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자리꽃파리는 양파 및 마늘 등 백합과 Allium 속에 속하는 농작물에 중요한 해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온대지역에 서 경제적 해충으로 취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월동번데기의 성충으로 우화모델를 작성하 고 포장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월동번데기 발육모형으로 선형과 비선형모형을 작성하고 발육기간 분포 모형과 결합하여 예찰모형을 작성하였다. 비선형발육모형 작성시 3-매개변수 락틴모형 적용뿐만 아니라 4-매개변 수 모형의 마지막 변수 값을 선형모형의 절편값으로 대체하여 저온에서 선형성이 강화도록 변형시켰다. 성충우화 50% 예측에서 일일평균온도를 이용하는 경우 적산온도 모형을 비롯하여 발육률 적산모형(선형식 및 비선형식) 모두 실측치와 큰 차이가 있었다. 시간별온도를 입력값으로 한 경우 3-매개변수 모형을 제외한 사인곡선 적산온도 모형, 선형 발육률 적산모형, 4-매개변수 비선형 발육률 적산모형의 평균편차는 3일과 차이가 없었다. 최종적으로 선형모형 및 4-매개변수 비선형모형을 바탕으로 시간별온도자료를 이용한 발육률 적산모형은 선발하였다. 그 결과 선형 발육률 적산모형이 두 포장적합 집단(1984, 1987)에서 실측일과 편차가 3일과 차이가 없었다. 비선형 발육률 적산모형은 1984년 적합은 0.8일 편차로 정확하였으나 1987년 집단에서 평균편차가 6.5일로 다소 증가하였다.
        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강원도 산림유역 내 수계(총 11개 계류)를 대상으로 유목의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유목의 발생기원 추적과 함께 하천차수별 현존량과 분포형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림유역관리기술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 다. 총 1,207개 유목의 개체목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 수간만 있는 것 1,142개(95%) 및 수간과 근주가 함께 있는 것 65개(5%), (2) 자연목 1,015개(84%) 및 벌채목 192개(16%), (3) 침엽수 1,050개(87%) 및 활엽수 157개(13%)로 나타났다. 유목의 현존량(m3/ha)은 1차수 105.4, 2차수 71.3 및 3차수 35.6으로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 다. 반면 유목의 총량에 대한 유목군의 비율은 1차수 11%, 2차수 43% 및 3차수 49%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유목의 현존량을 해외의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비록 각 국가・지역별로 기후・지형・산림토양・임분의 구조와 생장량・산림의 교란정도와 관리상태가 다르지만, 유목의 현존량은 임령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목을 산림생태계의 산물이자 산지수변림 교란의 지표로서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는 산림유역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하류의 수계환경까지 고려하여 숲가꾸기 산물의 처리나 수변지역의 임분밀도관리 등을 포함한 산림관리기술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home physical therapy on patients who left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compared to the Daily living group, when it was applied to them, under the guidance of physical therapists. As research subjects, 20 patients that were scheduled to leave the hospital after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chosen,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home physical therapy group(10 patients) and an Daily living group(10 patients) in order to conduct an experiment. During the 4-week research, home physical therapy was offered for 40 mins once for 5 days a week, and muscular strength, gait components were measured. For muscular strength,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and as gait components, endurance, speed, step time, single-limb support were analysed. For this experiment, pre- and post-measurement were perform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data,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obtained.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Daily living group's. In relation to gait components, gait endurance, gait speed, step tim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whereas home physical therapy group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ingle-limp suppor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gait speed, single-limp support and step tim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home physical therapy group than in the Daily living group. In conclusion, positive results were revealed in both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with regard to muscular recovery of lower limbs of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lking, but considering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two groups, it seems that applying home physical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maintaining a daily life.
        4,000원
        10.
        200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11.
        199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argue for the so-called `Strongest Minimalist Thesis` as an optimal alternative to Chomsky`s (2001, 2004, 2005a, 2005b) Strong Minimalist Thesis. I prov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biolinguistics, that the innate faculty of language, so far assumed in the Strong Minimalist Thesis, doesn`t exist and, therefore, the narrow syntax must be eliminated from the grammar system just as a major real imperfection. Furthermore, I propose a new grammar framework, that is, the Language Generation System along the line of the Strongest Minimalist Thesis suggested in this study.
        20.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ong-Suk Kim. 2000. A Morpho-Syntactic Analysis of Reflexives: A Minimalist Approach. Studies in Modern Grammar 19, 1-26. This study proposes a minimalist DP-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reflexives in natural languages, along with Chomsky`s (1995) assumptions. This analysis proves that X^0-reflexives as well as XP reflexives should syntactically fall under the DP structure, as expected in Abney (1987). Consequently, the analysis uncovers the following long-pending mysteries: (i) why English has the occurrence of only phrasal reflexives; (ii) why phrasal reflexives consist of a pronominal element and a reflexive morpheme; (iii) why so many different types of reflexives are empirically identified in Korean. Besides,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contrast of long-distance anaphora between X^0-reflexives and XP reflexives is attributed to the analyzability of the D head of X^0-reflexives as LF clitic, which is assumed to cliticize to a higher relevant functional category at LF.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