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7

        18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덕적으로 옳다고 여겨지는 행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친사회적-도덕적 행위에 대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도덕적 행위의 동기 부여에 감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 장치(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를 사용한 인지 신경 과학 분야의 연구들을 통해 실제 보상 및 동기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알려진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 VS)의 활성화를 발견함으로써 확인되었다. 원래 VS는 보상 반응의 핵심적 영역으로 물질적 보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사회적 보상이 주어졌을 때, 친사회적 감정을 강하게 경험할 때에도 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도덕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사회적 상황에서 친사회적 도덕감을 경험할 때 보상에 민감한 영역인 VS가 활성화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리뷰 연구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상황에서 감정의 동기 부여 역할 및 관련 신경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 VS를 중심으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신경 네트워크 구조를 개관함으로써 친사회적, 도덕적으로 동기 부여가 되는 도덕적 의사결정 상황 및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4,900원
        185.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to establish strategy activating screen g olf as leisure sport and induce continuous golf participation of screen golf participants by defining rel ations between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en
        5,500원
        186.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농촌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C 초등학교 4학년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1회(3시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성취동기가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원예 활동 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87.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an overall increase of income, the general standard of living has improved and people have begun to be interested in being more healthy in their lives. This tendency has affected the food market, especially in relation to organic and eco-friendly food. Thus, the overall market size for those products has grown to give more choices to consumer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e for choosing certain food products on the actual attitude and intent to purchase the products, a survey was given to 330 people living in Seoul, which resulted in 235 usable responses.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8 questions on food choice motives, 3 questions on the attitude toward organic foods and 3 questions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for organic foods. The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of follow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Five factors of food choice motive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health, convenience, price, familiar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ood choice motive,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actor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c food attitudes and organic food attitude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ent to purchase organic food.
        4,000원
        18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의 말 산업 확대와 승마인구 저변확대에 따른 승용말 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승용말은 경주 퇴역마 또는 고가의 수입말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 서 우수하고 경제적인 승용말의 국내 생산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 식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의 발정동기화 처리법에 따른 난소와 혈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공란말 및 수란말의 발정동기화는 CIDR-Plus, 경구용 프로제 스테론(Regumate) 및 PGF2a를 이용하였다. CIDR-Plus 및 Regumate는 투여 시작부터 3 일간격으로 채혈 및 초음파 검사를 하였고, PGF2a는 투여전 및 투여 후 3일간격으로 채 혈과 호름파 검사를 하였다. CIDR-Plus 삽입 전 프로제스테론 농도가 평균 1.02 ng/ml, 3 일, 6일 및 9일째 각각 1.10 ng/ml, 4.21 ng/ml 및 8.90 ng/ml이었고, 9일째 PGF2a를 투 여하여 배란유도한 후 3일째에 0.04 ng.ml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Regumate는 투여 전, 투여 후 3일, 6일 9일 및 PGF2a 투여 후 3일째에 각각 평균 0.04 ng/ml. 0.03 ng/ ml, 1.59 ng/ml, 8/84 ng/ml 및 0.93 ng/ml이었다. 발정 증상이 없는 번식말에 PGF2a 투 여전 혈중 프로제스테론 농도는 평균 2.45 ng/ml였으며, PGF2a 투여로 평균 0.03 ng/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CIDR-plus는 발정 증상이 대체로 미약하였고, 기구 삽입에 따른 질 의 발적과 염증소견이 관찰되었다. Regumate는 급여 후 황체의 크기가 6일째에 평균 3.2 cm로 성장하였고, PGF2a 투여 후 황체 소실 및 난포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하여 말의 발정동기화는 경구용 프로제스테론이 기구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판 단된다.
        18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사료 값의 상승과 한우 값의 하락으로 한우 사육농가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 며, 한우 번식농가에서는 공태기간과 수태당 수정횟수의 증가 등에 의한 사육비용 증가 가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우 번식농가에서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와 3회 이상 인공수정하여도 임신되지 않은 저수태우의 생식기 상 태를 점검한 후 조기임신을 위해 배란동기화법인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장기공태 한우 52두의 수정기록 및 분만기록을 확인 후 생식 기의 상태를 검사하였다. 자궁 및 난소 등을 검사한 결과 자궁 상태는 모두 정상이었으 나 1두는 허약(BCS 2.0)과 난소기능 휴지로 시험축에서 제외하였다. 장기공태우 51두 중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는 13두로 평균 수정횟수 3.6회, 평균 공태일 123.8일, 평 균 산차 4.2회였으며,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장기공태우 38두의 평균 수정횟수 는 1.8회, 평균 공태일 115.9일, 평균 산차 3.3회였다.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 6두 에 Ovysynch를 처리하였고, 나머지 7두에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 38두는 19두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Ovysynch와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Ovysynch 처리는 발정주기 임의의 시기인 Day 0에 gonadorelin (Gonadon, Dongbang, Korea) 100 μg를 근육주사하였고, Day 7에 dinoprost(LutalyseTM, Pharmacia, Belgium) 25 mg을 근육주사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 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결정액 1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CIDR- based TAI 처리는 Day 0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와 CIDRⓇ(InterAg, New Zealand)를 질내에 삽입하였고, Day 7에 CIDR를 제거하고 dinoprost 25 mg을 근육주사 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 결정액 1 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수정 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에서 수태율 은 Ovysynch 처리가 50%, CIDR-based TAI 처리가 57.1%였다.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에서 수태율은 Ovysynch 처리가 63.1%, CIDR-based TAI 처리가 68.4%였다. 본 실험에서 장기공태우의 생식기 검사결과 52두 중 51두에서 정상적인 자궁과 난소상태 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장기공태 한우의 대부분이 미약발정, 발정관찰 미흡 및 배란지연 등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었다. 장기공태 한우 51두에 두 종류의 배란동기화법을 처리 한 결과 32두 임신으로 62.7%의 수태율을 나타내어 배란동기화법을 장기공태우에 적용 할 경우 양호한 수태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장기공 태우에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처리 비용측면에 있어서 Ovysynch 처리에 의한 배란동기화법이 효율적인 것 으로 추정된다.
        19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rpus luteum (CL) grade on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and we found that CL development was linked to pregnancy rate. The in vivo derived blastocyst-stage embryos were transferred to 15 recipients synchronized in the estrus cycles. Based on size and palpable characteristics, CL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ade. The grade three CL is not to be identified by rectal palpation. The pregnancy rate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in CL size of recipients. In grade one, two, and three, the pregnancy rates were 62.5%, 50.0%, and 0%,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pregnancy rates after embryo transfer might be affected by the CL status of recipients.
        3,000원
        193.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presented all active members of <W social baseball league>, an inter-social baseball league in Seoul, by collectively taking 284 social baseball participants as a sample population. This study first measured the partipation motivation for soc
        5,100원
        194.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motiva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school sports c lub and school life adjustment, and to establish the effect of a school sports club. This research can al so be helpful to determine what kind of school s
        6,100원
        19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게임을 이용한 교육은 아동, 노인, 발달장애, 재활치료, 예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교육용 기능성 게임은 공간적, 시간적, 전문교사의 한계를 극복하고, 게임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재미를 느끼면서 교육의 목적 을 전달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교육용 게임에서 학습자의 동기부여는 게임의 참여와 학습 효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 한 요소이다. 교육용 게임 개발에서 동기 부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 육 학습설계에 활용되고 있는 Keller의 학습설계 이론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를 분석하고, 교육용 게임 개발과정에 적용하여 게임을 하는 학습자에게 동기유발에 필요한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교육용 게임개발 에서 대상자의 학습 동기 유발 요소를 분류하고 정리하여, 게임의 재미요소를 적용한다. 교육용 게임을 하는 학습자에 게 게임의 중요한 특징인 ‘재미’와 ‘상호작용(Interactive)’을 이용하여 교육내용의 지속적인 참여와 학습효과 향상에 기여 한다.
        4,000원
        198.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의 개인적 특성요인과 자원봉사활동 동기 및 태도 요인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원봉사활동에 관련된 요인들이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 특성 중 특별히 동기, 태도가 각 개인의 특성요인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자원봉사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이 있는 I대의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요인 중에 연령, 출생순위, 봉사업무, 희망업무, 주거지, 그리고 성격유형별 특성에 따라 동기 및 태도요인 중 친교동기, 성취동기, 성취 및 친교 혼합 동기, 성취 및 권력 혼합 동기, 적극성, 사교성, 수용성, 협조성, 객관성,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지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동기요인 선호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교는 자원봉사활동 동기 및 태도요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의 개인적 특성요인과 동기 및 태도요인의 적용을 기반으로 한 활용가능성을 연구함으로써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 자원봉사자에 대한 효율적인 자원봉사업무 배치 상담 및 관리 프로그램 설계에 기초 자료를 실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5,700원
        19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othing value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specially men. Also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othing values effect o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For the practical study, 200 questionaries were surveyed, 110 from Korea and 105 from American. The average and frequency, t-test, χ2,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firs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he clothing value aspect. Both Korean college men and American college men considered the theoretical value to be most important, however, the American college men were higher than the Korean college men for theoretical, economic and political values. Compared to the Americans, the Koreans considered social clothing value to be more important but theoretical, economic and political values were less important.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ost of all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the reasons for the purchas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men. Both of them said that they purchase clothes to satisfy their needs. Regarding the information sources for the purchase, The Korean college men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American college men for the media information sources and lower than them for the human information sources. Regarding the place where the clothes were purchased, the Korean college men preferred to make purchases at department stores, and the American college men preferred shopping malls. Regarding the monthly expenses for clothing, less than 50,000 won($50) was the average for most of the Korean women, but most of the American college women spent 100,000 150,000 won($150) per month. Third, the clothing value was different in the reason for purchasing, the purchasing information source, the purchasing place, and the monthly expenses for the clothing.
        4,600원
        200.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mber of factors are thought to influence people’s food choices, and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ing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consumer’s motives behind choice of food types. For one thing, an individual’s personal food-related tastes are thought to certainly influence personal food choice.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new motives for food, and what motives determine the food choice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Subjects (N=210) completed a Food Choice Questionnaire (65 questions) measuring specific motives and sociodemographic conditions (9 questions). Factor analysis and ANOVA were used to ascertain the food choice motives. Fourteen factors emerged, which were labeled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natural content, price, weight control, familarity, political value, ecological protection. and religion. We also found that motives for new food choices include national image and information, ethnic food, and sanitation. Items were analysed to deter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nationality, religion, occupation, and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ll subjects thought sanitation is the most important motive in choice of food, and health, natural content, and ethnic food were also importan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