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ismic performance of beam-column connections using Thin-Walled Steel Composite (TSC) beams and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s. TSC beams are constructed from U-shaped thin steel plates that are filled with concrete, allowing for composite action with slabs through the use of shear connectors. They are widely applied in industrial buildings due to excellent strength, stiffness, and constructability. However, slender web plates are prone to local buckling, which may compromise their performance during seismic events. To mitigate this issue, internal supports have been introduced to enhance web stability and concrete confinement. Cyclic loading tests on three specimens—with and without internal supports—demonstrated that the supports increased moment capacity, improved energy dissipation, and effectively reduced buckling. Even slender sections demonstrated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compact sections. All specimens reached peak strength at a 2.44% rotation angle, with damage localized near the supports. A practical connection detail was also proposed, taking into account constructability and structural reliability.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guidance for the seismic design of composite systems in large-scale structures.
In this study, chemicals with acute toxicity experimental dat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compareed the model derived from statistical analysis and QSAR open-source program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dynamic behaviors, and toxicological estimates of the chemicals were calculated using Mordred, a molecular descriptor calculation program based on RDKit. LD50 was set as the toxicity comparison target for each chemical, and independent variables or factors with similarity to independent variables were estimated from the molecular descriptors calculated through Mordred. Molecule descriptors composed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pared to predictions from QSAR open-source models, A regression model was created with the selected molecule descriptors and compared with predictions from QSAR programs, confirming high accuracy for specific functional groups. The QSAR model created in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mental values of each chemical, and provides evidence for selecting variables when constructing toxicity data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p between statutory calculation standards and actual field conditions in estima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OSHME) for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e current fixed-rate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type and cost, fails to account for on-site factors such as project complexity, duration, and workforce structure, often leading to discrepancies between estimated and actual costs. To address this, data from 21 completed projects over KRW 5 billion were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ariables including material and labor costs, project duration, floor area,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safety personnel.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lculated and actual OSHME, and the proposed model explained 95.3% of the variance (R2 = 0.953). Variable sele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by addressing multicollinearity. The model offers practical value for early budgeting and supports policy improvements that align safety expenses with real on-site need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his study assessed the processing suitability and functional potential of sweet potato paste by comparing quality characteristics across different cultivars and heat treatment methods (steaming and baking). Generally, moisture content was higher after steaming, with the ‘Bodami’ and ‘Pungwonmi’ cultivars retaining more moisture, while ‘Jinyulmi’ and ‘Danjami’ had lower moisture levels. Purple-fleshed cultivars displayed negative a* and b* values, indicating bluish hues, whereas yellow-fleshed cultivars maintained stable b* values after heating. Both °Brix and free sugar levels increased after treatment, with baking significantly elevating maltose levels and enhancing sweetness. Apparent viscosity was higher in ‘Danjami’, ‘Jinyulmi’, and ‘Bodami’, while ‘Hogammi’, ‘Hopungmi’, and ‘Sodammi’ exhibited lower viscosity. Additionally, ‘Bodami’ and ‘Danjami’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confirming their potential as valuable functional ingredient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ppropriate cultivars and heat treatments to optimize th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qualities of sweet potato paste.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연구로써 연 구자는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통찰과 방법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총 42편의 논문을 분석했다. 문헌 분석은 북한이탈주민의 법 적 지위와 법제 통합, 외국 사례의 분석과 시사점 연구, 대북지원과 통합 정책 평가와 방향 제시, 사회적 자본과 멘토링 연결망, 북한이탈주민의 동질성 회복 및 공생, 학교 적응과 교육, 차별과 취업 불만, 낙인, 문화 적응과 관계 형성, 소통과 심리적 통일, 포섭과 배제의 연구 문제로 나누 어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치적 다양성, 주 체사상의 극복과 새로운 시민으로서의 정체성 재구성, 북한이탈주민들의 문화자본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제3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 이탈주민 여성 자녀들의 문제와 지지방안 수립에 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자녀의 노동시장 성취에 있어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가정배경의 직접효과(DESO: Direct Effect of Social Origin)가 작동해왔는지 확인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28-65세 국민대표샘 플로 구성된 자료를 성별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개의 질문에 답하 고자 했다. 첫째, 첫 직업, 현 직업, 현재 소득 등 자녀의 사회경제적 성 취에 있어 가정배경의 효과는 존재하는가? 둘째, 이 효과는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특히 대학졸업자들 사이에서 가장 약한가? 셋째, 이 효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해 왔는가? 넷째, 사회경제적 성취에 대한 교육의 보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해 왔는가? 분석결과 한국 사회에서 DESO는 존재하며, 대학교육자들에게서도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출생코호트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교육수준에 따 른 사회경제적 보상의 상대적 격차 역시 출생코호트에 따라 거의 변하지 않았다. 대학졸업자 사이에서 나타나는 DESO는 특히 대학졸업자의 공급 규모가 수요를 초과하는 한국의 상황에서 좋은 가정배경이 동일한 인적 자본을 갖춘 사람들에게 차별적인 보상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암시 한다. 결론에서는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인 방안들에 대해 간략히 논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을 탐색 하여 다문화가족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한 실천적 근거를 마련하 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 아동이 인식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포커스그룹(FGI) 인터뷰를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 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방법을 통해 다문화가족 아동이면서 지역아동센 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 18명을 3집단으로 구성하여 자료를 탐색하였 다. 연구결과, 3가지의 대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성과로는 ‘어울림’을 배우는 장 이 되고 있음으로 도출되었으며,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의 한계로는 ‘다문화’에만 매몰되어 한 단계 뛰어넘지 못함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아동센터의 나아갈 방향으로는 ‘母’어와 ‘모’국이 잇닿는 강점 살려 주기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다문화가족 아동을 돌보고 있 는 지역아동센터의 전문성 강화 및 지속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족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한 다각적인 논의가 확대되길 기대해본다.
본 연구는 태평광기(太平廣記) 「수족(水族)」류 수괴(水怪)에 대한 후속 연구이자, 수괴의 주요 능력인 ‘변신(變身)’에 대한 심화 연구이다. 주요 텍스트는 「수족」류 9권 (권464∼권472)에 수록된 179편의 이야기이다. 우선 변신의 분포 상황 및 변신 전후 의 존재 형태에 따른 변신의 유형과 의미를 개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실 제 내용에 근거하여 변신의 발생 조건과 변신의 목적, 변신의 과정 및 지속과 해제 등으로 구분하여 변신의 원리와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고대 수괴 의 세계관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변신이라는 장치 속에 들어있는 고대 중국인의 문 화적 경험과 상상력의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이는 고전의 활용 가치를 높여 현대 적 의의를 더하는 작업일 뿐 아니라, 중국 해양문화의 역사적 연원과 시대적 특징을 탐색하고, 해양문화콘텐츠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 성과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conventional road traffic noise prediction models are designed to estimate long-term representative noise levels, capturing fine-scale noise fluctuations caused by real-world traffic dynamics is challenging. A previous study proposed a microscopic road traffic noise model (MTN) can calculate time-series noise levels with a resolution of 1 s using the concept of a moving noise source.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noise prediction of the model. First, by comparing the calculated noise levels of two conventional road traffic noise models and the MTN in a simple road simulation environ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lculation error was within 3 dB(A) when calculating the 1-h equivalent noise level. Seco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noise prediction error of the MTN on six actual roads. A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noise level using the MTN based on traffic data collected from actual roads with the measured noise level on real roads showed that the calculated noise level achieved a mean absolute error (MAE) of 1.88 dB(A) from the equivalent noise level and 1.28 dB(A) from the maximum noise level. This was similar to the MAE of the foreign road traffic noise models. However, when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is within 10 m of the road, an error of more than 3 dB(A) occurs because of the simplicity of the MTN propagation model, which remain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n the future. This study proved that the noise level calculation using the MTN is similar to the noise of an actual road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MTN is expected to make it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 management of road noise.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계약법’이라 한다) 제5조 제 3항은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계약을 체결할 때 이 법 및 관계 법령에 규정된 계약상대자의 계약상 이익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특약 또 는 조건을 정해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제4항은 “제3항에 따른 부당한 특약등은 무효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부당특약금지 및 그 무효규 정의 적용과 관련하여 대법원은 계약상대자의 계약상 이익과 합리적 기대에 비하여 형평에 어긋나는 특약으로서 계약상대자에게 부당하게 불이익을 주는 특약은 무효라고 판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법원이 제시하는 기 준은 불공정약관을 규제하기 위한 약관규제법의 법리를 차용한 것임을 밝히 고, 이러한 대법원의 태도가 기본적으로 타당한 입장에서 선 것임을 검토하였 다. 나아가 대법원은 위의 판단기준에도 불구하고 부당특약에 대한 판단을 할 때 매우 소극적 운영을 하고 있음을 살펴 본 다음, 이러한 운영방식은 국가계 약법상 부당특약금지 규정의 입법취지상 반드시 타당한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가계약법에 의해 설정된 국가와 그 상대 방의 이익조정을 위한 규정(예를 들어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규정)으 로부터 이탈되는 특약을 체결하는 경우 그 특약의 합리성을 국가가 증명하지 못하면, 그 특약은 부당특약으로 추정하도록 증명책임을 전환하여야 할 필요 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hen predicting acute oral toxicity using QSAR software, the reliability of the predicted values was studied according to a single functional group or multiple functional groups within a single chemical. Acute oral toxicity is predicted using EPA T.E.S.T S/W for chemicals registered in ChemIDplus. The effect of a combination of specific functional periods on the degree of consistency of predicted values was studied. When some specific functional groups (combinations) exi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and predicted values were high and 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ction accuracy was high when the Anion group and the Halogen group were together, and the perdiction accuracy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Nitrile group was present. As a result of accumulating such data and showing reliability in predicting acute oral toxicity with EPA T.E.S.T S/W for 10 SVHC substances without experimental values, the matching rate was derived from at least 0% to 73.33%.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some tendency of the QSAR predic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pecific complex functional groups. When 10 SVHC substances without experimental data were predicted to be toxic through T.E.S.T S/W by quantitatively databaseizing the above tendency, 0~73.33% of the resul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showing the realiability of the program pre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연구를 수행한 후 북한이탈주민 20 명을 개별 심층 면접하여 상위 구인 요소와 하위 구인 요소를 구성했다. 다음은 북한이탈주민 10명으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내용 타당성을 검토한 후, 연구 자료는 척도개발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 예비 문항을 구성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 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204명으로부터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AMOS 26.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7요인, 전체 문항 수는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 하위 요인은 ‘문화 통합’, ‘사회 참여’, ‘영토적 소속감’, ‘사회적 연대 의식’,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사회적 연결’, ‘신뢰감’으로 명명했다.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RMSEA, CFI, TLI 수치는 양호한 것으 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