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근시에서 굴스트란드 모형안에 편심 렌즈를 적용했을 때의 광학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굴스트란드 모형안은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설계하였으며, 근축 근사 없이 정확 한 분석을 제공하는 광선 추적 기술을 적용하여 편심 렌즈로 인한 초점거리와 굴절력의 변화를 정밀하게 조사하 였다. 결과 : 렌즈 중심축의 편심이 초점거리, 굴절력, 광 경로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편심 조건에서 분석하였 으며, 특히 중심축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평행광선이 입사하는 경우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광선의 입사 높이 가 극도로 커짐에 따라 편심의 효과는 감소하고, 출사 광선의 초점은 서로 가까운 지점으로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 었다. 렌즈와 눈의 굴절력과 편심에 따른 프리즘 굴절력 효과를 포함하는 전체 굴절력은 광선의 입사 높이가 감소 함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사시 및 사위와 같은 시각적 이상을 교정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편심된 렌즈를 설계하 고 처방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편심 렌즈 설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선형적 광학 효과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각적 성능 제공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eriodontal disease (PD) is strongly linked to increased risk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however, the specific mechanism through which the development of PD and OSCC is simultaneously promoted remains unclear.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eriodontal pathogens on OSCC progression and the contribution of periodontal pathogen-stimulated OSCC to PD development. The expression of osteoclastogenesis-inducing factors was assessed using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following stimulation of OSCC with lipopolysaccharide (LPS) derived from the periodontal pathogen Porphyromonas gingivalis (Pg), a pathogen commonly responsible for PD. The cell counting kit-8 assay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g-LPS on OSCC proliferation and drug resistance to cisplatin and 5-fluorouracil. The effects of conditioned medium (CM) derived from Pg-LPS–stimulated OSCC on osteoclastogenesis was evaluated using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staining o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Pg-LPS administration in SCC-25 and YD-8 OSCC cell lines in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mRNA expression; however, it did not affect cell proliferation. Treatment with CM derived from Pg-LPS–stimulated SCC-25 or YD-8 cells markedly enhanced the formation of TRAP-positive multinucleated cells dur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of BMMs. Al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Pg-LPS–stimulated OSCC promoted osteoclastogenesis through a paracrine mechanism.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collect and refine "Natural resource survey" and ecosystem research data of 23 National parks in South Korea, including Hallasan on Jeju Island and Palgongsan newly designated as national park in 2023. Amo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1,538 species from 54 families of Hymenoptera insects were recorded. Within these families,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was recorded in the family Ichneumonidae with 514 species, followed by Formicidae (118 species), Braconidae (112 species), and Tenthredinidae (135 species), exhibiting relatively high species diversity. Among the National parks, Jirisan, the first designated National park in South Korea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compared to other parks, record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with 618 species, while Taebaeksan recorded relatively low species diversity with 77 speci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Hymenoptera species and other factor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elative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P > 0.005, R = 0.864) with the total number of insect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relatively weak positive correlation (P > 0.005, R = 0.615) with the park's area.
한강 3개 보 구간 수변부 11개 지점을 대상으로 2023년 총 2회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00종 평균 426.0 개체/m2였다. 여주보에서 6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강천보에서 59종, 이포보에서 54종, 한강보상류 에서 41종, 한강보하류에서 32종이 확인되었다. 전체 평균 개체밀도는 강천보에서 944.1 개체/m2로 가장 많았고, 한강보상류에서 282.7 개체/m2, 여주보에서 251.9 개체/m2, 이포보에서 180.6 개체/m2, 한강보하류에서 172.9 개체 /m2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강 보 구간에서는 플라나리아류, 실지렁이, 깔따구류 등이 우점함. 보구간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단순한 하상 및 깊은 수심에 적응성이 높은 실지렁이, 깔따구류의 우점은 일반적인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수변부에서 밀집된 플라나리아류의 채집이 이뤄져 우점된 결과를 보인 것으로 보임. 한강 보 구간 수변부 및 중앙부 조사지점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강보 하류는 3개 보에 비해 우점도가 높고 다양도 와 풍부도가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상류부에 위치한 한강보상류 등의 지점에서 군집안정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미소서식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모기는 감염병을 매개하는 종으로 전염병 확산 억제를 위해서는 개체수의 감시와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기 개체수 및 기상 및 현장 자료를 활용해 모기 개체수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기 개체수는 디지털 모기 측정기(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 DMS)의 2015 년~2022년의 5월~10월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상 자료는 기온, 강수량, 풍속, 습도를 사용하였으며, 현장 조사 자료는 현장을 명목척도와 서열척도로 나누어 기록하여, 명목 척도의 경우 원핫 인코딩으 로 변환해 수치화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머신러닝 모델은 Artificial Neural Network,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Machine, Support Vector Machine이며 성능지표로 R2, RMS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Gradient Boosting 모델이 R2 0.4, RMSE 22.45로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현장 조사 자료 를 분석에 활용하였을 때 R2는 증가하였고, RMSE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기 개체수에 현장 조사 자료가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ustomers’ service experience is related to the perceived state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target at various channel touchpoints (Kaushal & Yadav, 2023). Furthermore, positive customers’ service experiences can increase the repurchase intention of buyers by strengthening the inter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buyers and suppliers in business-to-business (B2B) firms and reinforcing corporate competitive positioning.
디지털로 시작된 세대 간의 지식전복과 이에 따른 격차는 게임이라는 콘텐츠를 통해 그 차이점을 드러낼 것이라는 것을 가정하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실제 부모의 게임에 관한 인식이 자녀 의 삶에 중요한 변수로 자리를 잡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 분석 결과, 부모의 게임인식은 자녀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 하지만 자녀가 판단했을 때 부모의 게임인식 수준은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 었다. 이는 부모가 스스로 판단하는 게임인식보다, 디지털 세대인 자녀의 게임 활동과 문화를 어떻게 인식 하고 대하는지에 따라 자녀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의 게임인식과 자녀의 게임인식 간의 격차는 청소년 자녀의 행복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을 하며, 이는 청소년 자녀의 게임 활동을 부모세대가 꼭 배우고 습득하는 것만이 자녀 세대를 이해하는 길이 아니라, 자 녀와 함께 소통하면서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시대적 상황에 의하여 한 가정 내에 부득이하게 발생한 문화적 취향의 차이지만, 이를 부모가 인정하고 이해하는 방향으로 소통을 진행한다면 자녀의 삶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micro-defects on/in carbon fibers were modified by irradiation with an electron beam, which improv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single carbon fibers.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was 10 kGy (using a 1.5 MeV accelerator in the air). The total doses ranged from 100 to 500 kGy.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ingle carbon fiber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micro-defects on the fiber surface were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nd those in the fiber were evaluated by Raman spectroscopy. In conclusion, the electron beam treatment produced changes in the micro-defects on/in the carbon fibers, resulting in up to 14% improvement in the tensile strength of single carbon fiber.
This epidemiological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ncidence, areas, severity, and time of occurrence of sports injuries in elite female rowing athletes who were training at the Jincheon National Training Center for a 1-year period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2017. According to the daily injury reports form of the IOC, sport events, weight division, injured area, and cause of injury were record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Upon comparing the incidence of sports injur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of double scull athletes. In terms of spo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ir and athletes who played double skull. Injuries occurred most commonly in the lower extremity (40.5%), followed by the trunk (35.1%), upper extremity (24.3%). for all athletes in rowing. The knee and lumbar spine/lower back were the most common injury sites. More than 60% of all injuries were Level III, and injuries occurred most frequently during training, followed by weight training and then compe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