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2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에 방제효과가 높은 3종 (데리스, 시트로넬라, 계피)의 식물추출물과 보조제 (잔탄검과 실리콘 계열 화합물)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 조성물은 인삼 재배지에서 미국선녀벌레 방제효과가 90% 이상으로 높았다. 또한 다른 흡즙성 해충에도 살충률이 높아 PLS (positive list system) 전면 시행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2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설토마토 재배지에서 push-pull 전략을 이용해 담배가루이와 천적곤충의 행동을 제어함으로써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담배가루이는 노란색에 유인율이 가장 높았으며, 520 nm의 광원에는 유인반응을 복합광원인 450 + 660 nm의 광원에는 회피반응을 보였다. 천적곤충인 담배장님노린재(Cyrtopeltis tenu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는 모두 520 nm의 광원에 가장 높은 유인반응을 보였다. 휘발성 물질로는 ocimene과 carvacrol에 대해 기피반응을, methyl isonicotinate에는 유인반응을 보였다. 토마토 온실에 메밀을 투입하였을 경우 천적곤충인 담배장님노린재의 밀도는 무처리 대비 15일간 약 16배로 높게 유지되었다. Push-pull 세부전략들을 종합 처리한 결과, 처리 50일 경과 후 담배가루이의 트랩당 밀도는 무처리 대비 3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시기 별 방제효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가운데 최고 68.7%였다.
        4,000원
        2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of Bemisia tabaci by a push-pull strategy in tomato greenhouse. B. tabaci was most attracted to the light source of 520nm, whereas it showed an avoidance response to the complex light treatment of 450+660nm. Two natural enemies, Nesidiocoris tenis and Orius laevigatus were attracted to 520nm. B. tabaci was repellent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ocimene and carvacrol, while methyl isonicotinate showed attractant response. When buckwheat was added into the greenhouse, the density of N. tenis was maintained at about 16 times higher for 15 days. As a result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push-pull strategy, the density of B. tabaci was 3 times lower and the control effect increased with time and reached up to 68.7%.
        28.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 경영환경 변화의 중심에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 이 대두되고 있다.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인류의 생존은 물론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도 ‘지속가능성’을 기업경영의 모토로 삼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 이런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업과 정부 및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생존 및 번영을 추구하는 다국적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실증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론적이며 현실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효율성, 친환경보호, 에너지관리, 소비자보호, 윤리경영의 다섯 가지 독립변수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신뢰가 독립변수들과 구매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보인다는 종합적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일반소비자 269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속가능경영의 효율성, 친환경보호, 에너지관리, 소비자보호, 윤리경영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다섯 가지 독립 변수 중 효율성과 윤리경영의 경우,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기각되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의 효율성, 친환경보호, 에너지관리, 소비자보호, 윤리경영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계에 있어서 ‘신뢰’는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8,600원
        3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is one of the invasive insect species in South Korea. M. pruinosa is a broad polyphage damaging over 200 plant species including ginseng,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preference. We selected six insecticides that showed high mortality in ginseng field such as emamectin benzoate EC, sulfoxaflor SG, etofenprox EW, cypermethrin EC, thiacloprid SC and pyrifluquinazon SG. In addition, a method to attract and kill M. pruinosa by treating pesticides on attractive plants (e.g., corn, perilla) with high preference was also tested. The control effect varied from 10 to 80%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forest and farmland. These methods can be used for the control of M. pruinosa in the ginseng farm when the PLS (Positive List System) is fully implemented in 2019.
        3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crostructure, flexural properties,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effectiveness (SE) of epoxy composites fill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NTs),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xGnPs) and CNT-xGnP hybrid filler were investigated. The EMI SE of the CNT-xGnP hybrid composite was higher than 25 dB at 100 MHz while that of the xGnP based composite was almost zero. The flexural modulus of the CNT-xGnP based epoxy composite continuously increased to 3.32 GPa with combined filler content up to 10 wt% while that of the CNT based epoxy composites slightly decreased to 1.96 GPa at 4 wt% CNT, and dropped to 1.57 GPa at 5 wt% loading, which is lower than that of epoxy. The CNT and CNT-xGnP samples had the same EMI SE at the same surface resistivity, because samples with the same surface conductivity have the same amount of the charge carriers.
        4,000원
        3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pollination and foraging activitie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and bumblebee (Bombus terrestris L.) during flowering season of the asian pear (Pyrus pyrifolia N.) under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bout the pollination activities of two species. However, the pollination activities of bumblebee were more active than those of honeybee under low temperature and rainfall period. The activities of honeybee and bumblebee were more influenced by temperature than other factors (i.e. illumination and wind velocity). Honeybee was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than bumblebee. At low temperatures (<20℃) on cloudy days (<30,000 lux) with a certain wind velocity (>4.0 m/s), the pollination activity of the honeybee was lower twice than that of bumblebee.
        3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땅속의 과일로 알려진 야콘은 라틴 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이 원산인 국화과 식물로 고구마처럼 생겼으며, 생으로 먹으면 아삭아삭한 배 맛을 느낄 수 있다. 다년생 초본으로 분류되지만 초겨울에 동상해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서는 식물체가 고사하기 쉬우므로 일년생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최근 세계 야콘 생산동향을 살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데스 지역에서 천년 이상 재배되어 온 야콘의 최근 기능성 성분이 밝혀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생산 수요가 급증하였다. 2. 야콘은 원산지인 안데스를 벗어나 최근 30년간 전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일본, 미국, 체코, 독일, 뉴질랜드, 및 우리나라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검토되었다. 3. 야콘의 생산성은 ha 당 체코 24톤, 에콰도르 41톤, 페루 27 ~ 52톤, 브라질 32 ~ 100톤, 뉴질랜드 40톤, 일본 49톤, 대한민국 19~55톤으로 국가별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4. 국내에서는 야콘의 기능성 성분이 알려지면서 최근 10년간 야콘의 재배면적과 재배농가 수는 1999년 8 ha, 10여 농가에서 2009년에는 166 ha, 447농가로 각각 20배, 45배 증가하였다. 5. 우리나라에서 친환경 재배 가능한 작물인 야콘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9.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formed wing virus (DWV) of honeybees (Apis mellifera) is closely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 wing deformities, abdominal bloating, paralysis, and rapid mortality of emerging adult bees. Here,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occurrence of DWV-infected bumble bees (Bombus terrestris). For the present study, the detection of DWV virus from the adult bumble bee, death adult bumble bee, mail bumble bee, pupa and larva to the infection cycle was investigated in the same colony. Using specific RT-PCR protocols for the detection of DWV followed by sequencing of the PCR products we could demonstrate that the bumble bees were indeed infected with DWV. The virus was detected from diseased insects, and its partial DWV gene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partial DWV gene encoding the polyprotein is 711-nt of 235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nucleotide sequence of the polyprotein partial gene of DWV showed 96.9%, 96.2%, 96.8%, and 96.5% homology to other structure polyprotein partial gene of DWV,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is further conformed that the deduced nucleotide sequence of the polyprotein partial gene of DWV divided to the outside tree. We describe the first time that presence of Deformed wing virus(DWV) from bumble bee(Bombus terrestris) in korea using RT-PCR.
        40.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occurrence of DWV-infected bumble bees (Bombus ignitus). For the present study, the detection of DWV virus from the female and male bumble bee was investigated in the same colony. The Deformed wing virus (DWV) of honeybee (Apis mellifera) is closely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 wing deformities, abdominal bloating, paralysis, and rapid mortality of emerging adult bees. Using specific RT-PCR protocols for the detection of DWV followed by sequencing of the PCR products we could demonstrate that the bumble bees were indeed infected with DWV. The virus was detected from Bombus ignitus, and its partial DWV gene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partial DWV gene encoding the polyprotein is 711-nt of 235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nucleotide sequence of the polyprotein partial gene of DWV showed 96.9%, 96.2%, 96.8%, and 96.5% homology to other structure polyprotein partial gene of DWV from insects,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is further conformed that the deduced nucleotide sequence of the polyprotein partial gene of DWV divided to the outside tree. We describe the first time that presence of Deformed wing virus(DWV) from bumble bee(Bombus terrestris) in korea using RT-PCR.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