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8

        61.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ixing conditions for Hibiscus syriacus L. chocolate depending on different addition ratios of Hibiscus syriacus L. and examine functionality in order to use Hibiscus syriacus L., which has excellent functionality and symbolizes Korea. To accomplish this, Hibiscus syriacus L. chocolate was manufactured by adding 0%, 2.5, 5, 7.5, and 10% of Hibiscus syriacus L. powder from the ‘Samchulli’ (Hibiscus syriacus ‘Samchulli’, which has reddish pink flower with red eye spot: SKK 14-2-72) variety to a coverture of white chocolate after whic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the amount of Hibiscus syriacus L. powder added to the chocolate increased, the chocolate color became darker, the pH decreased, and the sugar content and hardnes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degree of preference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Hibiscus syriacus L. powder increased to 7.5%.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color and flavor was the highest in the 5% added group, but the overall preference was 7.5% added chocolat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dding Hibiscus syriacus L. powder to chocolate can increase chocolate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an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Hibiscus syriacus L. chocolate development.
        4,000원
        6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vitamin C를 넣어 발효시킨 오징어 액젓을 조미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발효 과정 중 아미노산함량 변화, 염도별 이화학적 특성, 오징어 액젓과 시판 저염간장 과의 관계양상을 파악하였다. 발효 중 총 아미노산은 증가 하였으며, 그중 Asp, Pro, Gly, Ala, Val, Ile, Leu의 함량은 발효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소금 첨가량에 따라 오징어 액젓의 염도와 당도는 증가하였으며, 수분과 pH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소금을 넣을 경우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감소하였고, 소금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동일한 염도의 오징어 액젓과 시판 저염간장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모든 염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향은 1, 2, 4%에서 차이를 보 였다. 짠맛은 염도가 높아질수록 기호도가 높아지는 경향 을 보였다. 오징어 액젓의 단맛은 가장 낮았으며, 신맛은 가장 높은 기호도를 가졌다. 오징어 액젓과 저염간장의 기 호도 양상은 83.84~94.51%의 설명력을 가지며, 향과 색의 기호도는 저염간장보다 오징어 액젓이 높았고, 감칠맛은 반대로 저염간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칠맛과 단맛은 전반적 기호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징어 액젓의 염도가 높아질수록 저염간장군과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정 염도를 가질 때 간장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63.
        201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얌빈(Pachyrhizus erosus, Yam bean)은 멕시코 원산의 아열대성 콩과 식물로서 아삭하고 즙이 많아 생으로 먹거나 다양한 요리재료로 사용되는 구근채소이다. 본 시험은 국내에서 얌빈 재배시 적정 파종시기를 찾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온도에 따른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적산온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발아율은 18℃이상에서 86.0~94.0%를 보였으며, 발아 소요일수는 낮은 온도에서 길게 나타났다. 천군만마 품종이 태국 재래종에 비해 개화기나 구근 형성시기가 더 늦었고, 개화와 구근형성 및 비대에 필요한 적산온도도 각각 293℃, 280℃, 108℃가 더 소요되었으며, 지상부나 구근의 건물량은 더욱 많았다. 또한, 4월 25일 파종은 다른 시기에 비해 구근형성기까지 일수가 더 소요되었고, 구근형성과 비대시기의 지연으로 수확지수가 낮았으며, 6월 9일 이후 파종시는 영양생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10월 하순 이후 저온 및 서리로 인해 생육이 정지되어 구근의 충분한 비대가 어려웠다. 한편, 5월 10일과 25일에 파종한 경우에는 일장, 온도 등의 변화가 영양생장과 구근형성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얌빈 두 종 모두 구근 건물량과 수확지수가 높고 수량이 많아 파종시기로 적합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