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5

        18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말기 암환자 부양 가족 102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지각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자아효 능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 건강척도, 대 인관계 지지 평가척도, 자아효능감척도, 건강증진 생활양식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 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 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말기 암환자 부양 가족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망의 이용, 자기효능감의 증진을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효과적인 부양 가족을 위한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5,300원
        18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utcome-based delivery care with simulation in nursing student. Methods: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155 participants consisting of nursing students was recrui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5 to december 5, 2015. Five hours thirty minutes of outcome-based delivery care with simulations was operated. Results: The item showing the lowest mean score was ‘verbal communication’, the highest mean score was ‘core basic nursing skill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would be useful to use the outcome-based delivery care with simulation in nursing students.
        4,000원
        183.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는 1980년대 말에 처음으로 반려동물이라는 개념을 사용한 이래로 핵가족화, 1인가족의 증가, 노령화 등으로 인해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동물학대 사례 및 유기동물 또한 점차 증가하여 반려동물 기르기에 대한 교육 및 생명존중교육의 필요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논문과 서적을 대상으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기르기에 대한 다양한 효과 중 교육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아동의 생명존중인식을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4,200원
        184.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ritish heritage brand Yardley was bought by Indian multinational Wipro Consumer Care & Lighting Group in the year 2009 from UK based Lornamead group for USD 45.5million. The task of reinventing the magic of the British heritage brand in contemporary India was not easy. Brand Yardley was perceived as a “grandmother’s brand” given the history and memory of its existence since centuries. In order to connect with young Indians, the company hired Bollywood actor Katrina Kaif (with British lineage) as their brand ambassador to evoke nostalgia of British era in India and promote heritageness of brand Yardley. However, this communication strategy failed to connect with the consumers. This research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heritageness, nostalgia, unique positioning and functional benefits as influencers in creat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leading to buying intention by the consumer in the personal care category, using heritage brand Yardley as the pivotal poi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In phase on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as us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after which variables for the study were generated. In phase two, an elaborat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first part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ics like gender, age, occupation and income. The second part of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recognizing brand Yardley among five print advertisements featuring Katrina Kaif as a model but not revealing the brand for which Katrina Kaif had modeled for. The fi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assessing questions for four factors namely, heritage, unique positioning, functional benefits, nostalgia and buying intention. The study was pilot tested once (n=89) and revised once (n=235) for clarity and accuracy. Three questions were revised and reduced. The scale used was Likert type (1 = strongly disagree to 5 = strongly agree). The sample unit was within a university campus in Mumbai as the young residents were the target audience for the brand. The outcome of the survey resulted in high Cronbach alpha of .87 and clear rotated factor structures. In phase three of the research, a set of competing brands of soaps with respect to Brand Yardley was generated from the focus group discussion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by direct method was carried out using two attributes (functional benefits and unique positioning). The research approach employed was both symmetric and asymmetric analysis to provide analytical outcom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pplication of complexity theory for contrarian cases and could be the first to formally examine tenets of complexity theory in personal care category research contexts. The research outcome revealed that functional benefits and unique positioning of brand Yardley should be crystallized using sensory branding and storytelling format that weaves around the evolution of its heritageness to evoke nostalgia resulting in buying intention.
        185.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corporate involvement and brand perception in moderating the Cause 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in the luxury product category among Japanese consumers. This research examines three core cause attributes - cause scope, cause type and cause acuteness developed by Vanhamme, Lindgree, Reast and van Popering (2012) as well as an additional component of duration – with corporate involvement and brand perception moderating th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 general public places judgment on a corporation based on how much of positive or negative impacts its business has on environment or society (Sheikh & Beise-Zee, 2011). In fact, more corporations have been develop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rograms, no matter how big their business sizes, big or small, are (Brinkvan, Odekerken-Schroder, & Pauwels, 2006). The general public loses its faith in corporations, especially after a financial crisis or malfeasances of big corporations and as a result, corporations are under stronger pressure to contribute to environmental or societal causes in order to reclaim lost faith from the general public (Sheikh & Beise-Zee, 2011; Berglind & Nakata, 2005). One way corporations contribute to society has been to employ marketing strategies that link product sales to the support of specific charities to create and maintain favorable brand images known as cause related marketing or CRM. CRM has been growing faster as a type of marketing that allow corporations to contribute to environment or society (Brinkvan et al., 2006). Various factors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on and identified as pertinent in the success of cause-related marketing campaigns such as brand-cause fit (Bigne-Alcanniz, Currase-Perez, Ruiz-Mafe and Sanz-Blas, 2011; Nan and Heo, 2007; Samu and Wymer, 2009), donation size (Dahl and Labvack, 1995; Pracejus, Olsen and Brown, 2003), types of causes (local causes are preferred to national ones) (Ellen, Mohr, and Webb, 1996; Smith and Alcorn, 1991) and product type with luxury products found to be more effective (Strahilevitz and Myers, 1995).
        18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이 설문 연구의 목적은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 정책에 대한 안경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 이었다. 방 법: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근무하는 임상안경사 100명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 조사 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자 가운데 안경원 원장이 48명이고 고용 안경사가 52명이었다. 결 과: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 문제에 대한 인식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반대 의견이 매우 많았다. 안경사들은 의료민영화 문제에 대해서는 의료서비스의 소비자로서 반응하고, 안경원 법인화 문제에 대해서 는 공급자로서 반응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안경원 법인화 문제에 대해서 고용 안경사 집단에 비해 안경원 원 장 집단이 더 강한 반대 의견과 비관적인 예상을 보였다. 결 론: 안경사들은 의료민영화 문제가 어느 정도 안경원 법인화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 나, 그 영향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의료서비스의 소비자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고용 안경사들에 비해 안경원 원장들이 안경원 법인화에 더 비관적이고 강하게 반대하고 있었다.
        4,200원
        187.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제도와 관련하여 현재 건강한 노인들이 시설 서비스에 대한 이용 의향과 노인들이 어떠한 서비스를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의 필요는 장기요양급여의 이용이 노인 스스로의 선택보다는 주로 보호자나 요양비용을 지불하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노인들이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상태가 될 경우, 노인들이 자력으로 요양기관을 선택하거나 이용하기 어려울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자신의 의사표현이 가능한 노인을 대상으로 시설 서비스 이용의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의도는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주관적 인 식의 정도에 따라 요양서비스의 선호를 파악함으로서 장기요양기관에서 제공 되어야 할 서비스 기준에 대한 제언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연구의 배경은 장기요양보험의 급여 서비스에 있어 필수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규정이 없음으로 인해 시설별로 서비스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이용자의 욕구가 아닌 공급자 편의적인 서비스가 제공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었다. 연구결과 급여 이용의사에 따른 서비스 선호에서 이용의사가 있거나 없는 경우 모두 기능회복, 의료지원, 취미ㆍ여가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의료지원의 강화와 신체기능회복 프로그램 및 개인별 인지ㆍ건강수준에 따른 취미ㆍ여가 프로그램 제공을 규정함은 물론, 기본서비스인 신체, 위생, 개인서비스를 필수 서비스로 규정하여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갖추어야 할 것으로 확인 되었다.
        5,100원
        188.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사회와 노인부양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물론 전통적인 가족 돌봄의 어려움으로 인해 2008년부터 제도로서 시행되고 있다. 제도시행 당시 장기요양 이용자는 1등급 ~ 3등급까지였으나 현재는 치매질환자에 대한 급여확대를 통해 5등급자까지 장기요양급여를 받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향후 지속가능한 제도로서 자리매김을 위해 재정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노인장기요양제도에서 공식, 비공식 자원의 연계를 통한 케어매니지먼트 개념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먼저 케어매니지먼트를 적용한 일본의 개호보험의 사례를 통해 장기요양보 험제도의 발전적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5,100원
        18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전반적 사항과 작업치료 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 고 이러한 작업치료 실태의 의견을 조사하여, 앞으로 이 분야에서 작업치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5년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국내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고 각 기관의 대표인 책임 작업치료사 51명에게 우편 혹은 직접 방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아동 정원은 31~60명으로 전체의 56.9%였으며 84.3%의 장애아전문어린이 집이 미취학과 취학 아동 모두를 치료하였고, 중복응답으로 했을 때 아동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100.0%, 뇌병변장애와 자폐성장애가 각각 96.1%였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전문가 구성은 보육교사가 44.1%, 특 수교사가 31.0%, 언어재활사가 11.2%, 작업치료사가 8.7%이었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일일 평균 치료횟수는 7~9회이었고(70.6%) 치료시간은 30~40분이었다(94.1%).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법안에 대해 치료사 배치 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100.0%, 치료사 인원 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96.1%, 급여 차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100.0%로 나타났다. 결론 : 장애아동들이 최적의 보육 환경 안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각 전문가들의 업무 체계가 정립되고 치 료와 교육 분야가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4,200원
        19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정부는 2013년부터 ‘보호자 없는 병동’으로 지칭되는 포괄간호서비스 제도를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것을 2018년까지 모든 병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제도는 입원환자에 대해 가족 구성원이 간병을 해야 한다거나 혹은 사설간병인을 고용해야 한다는 사회ㆍ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함이 목적이 다. 하지만 보호자가 상주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환자의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이미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포괄간호서비스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낙상예방을 위하여 병원 안내지침(guideline)을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낙상예방 안내지침이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지 를 알아보기 위해 미국, 영국 그리고 호주의 병원 내 낙상예방 안내지침을 분석하였다. 결과 : 미국, 영국 그리고 호주의 병원 낙상예방 안내지침에 의하면 병원 내 환자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다학제간 보건 인력팀을 구성하여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각 전문 인력들은 낙상의 요인들을 분야별로 접근하여 중재를 제공한다. 특히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는 노인 환자의 병원 입원에 있어서 낙상을 예 방하고, 안전한 생활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결론 :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의 확대와 더불어 환자의 안전한 병원생활을 위해서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가 포함된 낙상예방을 위한 안내지침을 연구 및 개발해야 할 것이다.
        4,300원
        191.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research published since 1990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healing therapy programs with farm animals. Although animal-assisted intervention for humans with mental disorders has been well documented with companion animals like as cats and dogs, there is a complete lack of controlled studies of farm animals as therapeutic agents for patients with several disorders. Previous studie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ith companion animals have documented that human-animal interaction may decrease stress levels, and is shown to improve self-confidence, social competence and quality of life. As it is shown that different types of animals may have different impact on people's health, it is therefore worth investigating to what extent contact and work with farm animals will contribute to self-efficacy, cop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psychiatric patients. Future research employing more rigorous designs and systematically building upon a clearly defined line of inquiry is needed to advance our knowledge on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the healing therapy programs trough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ith farm animals.
        4,500원
        19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carry out usability evaluation for adjustable electric beds for home care that are used the most by the elderly, and examines dissatisfaction of users. In this sense, we performed an interview with stakeholders including bed users, developers and suppliers to develop usability evaluation contents. In addition, we carried out feasibility and reliability study over evaluation form through usability assessment, and developed usability evaluation indicator.
        4,200원
        193.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방과후돌봄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방과후돌봄은 가족돌봄과 사회적 돌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돌봄과 사회적 돌봄의 한 형태인 방과후교육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영향 여부와, 또래애착 및 공동체의식의 매개역할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가족돌봄의 질은 부모의 친구관심으로 대표된 다. 방과후교육은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다양한 돌봄서비스 이용 경험으로 측정한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CYPS) 2011년도 초등 5학년 아동과 보호자 2,200명의 데이터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방임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다. 둘째, 방과후방임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부적인 영향은 일부 공동체의식을 통해 매개된다. 셋째, 가족돌봄의 질 제고는 공동체의식과 또래애착을 증진시켜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인다. 넷째, 방과후 교육은 공동체 의식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킴으로써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인다.
        8,400원
        194.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paternal care toward a father’s own child through participation in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r cooperative after school club. Fathers have relationships with men in such cooperatives and these male relationships usually encourage fathers to care for their child and to take pride in performing their paternal duty well. Even though fathers usually join such child care organizations passively, they perform ‘domestic work’ and ‘care-related housework’ after participation in child care cooperatives. In addition, fathers care for other children as well as their own child in cooperative settings based on socially extended fatherhood. They exhibit ‘reflexive care’ (care-giver reflects social structures based on private care experience). Therefore paternal care for children are reconstructed through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and after school clubs.
        5,100원
        19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ing, change of purchase behaviors, and dietary life care, based on the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at expressway rest areas. The subjects (n=903)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ANL) group, n=367; Non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NANL) group, n=536. Effort of health care and identif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NL group, compared with the NANL group. As for the main reason for not identifying nutrition labeling, ‘not interested in nutrition labeling’ was the highest in the ANL group, and ‘Don't know nutrition labeling is provided’ in the NANL group. Identification ratio of nutrition labeling in fu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ANL group, compared with the ANL group among the subjects who didn't identify nutrition labeling before. After their becoming aware, a change of food purchase after reading the nutrition lab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NL group, compared with the NANL group. Health beliefs on the nutrition label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NL group, compared with the NANL group.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ing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NL group, compared with the NANL group. The ANL group also expressed a necessity of expansion of nutrition labeling, compared with the NANL group. In the ANL group, identif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ard effort group, compared with the little effort group of dietary life care. Therefore, improvement and campaign of nutrition labeling for consumers at expressway rest areas, especially for the NANL group, will be effective in identifying nutrition labeling for their health care.
        4,000원
        19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re aimed to conduct the survey research to evaluate the university students's awareness pn the care systems of abandoned animals. We deals with the findings obtained from extensive interviews with a representative samples.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included 546 students in Wonkwang, Keimyung and Chosun University. Questions focused on how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need and policies of the care systems of the abandoned animals. Questionnaire and technical data are analysed and summarized.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had well understood about the policie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Conclusionally, the promotion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ere need. The effective promotion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ill be desir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bandoned animal welfare.
        4,000원
        19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7명 의 설문지를 빈도분석 및 백분율 산출, 평균과 표준편차 산출, 일원분산분석(ANOVA)과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분석 및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보육교사 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몰입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보통 이하로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이 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전체적으 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에는 부정 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아질수록 보육교사의 조직몰입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는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아질수록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19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린이집 유아들이 사용하는 칫솔 및 양치 컵의 미생물오염도와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독소 유전자 및 독소생산능력을 분석하여 칫솔과 양치 컵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고자 칫솔 75개, 칫솔걸이 29개, 양치 컵 65개를 실험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5.3 log CFU 검출되었고 칫솔은 평균 6.7 log CFU 검출되어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은 칫솔 75건 중 41건 (54.7%), 칫솔걸이 29건 중 13건 (44.8%), 양치 컵 65건 중29건 (44.6%)에서 검출되었으며 진균수는 평균 3.2 log CFU 검출되었고 칫솔이 평균 4.6 log CFU 검출되어 칫솔의 대장균군, 진균 오염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B. cereus는 칫솔 75건 중 1건 (1.3%), 양치 컵 65건 중 2건 (3.1%)에서 검출되었고 S. aureus는 양치 컵 65건 중 1건 (1.5%)에서 검출되었다. 칫솔에서 분리된 B. cereus의 경우 nheA, nheB, nheC, hblC, hblD, hblA, entFM 등 7종의 설사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양치 컵에서 분리된 B. cereus 2균주는 nheA, nheB, nheC, entFM 설사독소 유전자만 검출되었다. 칫솔에서 분리된 B. cereus의 경우 HBL, NHE 설사독소를 생산하였고 양치 컵에서 분리된 B. cereus 2균주는 모두 NHE 설사독소만을 생산하였다. B. cereus는 β-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는 ampicillin과 penicillin에만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칫솔과 양치 컵이 양치 후 젖은 상태로 화장실에 보관되거나 젖은 상태로 자외선 살균고에서 살균되는 등 부적절한 보관가 살균방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면역력이 취약한 어린이집 유아가 사용하는 칫솔 및 양치컵을 건조한 후 자외선 살균고 등을 이용 살균하여 상대습도가 낮은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9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과 서비스 질 간의 인과관계와 두 변인 사이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직업적 정체성, 직무만족의 강화를 통해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230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결 과를 바탕으로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 족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서비스 질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만족은 직업적 정체 성과 서비스 질에 매개효과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 성과 직무만족 강화를 통해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조직문화의 개선으로 조직의 개방성 과 유연성, 신뢰성의 문화가 보다 확산되어야 하며 직원 행복 프로그램 실시 및 전문성 향상과 역량강화 를 위한 직무교육 강화를 제언하였다.
        5,700원
        20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8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 J지역에 소재한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 총 27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해서 다중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직몰입과 관련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 보육의 주체인 보육교사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이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동일시하고 자신의 직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조직몰입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 자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시스템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