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With rapid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tablet PC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convenient, prolonged use often causes neck and shoulder discomfort due to poor posture, such as forward head posture and rounded shoulders. Although students commonly use tablets for writing,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head movements during these tasks. Objects: To compare frontal plane head movements and tablet tilt angles between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neck pain during tablet PC use. Method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neck pain presence (neck pain group and no pain group). Each participant sat at a table, adjusted the tablet stand angle independently, and placed the tablet accordingly. Participants wore earphones and dictated English sentences to ensure focused handwriting and the evaluator recorded all process. These video recordings of handwriting sessions were analyzed for frontal plane head movements using Kinovea software.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applied to reveal the group differences in tablet tilt angle, total head movement (THM), horizontal head movement (HHM), and vertical head movement (VHM).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eck pain and no neck pain groups in tablet tilt angle or HHM (p > 0.05). In contrast, the neck pain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THM (p < 0.001) and VHM (p < 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eck pain and tablet tilt angle or HHM, but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creased VHM and THM. These findings provide basic knowledge for understanding movement patterns in individuals with neck pain.
Background: The progressive digitalization of contemporary life, coupled with prolonged sedentary behavior, has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occurrence of forward head posture (FHP) in the general population. Among the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s aimed at correcting FHP, stretching exercises and proprioceptive training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s and proprioceptive training on craniovertebral angle (CVA), an indicator of forward head posture (FHP), and on the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stretching exercise group (n=15) or the proprioceptive training group (n=15), and each group underwent intervention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CVA and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ix-week intervention,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comparison. Result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VA after the intervention (P<.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either within or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Six weeks of stretching exercise and proprioceptive training both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VA, demonstrating that both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FHP. However, neither intervention produ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본 연구는 환경 요인을 바탕으로 절화용 국화 생장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3개의 모델(Linear Regression, Lasso Regression, Ridge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K-Nearest Neighbors (KNN),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Neural Network,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AdaBoost, CatBoost, Stacking)의 성능을 R2, MAE, RMSE를 평가 지표 로 비교하였다. 단일 모델 중에서는 Decision Tree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R2값은 0.90에서 0.91 사이였다. 앙 상블 모델 중에서는 CatBoost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R2=0.90~0.92) Random Forest와 XGBoost 또한 유사한 성 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트리 기반 앙상블 모델이 국화 생장 예측에 적합한 모델로 나타났다.
Amitriptyline hydrochloride (AMT), a tricyclic antidepressant, is known to exhibit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a wide range of bacterial speci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AMT on Brucella (B.) abortus infection in RAW 264.7 cells and ICR mice, which has not yet been clearly characteriz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ested concentrations of AMT had no direct bactericidal effect on B. abortus survival at any incubation time point. Interestingly, RAW 264.7 cells pre-treated with a non-toxic high concentration of AMT before B. abortus infection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hagocytosis of B. abortus at 20 min post-infection, compared to untreated cells. However, AMT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intracellular replication of B. abortus compared to the control cells. Based on the reduced bacterial uptake observed in-vitro, an in-viv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whether daily oral administration of AMT at a dose of 20 mg/kg could inhibit B. abortus growth in ICR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AMT treatment slightly increased both organ weights and bacterial loads, suggesting possible systemic effects of prolonged AMT exposure. In summary, these preliminary results provide initial insight into the potential effects of AMT on B. abortus infection both in-vitro and in-vivo.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dose optimization in-vivo and exploration of the underlying cellular mechanisms involved in AMT-mediated inhibition of phagocytosis during Brucella infection.
가속화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현지 소비자를 유인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에 대한 논의가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브랜드 글로벌성을 강조한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과 현지 문화 어필을 통해 친밀감을 높이는 현지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은 해외 기업에게 있어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구축을 위한 주요한 의사결정 요인이다. 본 연구는 글로벌 패션 매거진의 내용 분석 을 통해, 패션 브랜드의 매거진 광고에 있어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의 트랜드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패션 매거진의 경우, 제품의 속성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 전달보다 유명인 광고를 통해 브랜 드 메시지 및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초점을 두고, 유명인 광고에 있어 글로벌 혹은 현지 소비자 문 화 포지셔닝의 행태를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유사한 문화권임에도 글로벌성과 현지성의 선호에 따른 브랜드의 전략적 방향이 다를 수 있음을 기반하여, 중국과 일본의 패션 매거진의 내용 분석을 통해 유명인 광고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패션 매거진으로 대표되는 Vogue 및 GQ가 2023년에 중국과 일본에서 발행한 패션 매거진을 기반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 석 결과, 중국의 경우 현지성을 강조한 유명한 광고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로벌 명 품 브랜드의 경우, 중국과 일본 모두에서 표준화된 글로벌 접근이 지배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패션 매거진의 통합적인 내용 분석을 통해 유명인 광고의 글로벌성과 현지성의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으며, 유명인 광고의 패턴은 국가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 고, 특히 중국의 경우, 소비자 친밀감 및 신뢰감을 기반한 현지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ltra-low-temperature (4.2 K) tensile properties and deformation mechanisms of stainless steel 304L manufactured via laser powder bed fusion (LPBF). The tensile properties of LPBF 304L were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304L to assess its suitability for cryogenic applic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LPBF 304L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yield strength but lower ultimat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than conventional 304L at 4.2 K.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yield strength also favored LPBF 304L. Microstructur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LPBF 304L features a high density of dislocation cells and nano-inclusions, contributing to its greater strength. Furthermore,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was observed as a key deformation mechanism at cryogenic temperatures, where austenite transformed into both hexagonal-closed packed (HCP) and body-centered cubic (BCC) martensite. Notably, BCC martensite nucleation occurred within a single HCP band. These findings provide critical insights into the mechanical behavior of LPBF 304L at cryogenic temperatures and its potential for applic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강릉지역의 중학교 3학년의 굴절 상태를 분석하여 지역적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법 : 남학생 208안, 여학생 117안 총 325 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등가구면 굴절이상 정도의 분 류는 정시 기준은 –0.25 D ~ +0.25 D, 경도 근시 –0.50 D~ -2.75 D, 중등도 근시 –3.00 D ~ 5.75 D, 고도 근 시 –6.00 D 이상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굴절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근시 291안 평균 굴절력은 –2.94±1.91 D, 남학생은 –2.85±1.89 D, 여학생은 –3.11±1.94 D로 조사되었 다. 근시 정도의 분류를 비교했을 때 경도 근시는 –1.40±0.75 D, 중등도 근시는 –4.06±0.87 D, 그리고 고도 근시는 –6.78±0.89 D으로 나타났으며 총 325안의 평균 굴절력은 –2.63±2.03 D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근시의 평균 굴절 력은 경도 근시는 남학생 –1.37±0.71 D, 여학생 –1.47±0.82 D, 중등도 근시는 남학생 –4.03±0.86 D, 여학생 –4.11±0.89 D, 고도 근시는 남학생 –6.63±0.86 D, 여학생 –7.09±0.94 D으로 나타났다. 난시의 평균 굴절력을 비교해 본 결과 남학생 –1.43±1.00 D, 여학생은 –1.34±0.98 D로, 경도 근시는 남학생 –1.24±0.97 D, 여학생 –0.92±0.41 D(t=-2.10, p<0.050)로, 고도 근시는 남학생 –1.44±0.49 D, 여학생 –2.50±1.76 D(t=2.34, p< 0.050)으로 나타났다. 결론 : 학생들은 근시 범위 중에서 중등도 근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에서 경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 근시 범위 모두 더 높은 굴절력이 나타났고, 난시 비교에서는 고도 근시 범위에 해당되는 난시에서만 여학생이 높 게 나타났다. 앞으로도 시력 관리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Aulacophoroides hoffmanni (Takahashi, 1937)를 최초로 보고한다. 2024년 야외조사에서 한국의 서부 2개 지역의 등나무(Wisteria floribunda (Willdenow))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A. hoffmanni를 확인하였다. 무시성충의 상세한 형태 기재와 계측값을 제시하였으며, 생체 및 슬라이드 표본 사진을 포함하였다. 이 종은 등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관상용 등나무의 주요 해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효모 유래 MPC의 세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 다. 피부 세포주에 처리된 Cu와 Zn 이온 모두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지만, 정제된 MPC는 결합된 금속 이온의 세포 독성을 획기적으로 제거하였다. 게다가 특정 농도의 MPC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 율을 오히려 약 20% 증가시켰다. MPC 중 효모 펩타이드-Cu(YP-Cu)는 UVB 자극으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YP-Zn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YP-Cu 처리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을 2배 증가시켰고,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1.7배 증 가시켰으며, UVB 자극에 의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저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결론적으로, 유리 금속 이온 자체는 세포독성 효과로 인해 화장품 소재에 적합하지 않지만, 정제된 MPC, 특히 YP-Cu는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VB 자극에 따 른 유해 효과를 완화하기 때문에 잠재적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Background: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LBP), weakened core muscles and impaired proprioception contribute to decreased spinal stability and LBP recurrence.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dominal bracing exercises (BE) and kinetic link training (BEKLT) on pain, balance, and proprioception in LBP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Sixteen adults with LBP were randomly assigned to a BE group or a BEKLT group. Both groups completed a four-week intervention (three sessions per week). Pain was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proprioception with the lumbar reposition sense test, and balance with the BT4 system.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VAS and proprioception error (P<.05), with no inter-group differences. In dynamic balance (limits of stability), the BE group improved in rearward, left, and right angles, while the BEKLT group improved in forward, rearward, and left angles (P<.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orward leaning angle between groups (P<.05). For static balance,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trace length and C90 area (P<.05), with no inter-group difference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both BE and BEKLT a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reducing pain and improving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LBP, with BEKLT providing additional benefits for dynamic bal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