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ori-1, the nuclear power plants in South Korea, first started operation in April 1978 and was suspended permanently in 2017. The saturation rate time of spent nuclear fuel generated by major nuclear power plants operating in Korea are getting closer. If we fail to dispose spent nuclear fuel, which is equivalent to high-level radioactive waste, the nuclear power plants will have to be shutdown.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s permanently disposed through a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because it contains long-term half-life nuclides and emits high energy. To select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site and construct the disposa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ppropriate regulatory policies accordingly. The status of database construction in OECD-NEA, NRC, SITEX, and IAEA, which provides safety regulations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stipulates each requirement for dismantling nuclear power plants. However, details such as specific figures are not specified, and guidelines for the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s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In Korea, the CYPRUS program, an integrated database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support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for high-level waste disposal. However, due to several difficult situations, maintenance and upgrades have not been performed, so the research results exist only in the form of raw data and the new research results have not been reflected. Other than that, there is no preemptive basis for regulating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With real-time database, we can develop a regulatory system for the domestic deep disposal system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regulatory condition and regulatory case data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foreign leading countries. The database system processed and stored primary data collected from nuclear safety reports and other related data. In addition, we used relational database and designed table to maximize time and space efficiency.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eb service so that multiple users can easily find the data they wan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se technologies, this study established a database system by analyzing the legal systems, regulatory standards, and cases of major foreign leading countries such as Sweden, Finland,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is database aims to organize data for each safety case component and further prepare a safety regulatory framework for each stage of development of disposal facilities suitabl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eneficial effect of silicon (Si) in increasing salt stress tolerance has been observed in many plants, including the cereal crops rice, wheat, and barley. In this experiment, we examined the effect of Si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torenia (Torenia fournieri L inden ex F oum) ‘ Duchess Blue and White’ cultured in vitro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alt stress. Previous reports had suggested that torenia exhibited low salt tolerance. Shoot buds isolated from 16-day-old seedlings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containing 0, 50, or 100 mM NaCl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1.8 or 3.6 mM Si supplied as K2SiO3. Plant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NaCl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survival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to 100% when 1.8 or 3.6 mM Si was added to the MS medium containing 50 mM NaCl. However, only 31% of plantlets survived when 1.8 mM Si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100 mM NaCl. Shoot and root length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um, whereas addition of NaCl to the MS medium also significantly reduced fresh and dry weights. However, Si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s under 50 mM NaCl,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greatest fresh and dry weights were recorded when shoot buds were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50 mM NaCl and 3.6 mM Si. The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scavenging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ascorbate peroxidase (APX), and catalase (CAT), but not peroxidase (POD), were markedly higher in the presence of 50 mM NaCl than the activity of the control. When Si was added to the medium containing 50 mM NaCl, activities of SOD, POD, APX, and CAT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50 mM NaCl treatment. Thus, Si-mediated tolerance to NaCl stress was not due to increased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Although Si was not effective in increasing tolerance to high salt concentrations, such as 100 mM NaCl,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 supplementation could effectively enhance tolerance to 50 mM NaCl stress.
        4,000원
        6.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drinking water additive and oral gel on clinical parameters related to periodontal disease in beagle dog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healthy 15 beagle dogs. Following a professional teeth cleaning procedure, do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og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thing, those in the drinking water additive (DWA) group received 800 ml water with 15 ml of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drinking water additive daily, and those in the Oral gel (OG) group were treated with oral gel containing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0.05% chlorhexidine gluconate daily.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plaque index (PI), calculus index (CI), and gingivitis index (GI) were evaluated at two and four weeks. Dogs in the DWA and OG groups had significantly less plaque than dogs in the control group at two and four weeks (P<0.01, P<0.05). And, at four weeks, CI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On GI, similar scores were recorded for all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DWA group and the OG group. The effect of alcohol-free cetylpyridinium chloride drinking water additive was similar to the result for alcohol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mouthwash reported in a previous study. The effect in control of periodontal disease was better in the OG group because of additional chlorhexidine gluconate. However, use of drinking water additive will be more convenient for owners; thus, it will be more effective for achievement of long-term results.
        4,000원
        7.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subspecies and stocks of minke whale meats purchased from Korean markets during 2005-2007, we first obtained their complete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and control region sequences, and compared these sequences to the corresponding sequences of the common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obtained from GenBank. From analyses with partial cytochrome b sequences (383 bp) and non-coding, partial control region sequences (463 bp), Korean mink whale meats are identified as products from the North Pacific minke whale (B. a. scammoni). In addition, the sequences of the partial control region from these meats showed G at site no. 298 and G or A at site no. 463, and the meats appeared to originate from the J stock within this subspecies. Thus, because the J stock has been protected since 1986, implementation of strict regulation measures to reduce their accidental fisheries by catch seems urgent. In addition, B. a. scammoni is distinct from B. a. acutorostrata, with an average Jukes-Cantor distance of 2.21% in the complete control region sequence analysis (935 bp) and 1.31% in the complete cytochrome b gene sequence analysis; the current results support the current subspecies classification, although further sequencing analyses with nuclear genes are necessary.
        4,000원
        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3.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분을 냉동반죽에 첨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냉동생지의 물리적 특성은 farinograph. ertensograph, amylograph를 통해 측정되었다. 측정된 결과는 전분이 첨가된 냉동반죽이 대조구에 비해 더욱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반죽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냉동보관기간에 따라서 측정되었는데 전분을 첨가한 반죽이 대조구에 비해 물리적, 화학적 변화가 작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전분이 냉동반죽의 냉동보관중 제품열화를 방지함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전분은 냉동보관중 냉동반죽의 효모활성력과 글루텐망상구조를 냉동장애로부터 보호한다고 생각된다. 이 실험을 통하여 여러 전분 중에 특히 감자전분의 첨가가 냉동반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4.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자초 적색소의 안정성을 연구한 결과 적색소의 온도에 대한 영향은 40∼80℃의 조건에서 1∼2시간 정도의 가열로는 색상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장시간 보관시 55℃ 이상 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색상이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적색소의 햇빛에 대한 영향은 적색 및 녹색 포장에서는 색상이 안정 하였으나 황색 및 청색 포장에서는 심한 색상의 변화를 보였다. 적색소의 pH에 대한 영향은 pH 4∼8의 조건에서 색상이 매우 안정하게 나타났으며 pH 10 이상에서는 색상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적색소의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은 KCl, NaCl 첨가에서는 색상이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CaCl_2, FeCl_3, CoCl_2, AlCl_3, MnCl_2 첨가시에는 완전히 다른 색상으로 변화하였다. 적색소의 구연산. 초산에 대한 색소 안정성은 양호한 편이며 특히 초산에서는 색상의 변화가 없었다
        4,000원
        1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초종피 메탄을 추출물과 hyperoside의 사전투여가 사염화탄소에 의해 예상되는 혈청지질성분의 농도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해 TCR계 mouse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염화탄소로 혈청 총콜레스테를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산초 메탄올 추출물과 hyperoside의 사전투여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이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20㎎/㎏ hyperoside 투여군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았다. 사염화탄소로 혈청 HDL-cholesterol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산초 메탄올 추출물과 hyperoside의 사전투여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이의 감소를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20㎎/㎏ hyperoside 투여군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았다. 사염화탄소로 혈청 LDL-cholesterol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산초 메탄올 추출물과 hyperoside의 사전투여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이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20㎎/㎏ hyperoside 투여군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았다. 사염화탄소로 혈청 triglyceride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산초 메탄올 추출물과 hyperoside의 사전투여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의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시켰다.
        4,000원
        1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산물 가공시 흘러나오는 폐수 충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을 chitosan에 흡착시키기 위하여 albumin과 hemoglobin, albumin-myoglobin혼합단백질을 이용하여 chitosan과의 흡착 및 chitosan 제조조건에 따른 흡착효과와 chitosan 의 수용성 단백질 흡착에 미치는 인자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hitosan의 탈아세틸화 조건을 60, 70, 80%로 달리하여 albumin, hemoglobin, albumin-myogloin 혼합용액에 적용했을 때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가 높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률은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chitosan의 분자략을 변화 시켰을 때 chitosan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으 흡착률은 높게 나타났다. pH 변화에 따른 Chitosan과 수용성 단백질 흡착률은 albumin 및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서는 pH 4.0에서 hemoglobin 용액에서는 pH 7.0에서 흡착률이 높게 나타났다. Chitosan과 수용성단백질과의 흡착에서 반응시간은 albumin 및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서는 4시간, hemoglobin 용액에서는 3시간까지 흡착률의 증가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수용성 단백질 용액에 NaCl 농도를 0.1M에서 1.0M로 증가시켜 첨가했을 때 염의 농도가 높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4,000원
        1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experiments were studi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various natural nuts and imitated one. Natural nuts`(peanut, almond, hazelnut, pistachio)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mpared with imitated one used by partially hydrogenated soybean oil, wheat germ and soy protein etc. The contents of crude lipid and free lipid of the imitation nut were 58.74%, 45.92%, respectively. These were higher than natural nuts, but hazelnut was higher than imitation nut. The bound lipid of imitation nut was lower than natural nuts because it was made by partially hydrogenated soybean oil. The contents of glycolipid and phospholipid of imitation nut were lower than natural nuts. Iodine value of imitation nut was lower than natural nuts because it`s oxidative stability was higher than natural nuts. Arachidic acid, eicosenoic acid, behenic acid, lignoceric acid were found only in the peanut. Generally linolenic acid was found in soybean oil, but it was analyzed in imitation nut.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highest not only imitation nut but natural nuts.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in imitation nut were little more than natural nuts.
        4,000원
        1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밤차로부터 음출한 차액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을 시판중인 현미녹차와 결명자차의 차액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밤차의 기능성 건강음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믐과 같다. 1. 현미녹차의 차액에는 glucose와 galactose 약 20:1 정도의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따른 당류의 변화는 적다. 2. 밥차의 차액에는 glucose, galactose. mannose 등이 약 100:1:10의 비율로 존재하며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의한 변화는 적다. 특히 mannose는 천연에서 유리상태로 존재하기 어려운 희귀한 유리당이다. 3. 결명자차 차액에는 당류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결명자차의 amino산 함량은 현미녹차나 밤속껍질차의 아미노산 함량에 비해 1/6∼1/7에 지나지 않았다. 4. 현미녹차의 차액 중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serine, methionine, alanine 등의 순서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였고, 아미노산의 용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밤차의 차액 중에 아미노산은 alanina asparagine, aspartic acid, proline, val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alanine, asparagine, proline 등은 현미녹차에 비하여 함유량이 많으며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glutamime 등은 상대적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아미노산의 용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현미녹차는 카페인을 126∼162㎎/L정도로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밤차나 결명자차는 함유하지 않았다.
        4,000원
        1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충북지역의 주부 590멍을 대상으로 시판김치의 사용실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판김치의 구매는 30대에서 많았고 고졸의 경우에 많았다. 직업 유무, 월수입, 주거 및 가족형태는 시판김치 이용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를(P<0.05) 보여서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시판김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김치의 선호도는 배추김치가 73.2%로 높게 나타났고. 시판김치 구 매 장소는 주로 대형 슈퍼마켓을 이용하였으며. 1회 구매분량은 3포기를 구매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편리하기 때문과 가사와 자녀로 시간이 부족하여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어떻게 담그는지 몰라서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제품 선택 동기는 주로 구매 경험에 의해서 시판김치를 구입하였다. 광고를 보고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고 재료나 점원의 권유에 의해서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지적한 시판 김치의 개선점은 가격이었다.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밖에 위생면, 맛의 다양성, 분량과 용기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다. 향후 시판김치 구매 여부에 대해서는 73.2%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앞으로도 시판김치를 구매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상품화 된 김치의 이용은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의 향상에 의해 주부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식생활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가격면, 위생면, 맛의 다양성, 분량과 용기 등에 있어서도 한 단계 개선된 고품질 김치의 생산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2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찹쌀가루액에 효소처리 및 미생물 접종을 시킴으로써 유과의 제조시 수침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유과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찹쌀 수침액에 분포된 미생물은 Bacills spp. 와 Lactobacillus spp.로 나타났다. 찹쌀수침액에 인위적으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였을 때 유과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30℃에서 18시간 이었다. 이때 찹쌀수침액의 pH는 배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 찹쌀 수칩액에서는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α-amylase 활성이 증가하여 효소 처리된 시료액의 효소 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과의 팽화도는 효소처리시킨 혼합 접종처리군을 제외한 모든 처리군에서 28일간 수침한 것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경도와 peak수는 모든 처리군에서 28일간 수침시킨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p<0.05). 미세구조에서 기공수는 효소처리시킨 단독 접종군이 다른 모든 처리군에 비해 더 많은 기공수를 지니고 있었고 기공의 둘레 및 면적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수침공정을 대폭 단축할 수 있었으며, 향후 미생물 접종을 고려한 효소처리 조건을 정밀 분석한다면 수침공정이 없어도 유과의 품질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