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1

        38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값이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는 감잎으로부터의 열탕 추출물과 함께 탄닌을 분리하여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감잎의 통풍 예방효과를 살펴보았다. 감잎의 열탕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살펴본 결과 열탕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증가하여 20mg 첨가시 82.4%의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감잎탄닌도 감잎의 열탕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농도에 비례해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잎 열탕추출물 및 감잎 탄닌은 xanthine oxidase에 대한 경쟁적 저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38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lydicus YSK-681이 생산하는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정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질정제는 chloroform으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i, ODS, GPC HPLC순으로 진행하였다. FAB MS의 분자량 측정결과 m/z 1022.4와 1036.4(M+H)^+의 두 개의 피크가 분석되었으며, NMR 분석에서는 -OH와 leucine으로 추정되는 관능기가 조사되었다. 정제된 항생물질의 MIC는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 1∼32 ug/ml그람음성균과 효모에서는 125 ug/ml 이상이었다. 임상에서 분리된 129개의 MRSA에 대한 MIC는 8 ug/ml이었으며, 암세포인 P388, HeLa, S180에 대한 세포독성은 없었다.
        4,000원
        38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hizopus japonicus ATCC22959로부터 미생물성 chitosan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써 starch와 glucose(1:1)를 3.0%, 질소원으로써 yeast extract를 3.0%, 무기염류로써 ZnSO_4를 0.02% 첨가하고 pH를 5.0으로 맞춘 배지에 Rhizopus japonicus ATCC22959의 포자를 접종한 후 30℃에서 96시간 배양하는 것이었다. Chitosan생산을 위한 기본 배지와 최적 배지에 각각 1.25×10 exp (5)개의 포자를 접종하여 배양한 후 chitosan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는 각각 0.08g/200ml와 0.51g/200ml로 약 6.4배정도 수율이 증가하였다.
        4,000원
        385.
        1997.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온에서 측정한 CdxNi1-xFe2O4의 Mossbauer 스펙트럼은 조성비에 따라 x값이 0.4이하인 시료에서는 준강자성에 의한 여섯개의 공명 흡수선, x값이 0.5인 시료에서는 이완된 형태의 공명흡수선, 그리고 x값이 0.6시료인 상자성에 의한 두개의 공명 흡수선이 나타났다. CdxNi1-xFe2O4의 x값이 0.4이하인 시료의 초미세 자기장(Hhf)과 x값이 0.6 이상인 시료의 사중극자 분열치 (Q.S.)는 Cd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시료의자기적 성질에 따른 이성질체 이동치(I.S.)의 차이는 있으나, Ni와 Cd이온의 농도에 따른 뚜렷한 의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다.
        4,000원
        38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북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개량머루의 발효제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원료과실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일반 포도주 양조법으로 red wine과 pink wine을 제조하여 화학성분 함량 및 기호성을 검토하였다. 개량머루는 종자의 비율이 10%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착즙수율이 약 69%에 달하였다. 총당 함량, 총산 함량 및 pH는 17.50, 1.14 및 3.48%을 나타내었다. 개량머루 중의 주석산 및 사과산 함량은 각각 0.396과 0.509%를 나타내어 주석산 함량에 비하여 사과산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개량머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Montrachet로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 발효작용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머루주의 에탄올 함량, 총산도 및 pH는 red wine의 경우 11.33, 0.80 및 3.65%였으며, pink wine은 11.88, 0.85 및 3.55%로 나타났다. 개량머루주의 주석산 함량은 0.190∼0.208%로 양조과정 중 48∼52%가 감소하였으며, 사과산 함량은 0.408∼0.421%로 양조과정 중 13∼17%가 감소하였다. 발효제품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A520)은 5.46∼11.03, 색도(A520+A420)는 9.39∼19.38을 나타내 유럽산 rea wine의 2배 이상이었으며, 총 페놀의 함량은 2, 300∼3.800mg/l였다. 이 원료로 제조한 pink wine은 red wine에 비하여 품질성분 및 관능면에서 현저히 우수하였다.
        4,000원
        38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한천의 용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물리적인 처리가 한천의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각 처리에 따른 표면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차주사 열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조사한 일반한천의 흡열개시온도(T_o), 최대흡열점의 온도(T_p) 및 흡열완료온도(T_c)는 81.02, 95.51, 및 112.14℃였으며, 분무건조한천은 60.11, 76.45 및 89.54℃였고, 압출성형한천은 41.30, 61.72 및 80.50℃로 압출성형한천이 가장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엔탈피도 일반한천 3.22cal/g, 분무건조한천 1.53cal/g, 압출성형한천 0.73cal/g의 순서로 압출성형한천에서 가장 낮았다. 완전히 가열용해한 각 한천을 다시 냉각, 응고 후에 다시 승온하였을 때의 T_o , T_p 및 T_c는 일반한천 80.70, 95.61 및 110.92℃, 분무건조한천 79.54, 93.76 및 109.84℃, 압출성형한천 79.25, 93.19 및 108.77℃로 한천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엔탈피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학현미경과 주사 전자현미경에 의해 표면구조를 관찰한 결과, 일반한천의 경우 단단한 구조로 균열이나 기공들이 관찰되지 않았고, 분무건조한천은 많은 미세입자들이 다량으로 느슨하게 붙어있는 다공질구조로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적이 넓었으며, 압출성형한천은 굴곡, 요철 및 균열이 생겨서 수분침투가 용이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4,000원
        388.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원섬유단백질의 이온강도에 따른 Ca-ATPase 활성, Mg-ATPase 활성 및 EDTA-ATase 활성은 오징어와 대합에서 그 차이점이 뚜렷하였으며, activity-pH curve에서 오징어 actomyosin의 Ca-ATPase 활성은 biphasic response가 소실되었고 대합의 actomyosin은 미약한 biphasic response가 나타났다. 또한 저농도의 dioxane에 의하여 오징어의 근원섬유단백질은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보였으나 대합의 근원섬유단백질은 활성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에탄올과 메탄올은 오징어와 대합의 myosin 및 HMM에 대하여 저농도에서 활성을 증가시켰다. 한편 NEM으로 근원섬유단백질을 modification시키면 10 exp (-6)M 이하의 NEM 농도에서는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10 exp (-5)M 이상의 농도가 되면 활성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났다.
        4,000원
        389.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재배 생약류 28종 중 열수 추출물에서 항산화력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된 작약, 목단, 황금, 두충, 시호 그리고 산수유의 열수 추출물 6종을 냉동건조한 후 70% ethanol로 용해하여 ethanol 가용성 획분(ESF)과 ethanol 불용성 획분(EIF)으로 분획하였다. 이 분획물들을 60% linoleic acid에 3, 000ppm씩 가한 후 35℃의 항온기에서 저장하면서 BHA 첨가구와의 산화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이 결과 작약과 황금의 ESF는 유도기간이 각각 12일과 9일인데 반해 BHA 첨가구는 9일로 나타나 산화 안정성이 더 높거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6종의 생약류의 ESF는 EIF 보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390.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lfonamides, a therapeutically important group of antimicrobial drugs, are widely used to treat and prevent the acute systemic and skin infections in dairy cattle. They also pose an economic hazard through inhibition of growth of dairy starter cultur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four screening methods for detection of sulfamethazine in milk and determine the positive milk sample by HPLC method. Sulfamethazine was used to spike at five levels of sulfamethazine. The Lac-Tek test and CharmII test were also consistent better than TTCII test and Delvo SP test in sulfamethazine detection. Analysis probabilities of obtaining a positive response with TTCII test and Delvo SP test assay at 50 ppb sulfamethazine level in milk samples were only 14%, 42% each. Whereas using the Lac-Tek test and CharmII test would have resulted in 100% identification of the five levels. Determination of sufamethazine using the HPLC method in the spiked milk were 10.64, 19.30, 30.76, 38.83 and 50.23 ppb, respectively.
        4,000원
        391.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 발효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명" 과실에 효소 및 열처리하여 착즙수율을 측정하고 청주용 효모와 포도주용 야생 효모로 발효시킨 복숭아술의 성분과 기호성을 조사하였다.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 처리한 경우 착즙수율이 89.2%로 가장 높았고 pectinase, hemicellulase와 cellulase등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도 80%이상의 착즙수율을 보였다. 복숭아술의 총산은 0.30%에서 0.36%이었다. 에틸알코올올 함량은 포도주용 야생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49-2가 14.5%로 가장 높았으나, 기호성은 고온성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D-71로 발효시킨 술이 가장 좋았다.
        3,000원
        392.
        1996.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를 Cd로 대치시켜 세라믹 소결법으로 합성한 Ni0.8Cd0.2Fe2O4 의 X-ray 회절선을 측정하여 구조를 확인하고, 형성된 결정체의 격자 상수를 조사하였다. 이 시료의 Mossbauer 스펙트럼을 80K-900K의 온도 영역에서 측정 분석하여 Mossbauer parameter의 온도 의존성과 Fe 이온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 자료를 토대로 Ni0.8Cd0.2Fe2O4 의 자기 전이 현상과 Curied 온도 Tc와 격자 비열 및 Debye 온도와 같은 물성을 조사하였다.
        4,000원
        393.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eese milk를 기질로 하여 pronase등 protease와 palanatase ML등 lipase를 이용하여 EMC를 제조하였다. Cheese milk 가수분해에 관여하는 각 protease의 반응 조건을 살펴본 결과, pronase-30℃, pH 7.0, pancreatin-40℃, pH 8.0, paciflc protease-30℃, pH 7.0과 Asp. sp. 기원 protease-50℃, pH 8.0에서 최대의 활성을 보였으며, lipase의 반응 조건은 pancreatic lipase-50℃, pH 8.0, palatase ML-50℃, pH 7.0과 Candida cylindracea 기원 lipase-40℃, pH 6.0 이었다. 최적 반응조건에서 가수분해를 행한 결과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리아미노산의 양과 유리지방산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acific protease와 pronase에 의해 가수분해시 0.67㎎/㎖과 0.74 ㎎/㎖의 유리 아미노산을 생성하였으며, 유리 아미노산중 glutamic acid와 leucine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Candida cylindracea 기원 lip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 가장 많은 유리 지방산생성량(24.63 ㎎/㎖)을 보였다. 각 EMC의 지방산조성을 살펴본 결과 butyr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와 oleic acid의 함량이 보였다. Pancreatin에 의해 가수분해 후 각 lipase를 사용하여 제조한 EMC의 관능검사 결과,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한 EMC가 가장 쓴맛이 강하였고, palatase에 의한 EMC는 가장 바람직한 cheese 향기를 가지고 있다
        4,000원
        394.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sma cholesterol함량은 n6 LA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며 n3 LL와 EPA의 순으로 감소되어 plasma cholesterol의 저하는 EFA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Plasma TG함량은 CO, PO, FO군에서 모두 낮았으며 특히 PO, FO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n6 LA의 경우 plasma와 간조직의 TG함량은 n6 LA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lipogenic enzyme활성도는 변화가 있었다. n3 LL를 투여한 PO군의 경우 plasma와 간의 TG함량은 n6 LA에서와 마찬가지로 감소된 반면, lipogenic enzyme활성은 다소 증가되었으나 간의 TG합성을 증가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n3 EPA에 의해 plasma TG는 BT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되었으며 lipogenic enzyme활성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간의 TG함량은 BT군에 비해 변화가 없었다. Plasma와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은 식이지방산에 의한 영향이 잘 나타났는데 CO군은 C_18:2와 C_20:4의 양, C_20:4/C_20:5의 비율이 높았다. PO군은 C_18:3과 C_20:5, C_22:6의 양이 증가되어 C_20:4/C_20:5의 비율이 남았으며 FO군에서는 C_20:5와 C_22:6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C_20:4/C_20:5의 비율은 가장 낮았다.
        4,200원
        395.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키토산을 효소로 분해하여 생리활성물질이 우수한 chitooligo당을 분리하여 정제를 시도하였다. Chitosan을 탈 아세틸화 시킨 후 탈 아세틸화도(DAC)도가 DAC-45%, DAC-70%, DAC-75% 및 DAC-99%를 기질로 하여 chitosanase(Bacillus pumilus BN-282)로 분해한 결과 DAC-99가 분해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DAC-90을 이용하여 chitosanase로 분해한 다음 gel filteration하여 Biol-2 gel chromatography로 분획한 획분을 HPLC로 분리 정제한 결과 chitooligo당의 조성은 GlcN, GlcN_2, GlcN_3, GlcN_5 및 GlcN_6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396.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 objective method of strength measurement of muscles controlling the wrist joint in normal subjects. Forty subjects (20 male, 20 female) with a mean age of 22 years, were tested isokinetically at and . Results were as follows, 1) Peak torque for wrist flexors, extens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both speeds, but wrist ulnar deviator, radial deviator peak torques were not, 2) Mean values for all muscle groups controlling the wri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both speeds in the female group, 3) All mean values at both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4)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wrist joint angle of movement at peak torque were determined.
        4,000원
        397.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시판되고 있는 유채유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유채유의 함량에 따른 체중증가와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prague-Dawely계 수컷 흰쥐를 42일간 유채유 함유 사료로 사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판 유채유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가 29.43%로 가장 많았고 erucic acid (26.52%), linoleic acid(20.39%), linolenic acid(8.68%)의 순으로 나타났다. 체중 증가량은 대조군이 138.10g인데 비하여 RSO_5군은 13.58g, RSO_10군은 132.00g, RSO_15군은 135.34g, RSO_20군이 127.07g으로 유채유 함량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대조군보다는 모두 낮았다. 각 장기의 중량에 있어서 간의 대조군이 2.970g인데 비하여 PSO_10군이 3.249g(p<0.01), RSO_15군과 RSO_20군은 각각 3.479g과 3.478g(p<0.01)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었고 갑상선도 RSO_15군과 RSO_20군이 각각 0.023g과 0.030g(p<0.01)으로서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나 심장, 신장, 비장, 고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total lipid 함량은 대조군(324.29㎎/㎗)에 비하여 RSO_20군(378.60㎎/㎗)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간조직에서는 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의 triglyceride함량은 대조군(84.14㎎/㎗)에 비하여 RSO_20군(122.00㎎/㎗)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간조직에서는 RSO_20군(33.77㎎/g)이 가장 높았으나 대조군(29.76㎎/g)에 비하여 유의차는 없었다. 혈청의 phospholipid함량은 모든군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간조직에서는 대조군(8.42㎎/g)에 비하여 RSO_5(7.34㎎/g)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01). Total-cholesterol 함량은 혈청과 간조직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RSO_20군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Ester-cholesterol함량은 혈청중에서 RSO_5군(46.82㎎/㎗)이 대조군(52.29㎎/㎗)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으며 간조직에서는 모든 군이 같은 수준이었으며 혈청의 Free-cholesterol과 LDL-cholesterol함량은 군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간조직의 관찰에서는 RSO_20군에서만 약간의 지방침착이 발견되었을 뿐 나머지 군은 모두 정상이었다.
        4,200원
        398.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액상요구르트의 제조시에 분유에 의한 산생성불량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의 개선방법을 검토하였다. TCA-soluble peptides이 함량이 낮은 탈지분유는 모두 요구르트 제조시에 산생성이 불량하였고, TCA-soluble peptides의 함량이 높은 탈지분유는 모두 산생성이 양호하였다. TCA-soluble peptides의 함량이 낮은 불량탈지분유에 Na-caseinate의 trypsin 분해물 첨가는젖산균의 산생성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Na-caseinate의 papain 분해물 첨가는 촉진효과를 나타내지 못했고, 세균성 중성 protease 분해물의 첨가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Na-caseinate의 trypsin 분해물 첨가는 탈지분유의 TCA-soluble peptides 함량이 낮고 starter 젖산균의 단백질 분해능력이 약할 경우에 젖산균의 증식 촉진효과와 산생성 촉진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CA-soluble peptides의 함량이 부족한 탈지분유에 Na-caseinate 미분해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액상요구르트는 유단백질의 침전이 발생하였으나, Na-caseinate의 trypsin 분해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은 정상적인 탈지분유에서와 같이 단백질의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다.
        4,000원
        399.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00.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obtain a good microorganism capable of degrading microcrystaline cellulose (avicel), the screening test was carried out from soil and brown-rot wood. 8 strains which had good avicel-hydrolyzing activity were isolated. Among them, HK 47 which exhibited the highest avicel hydrolyzing activity was identified as Trichoderma sp. HK 47. Maximum avicel-hydrolyzing enzyme production from Trichoderma sp. HK 47 was obtained with the optimum medium contained carboxymethylcellulose 1.5% as carbon source, NaNO_3 0.75% as nitrogen source, KH_2PO_4 0.5%, MgSO_4·7H_2O 0.1%, Tween 80 0.005% (V/V) during stationary cultivation at pH 6.0, 30℃. In this case, the production of avicel-hydrolyzing enzyme was 0.028U/㎖.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