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41.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Gyodongdo island (Ganghwa-gun). The vascular plants from 11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belong to a total of 629 taxa; 118 families, 364 genera, 561 species, 5 subspecies, 53 varieties, 7 forms and 3 hybrids. 184 taxa were the first records from this region. The plants in Gyodongdo island are composed of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mixed forests which are the common ones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ive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Maxim., Viola seoulensis Nakai, Populus × tomentiglandulosa T. B. Le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were collected. Endanger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law called 'Protection Law for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were one taxon. The red list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examined for 13 taxa; endangered (EN) species of Prunus yedoensis Matsum., Vulnerable (VU) species of both Utricularia pilosa (Makino) Makino and Iris ruthenica var. nana Maxim.,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Senecio argunensis Turcz., Least Concern (LC) species of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Potentilla discolor Bunge,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 Acorus calamus L.,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Pseudoraphis ukishiba Ohwi, Belamcanda chinensis (L.) DC.,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both Astragalus sikokianus Nakai and Potamogeton oxyphyllus Miq.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a total of 47 taxa comprising three taxa of gradeⅤ, four taxa of grade Ⅳ, nine taxa of grade Ⅲ, 10 taxa of grade Ⅱ, and 21 taxa of gradeⅠ.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62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9 % and the percentage of urbanization index (UI) was 19.3 %, respectively. Furthermore, hemicryptophytes (28 %), therophytes (26 %), hydrophytes (13 %) and geophyte (12 %)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spectrum.
        6,600원
        4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 간에 상관성이 감소하는 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방 법: 청주에 거주하는 194명(성인 116명, 아동 78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력계와 안구계측기로 굴절검 사와 안광학 상수를 측정하였다. 각막곡률반경과 전안방 깊이는 전안부 안광학 상수로, 안축장은 후안부 안 광학 상수로 이용하였다. 전안부와 후안부의 통합된 안광학 상수인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의 비(AL/CR ratio)와 굴절이상 정도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각 안광학 상수와 굴절이상 정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안축장에 따라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이 없어지는 값을 찾고, 이를 등가구면굴절력으로 제시하였다. 결 과: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안축장과 각막곡률반경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보다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비(AL/CR ratio)로 나타날 때 설명력이 높았다(아동 그룹 r2=0.681, p=0.000, 성인 그룹 r2=0.723, p=0.000). 성인과 아동에서 전안부와 후안부의 안광학 상수 사이 에 상관성이 없어지는 안축장의 길이를 찾았다. 아동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안축장 24 mm 를 기준으로(r=-0.174, p=0.238),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5 mm를 기준으로(r=-0.153, p=0.585) 안축장 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24.5 mm를 기준으로,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6.0 mm를 기준으로 안축장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r=0.178, p=0.083, r=0.054, p=0.796). 기준점이 되는 각 안축장 값을 등가구면굴절력으로 나타냈 을 때 아동에서 24 mm는 약 -1.30D, 25 mm가 약 -3.20D로 나타났고(r2=0.609) 성인에서 안축장 24.5 mm가 약 -2.10D, 26 mm가 약 –4.30D로 나타났다(r2=0.450). 결 론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은 정시를 벗어나 어느 정도 비정시가 된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상관관계 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시화는 특정 나이나 시력에 대한 기존의 기준과 더불어 지속적 연구를 통해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 유무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4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정시화가 이루어지는 만 6세 아동의 과거와 현재 평균 굴절이상 정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 고자 한다. 방 법: 1999년부터 2014년까지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만 6세 아동 8,966명(남아 4,674명, 여아 4,292명) 을 연구대상으로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굴절검사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평균 굴절이상 정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연도별로 비교하고, 평균 굴절이상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판단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통해서 출생연도에 따른 굴절이상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출생연도에 따라 굴절이상 종류의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특정 연도를 기준으로 이전 연도 군과 이후 연도 군으로 나누어 평균 굴절이상 정도를 비교했을 때 근시군에서 (-)방향으로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만 6세 아동의 출생연도가 빠를수록 이들의 평균 굴절이상 정도가 더 (-)방 향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정시화가 완료되는 만 6세 아동의 평균굴절이상 정도가 세대에 따라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 은 향후 근시 유병률의 증가뿐만 아니라 근시 발생시기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현재 미취학 아동에 대해 향후 근시 유병률과 진행률을 고려한 관리가 필요하다.
        4,000원
        4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opic related skin symptoms must be controlled continually. Because it is involved with food, eating behavi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pplying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ur research attemp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ch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atopic dermatitis-related snacking behaviors, eating attitudes, and food behaviors. Subjects wer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 6-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to 97 children as the educated group and another 94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as the control group.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s results, eating attitudes reached significant improvement by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p<0.05). In a paired t-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educated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nacking behaviors, the two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for some considering factor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aft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xcept the snacking place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However, in the educated group, the types of snacks made by mothers increased 17.5% from 40.2% to 57.7%, and in-house as snacking place increased 13.4% from 68% to 81.4%. In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showed some effe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foundation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afterward to increase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y related to atopic dermatitis.
        4,000원
        4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취학 전 어린이와 부모의 시력검사 행동양식을 조사하여 취학 전 어린이의 시력검사 참여율을 높 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 법: 대전지역 12개 유치원의 만6세(평균연령 6.0±0.2세) 어린이 487명을 대상으로 시력검사와 자동 굴절검사, 자각식 굴절검사, 가림검사, 허쉬버그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치원 어린이와 부 모의 시력검사 행동양식을 분석하였다. 결 과: 조사대상자들의 등가구면굴절력은 오른쪽 눈 -0.15±0.81D, 왼쪽 눈 -0.14±0.75D였다. 조사대 상 어린이 487명 중 73명(15.0%)이 비정시이었고 이들 중에서 5명(6.8%)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 취학 전 어린이에서 189명(42.4%)이 시력검사 경험이 있었으며 이들 중에서 56.1%(n=106)가 집단시력검사 기회 를 이용하였다. 부모들에서는 54.8%(부 57.9%, 모 51.6%)가 정기적으로 시력검사를 받고 있었고 이들의 51.6%(부 55.8%, 모 46.6%)가 집단시력검사 기회를 이용하고 있었다. 취학 전 어린이와 그들의 부모의 시 력검사 행동양식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취학 전 어린이의 시력검사는 제도화된 집단검사를 통해 시행되어야 하며 참여율을 높이고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시력검사 전문가인 안경사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4,200원
        52.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원하는 입자크기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공정조절이 쉽고 균일한 입자를 얻을 수 있는 막유화법을 이용하였으며, 유화제의 종류와 양, 첨가제의 양, 압력 등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제조된 라텍스의 입자크기와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homogenizer를 이용한 직접유화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막투과 모델을 고찰하기 위하여 Harkins-Brown 식에 의해 이론적인 drop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물대비 0.2 wt% 이상의 유화제 함량에서 안정한 라텍스를 얻을 수 있었고, 입자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자는 막표면의 기공 크기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3.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얼치기대가래(Potamogeton × anguillanus Koidz.)를 강원도 영월군 남면 연당리 연당천에서 발견하였다. 얼치기대가래는 대가래(P. wrightii Morong)와 넓은잎말 (P. perfoliatus L.)의 자연교잡종이다. 대가래에 비해 잎자루가 짧고, 넓은잎말에 비해 잎이 좁고 길며, 밑부분이 줄기를 완전히 감싸지 않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본 미기록식물의 국명은 교잡종임을 고려하여 얼치기대가래로 신칭하였다.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와 화상자료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54.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도 김포시 및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대에서 미기록 외래 식물 좀갯드렁새[Diplachne fusca subsp. uninervia (J. Presl) P.M. Peterson & N. Snow]가 발견되었다. 이 분류군은 아메리카 원산이며, 여러 나라에서 외래식물로 보고되었다. 국내에서 외래종으로 먼저 보고된 갯드렁새[D. fusca subsp. fascicularis (Lam.) P.M. Peterson & N. Snow]와 근연종이며, 모종인 D. fusca의 종하분류군이다. 좀갯드렁새는 소수, 포영 및 호영의 길이가 짧고 까락이 없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소수의 길이가 짧아 국명을 좀갯드렁새로 신칭하였다.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기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갯드렁새의 이전 학명인 D. fusca (≡Leptochloa fusca)은 형태적으로 D. fusca subsp. fascicularis와 상이하다. 갯드렁새의 학명을 기준표본, 원기재문, 최근의 논문들을 근거로 D. fusca (≡L. fusca)에서 D. fusca subsp. fascicularis으로 변경한다.
        5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the vegetation of Samusan mountain on Jecheon-si,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9 times from June 2014 to October 2015 were identified as 502 taxa in total, including 102 families, 314 genera, 445 species, 6 subspecies, 49 varieties, 1 form and 1 hybrid.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70 taxa), Poaceae (52 taxa), Rosaceae (30 taxa), Fabaceae (28 taxa), and Cyperaceae (20 taxa). Of them,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10 taxa, and vascular plants listed in the red data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numbered 14 tax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61 taxa in total. Among them, 5 taxa revealed the floristic grade Ⅴ, 11 for floristic grade Ⅳ, 14 for floristic grade Ⅲ, 10 for floristic grade Ⅱ, and 21 for floristic grade Ⅰ.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6%,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3.4%, respectively. Samples of the forest vegetation on the Samusan Mt. were mainly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mongolica, Zelkova serrata and Robinia pseudoacacia forest. The vertical structures of the forest were stable and the DBH-Class analyses showed that the dominant tree species would be maintained. In the surveyed areas, high plant diversity was shown, and a number of endemic, rare, calcicole plants and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were found. Nonetheless, numerous and diverse biological resources native have been consistently disturbed or damaged by human activities without some form of protec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set up strategies for conservation forest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5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rge quantity of eggs fail to be fertilized and many of fertilized eggs are unable to hatch in the eel, Anguilla japonica. Larvae of eel absorb egg yolk up to 8 days after hatching but the majority of hatched larvae die before they reach the stage of first feeding in this species. Genes of key enzymes for yolk processing (cathepsin B, D, L and lipoprotein lipase - abbreviated as ctsb, ctsd, ctsl and lpl, respectively) could be associated with egg qual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between floating eggs and sinking eggs,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 expressions of the enzymes and fertilization rates in the fertilized eggs obtained from artificially matured female eels. Expressions of yolk processing enzyme gen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oating and sinking egg groups. Expression of ctsb decreased when fertilization rate was high. Expression of ctsd, ctsl and lpl, howe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tsb expression could be an indicator of egg quality, and that some proteins prone to be digested by ctsb could be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fertilization and normal cleavage in this species. Further study should identify these critical protein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n the quality of fish eggs.
        5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Deokjeongsan Mt. (Ganghwa-gun) from March to October 2016.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8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484 taxa: 107 families, 305 genera, 423 species, 8 subspecies, 48 varieties, 4 forms and 1 hybrid. The plant formation of Deokjeongsan Mt. is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 mixed forest which is the common one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All most mountain covered with young secondary forest which is mainly composed of Pinus and Quercus. The plant species diversity largest families were Asteraceae (62 taxa, 12.7%), Poaceae (48 taxa, 9.9%), Cyperaceae (27 taxa, 5.6%), Fabaceae (23 taxa, 4.7%), and Lamiaceae (21 taxa, 4.3%). The four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Maxim.,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were collected.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five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Senecio argunensis Turcz., Least Concern (LC) species Pseudoraphis ukishiba Nakai,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Thladiantha dubia Bunge, Cirsium lineare (Thunb.) Sch. Bip., and Scorzonera austriaca ssp. glabra Lipsch. & Krasch. ex Lipsch., respectively.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6 taxa comprising one taxa of degree V, two taxa of degree IV, four taxa of degree III, eight taxa of degree II, and 11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6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5%,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4.3%, respectively
        58.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금성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 포를 조사하였다.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2과 358속 417종 8아종 48변종 8품종 2교잡종으로 총 48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발견된 483분류군 중에서 국립생물자원관 지정 적색목 록식물이 3분류군,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이 8분류군, 한반 도 고유종이 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29분류군, 귀화식물은 42분류군, 귀화율은 8.6%이었다. 관속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이 190분류군(39.3%), 목초용이 162분류군(33.5%), 약용이 154분류군(31.8%), 관상용이 58분 류군(12.0%), 목재용이 14분류군(2.8%), 공업용이 2분류군(0.4%) 그리고 섬유용이 5분류군(1.0%)으로 나타났다.
        5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is a popular aquaculture species and a protogynous hermaphrodite. Induction of artificial sex change at the time of primary sex differentiation is of interest but has not been successful due to the lack of necessary basic information. To find out the potential neuroendocrine influence on the primary sex differentiation, the expression of key genes in the brain was investigated during the formation of ovarian cavity. Expression of cyp19a1b, esr1, gnrhr1, fsh, lh and cga in the brai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ovarian cavity, showing gradual increase as the formation proceeds. However, the expression of gnrh1 was suppressed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ovarian cavity formation, signifying potential hypothalamic influence on the primary sex differentiation in this species.
        60.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한 국내 비보강 조적조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데 있다. 보다 정밀한 내진성능 평가를 위해 조적벽체의 파괴모드를 고려한 비선형 이력모델을 이용하고자 하나, 선행연구의 비선형 이력모델은 정적반복가력해석에 대한 검증만이 수행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동대실험과 동적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제안한 비보강 조적조 비선형 해석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한 다음, 국내 비 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층의 조적조 건축물의 경우 개구부율 에 관계없이 비교적 지진피해가 작은 반면, 2층 이상의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대부분이 국내에 발생가능한 지진에 취약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