce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ly(ADP-ribose) polymerase(PARP) on necrosis in neuronal cells that have undergone needle electrode electrical stimulation(NEES) prior to induction of ischemia. Ischemia was induced in male SD rats(body weight 300g) by occlusion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for 5 min, after which the blood was reperfused. After induction of brain ischemia, NEES was applied to Zusanli(ST 36), at 12, 24 and 48 hours. Protein expression was investigated using immuno-reactive cells, which react to PARP antibodies in cerebral nerve cells, and Western blot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erebral cortex, the number of PARP reactive cells after 24 hours significantly decreased(p<.05) in the NEES group compared to the GI group. PARP expression after 24 hours significantly decreased(p<.05) in the NEES group compared to the GI group. As a result, NEES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necrosis- related PARP immuno-reactive cells 24 hours after ischemia, indicating necrosis inhibition, blocking of neural cell death, and protection of neural ce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EES can be an effective method of treating dysfunction and improving function of neuronal cells in brain damage caused by ischemia.
        4,000원
        2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미 재배종은 오랜 기간 동안 종간교잡과 종내교잡을 통해 선발되어 온 것으로서 대 부분이 이형잡종의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아율이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화 분의 활력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색액과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7품종의 화분 임성율과 발아율 검정하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화분의 크기, 배수 성 및 교배조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화분 임성율은 ‘스칼렛미미’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피노키오’가 39%로 가장 낮았다. 발아율 관찰 결과 ‘스칼렛미미’가 41%로 가장 높았으며 ‘미니로사’가 1%로 가장 낮았다. 화분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화분은 큰 화분 과 작은 화분으로 구분되었으며 화분의 직경은 각각 41.3- 45.4 μm과 30.7-37.4 μm로 관찰되었으며 화분의 크기는 10-40%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의 크기 와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을 비교한 결과 염색체 크기와 화분의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배조합 검정 결과 착과율과 발아율은 화분 발아율, 임성률 및 배수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Willd. ex Klotzch) 'Red Stone'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6년에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분홍색의 'Freedom Rose'를 모본으로, 착색이 빠르고 분홍색인 'Enduring Pink'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에서 선발되었다. 2007~2008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하여 '원교 D5-65'를 육성하였고 200
        2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een Dream'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6년에 진한 녹색잎에 초장이 짧고 아담한 연황색의 'Lemon Snow'를 모본으로,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분홍색인 'Freedom Rose'를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양성된 실생계통이다. 2007년과 2008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64'를 육성하였고 2009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농작물
        3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3년도에 분홍색의 스탠다드 'Sweet Pink'품종을 모본으로 수량이 많은 분홍색 스탠다드 'Pink Pearl'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2004년에 116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6-2008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126'-를 'Pink Bell'로 명명하였다. 'Pink Bell'의 화색은 진분홍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57A이며 화형은 고심형이며 향기는 'Nobless'
        3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3년도에 오렌지색의 스프레이 'Pinocchio' 품종을 모본으로 다화성인 황색의 스프레이 'Flair'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파종을 실시하여 177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08년 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선발된 '원교 D1-506'을 2008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체리티'로
        3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ara’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2년에 진한 녹색 잎에 엽절이 있으며 선명한 적색인 ‘Red Velvet’을 모본으로, 단일반응이 빠르고 밝은 적색인 ‘Freedom Bright Red’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3년, 2004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12’를 육성하였고 2005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
        3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8년도에 백색의 스탠다드 ‘Athena’ 품종을 모본으로 수량이 많은 백색 스탠다드 ‘Tinek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1999년에 95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19’를 ‘White Day’로 명명하였다. ‘White Day’의 화색은 백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149D이며 화형은 반고심형의 화형이며 향기는 ‘Tineke’에 비하여 많
        3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idi’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4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1년에 생육이 왕성하고 진분홍색인 ‘Freedom Rose’를 모본으로, 진한 녹색 잎에 결각이 있으며 적색인 ‘Red Velvet’을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2년과 2003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9’를 육성하였고, 2004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Heidi’로 명명
        3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8년도에 절화장이 길고 화형이 우수한 적색의 스탠다드 ‘레드산드라’ 품종을 모본으로 꽃수가 많고 줄기가 강건한 주홍색의 스탠다드 ‘바로네스’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1999년에 파종 후 287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1-2003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선발된 ‘원교 D1-27’을 2003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스노우
        3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9년도에 백색의 스탠다드 ‘Escimo’ 품종을 모본으로 생육이 우수하고 다수성인 스탠다드 ‘Medeo’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2000년에 파종을 실시하여 840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1~2003년까지 3차에 걸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선발된 ‘원교 D1-54’를 ‘Honey Lemon’로 명명하였다. ‘Honey Lemon’의 화색은 백색으로 RHS 칼라챠트번
        3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9년도에 분홍색의 대형 스탠다드 장미 ‘Silba87’ 품종을 모본으로 화형이 우수하지만 흰가루병에 약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Bravo’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2000년에 파종을 실시하여 2080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1-2003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선발 된 ‘원교 D1-37’을 2003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4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3년 화색과 잎의 광택이 우수하고 절화장이 길며 다수성인 품종 "Saphia"를 모계로 절화장이 길며 다수성이지만 잎이 약하고 흰가루병에 약한 품종인 "Bridal Beauty"를 인공교배 하여 얻은 실생계통 42주에 대하여 2004~2005년에 1차선발을 하여 1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6~2008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1008'을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Snow Day"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