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

        18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넙치 치어에 대한 나프탈렌의 급성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구(0μg/L), 1000, 1800, 3200, 5600, 10000μg/L의 6개의 나프탈렌 농도구를 설정하여 24시간 동안 노출실험을 실시하고 혈액학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넙치 치어에 대한 나프탈렌의 24h-LC50은 3600μg/L를 나타냈다. 넙치 치어의 핼액학적 반응에서 헤마토크리트값은 5600, 10000μg/L의 농도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글루코스는 10000μg/L의 농도 구에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5). 삼투질 농도는 3200, 5600, 10000μg/L의 농도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이온분석 결과 [Na+], [K+]은 5600 및 10000μg/L 나프탈렌 농도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Cl-]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8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feed utilization and nutrient excretions by feeding extruded pellet (EP) and moist pellet (MP). Slow growing flounder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animal to find out a prominent result in terms of growth and feed utilization. Weight gain of fish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reached 105.3 g for EP and 107.1 g for MP, while fresh feed intake was 98.7 g for EP and 279.4 g for MP. Feed conversion ratio was 0.94 and 2.61 for EP and MP, respectively which was 0.77 and 0.94 when corrected on dry matter basis. Even though protein efficiency ratio (2.26 vs 2.21), specific growth rate (0.69% vs 0.70%), daily weight gain (2.06 g vs 2.10 g) and mortality (4.0% vs 4.1%) were similar between EP and MP, protein retention efficiency of fish fed EP was superior (53.3%) to that of fish fed MP (39.6%). Protein intake of fish for 8 weeks was similar from 52.3 g for EP to 53.3 g for MP, while protein gain was higher in fish fed EP (27.9 g) than in fish fed MP (21.1 g). Protein excretion by feeding EP and MP reached 232 g and 300 g, respectively per kg gain, suggesting that protein loads could be greatly reduced in practical culture system through the use of EP. Phosphorus (P) intake was much lower in fish fed EP (1.63 g) than in fish fed MP (2.18 g), while retention of P was higher in fish fed EP (0.88 g) than in fish fed MP (0.78 g), showing the retention efficiency of 54.0% and 35.9%, respectively. Fish fed EP excreted 7.1 g of P per kg gain 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of fish fed MP (13.1 g). The present results clearly showed that EP feeding for flounder is not only productive but also environmentally friendly.
        4,000원
        187.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밀폐식 순환여과 시스템의 호흡측정실내에서 해수 및 담수사육 강도다리의 산소소비에 미치는 수온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어류는 해수 및 담수에 각각 순화시킨 해수사육 강도다리(9마리, 평균체중 263.0±40.4 g)와 담수사육 강도다리(9마리, 평균체중 265.8±34.8 g)를 사용하였다. 수온 15, 20, 25℃에서 해수사육 강도다리의 산소소비량은 각각 74.4±17.0, 85.
        4,000원
        18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부터 2007년까지 군산연안의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돌가자미 Kareius bicololaratus (Basilewsky) 유어의 성장과 서식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돌가자미의 부유성 치어는 3월 초순에 새만금 호 주변에서 출현하였고, 4월 중순에 군산 내초도 연안의 조수웅덩이에서 유어들이 저서생활을 시작하여 7월까지 성장하였다. 돌가자미의 유어들이 처음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4월 중순에 전장은 1.5~2.5cm(평균 2.1cm)이었고
        4,000원
        19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일 동안 15 psu에서 순화 사육한 양식 넙치(평균전장: 20.8cm,평균체중: 96.1g)를 사용하여 염분변화에 따른 혈액 학적 변화 (cortisol, glucose, Na+, Cl-, K+, AST, ALT, hematocrit, RBC, hemoglobin)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사육수를 실험개시시 15 psu로부터 0 psu(group I, G I)와 35 psu(group II, G II)로 30분 이내에 교환하였다.
        4,000원
        19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ponse of hepatic mixed function oxygenase (MFO) system was investigated in olive flounder exposed to formalin. Hepatic microsome of olive flounder incubated in vitro with formalin demonstrated the induction of cytochrome P450 (CYP), ethoxyresorufin
        4,000원
        19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비교하고자, 30마리와 60마리씩 실험수조에 수용하여 30분이내에 사육수를 담수로 교환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실험개시시 30SW에서 2.8 ng mL-1,60SW는 2.7 ng mL-1로부터 30FW와 60FW는 24시간째 각각 66.9 ng mL-1, 314.1 ng mL-1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혈장의 Glucose농도는 60SW는 개
        4,000원
        19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주석화합물인 tributyltin chloride (TBTC), tributyltin oxide (TBTO)와 triphenyltin chloride (TPTC)를 넙치 간장으로 만든 미크로좀에 in vitro적으로 노출시켜서 이들 화합물의 대사에 관여하는 mixed function oxidase (MFO) 중 cytochrome P450 (CYP) 농도와 7-ethoxyresorufin deethylase (EROD)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4,000원
        19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주석화합물이 넙치의 기관계 구조에 미치는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넙치를 대조구와 TBTO를 첨가한 6개 농도구(0.17, 0.36, 0.60, 3.20, 6.30, 12.50 μg L-1)에서 42일 동안 노출 실험을 하였다. 조직상의 변화 정도는 노출 시간과 TBTO농도의 증가에 따라 심하게 나타났다. 저농도의 TBTO 노출구에서 관찰된 초기 조직학적 변화로는 아가미에서는 점액세포와 염세포의 활성, 새판 모세혈관의 충혈, 상피층
        4,000원
        19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enanthrene, one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with three aromatic rings, is a ubiquitous contaminant in the environment. Phenanthrene has been identified in ambient air, drinking water and sediment. We examined the effect of phenanthrene on steroi
        4,000원
        198.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CBs 농도 3.0μg L-1 노출에 따른 넙치의 혈액학적 변동을 조사하기 위하며 60일간 침지실험을 실시하였다. PCBs에 노출된 넙치의 무기성분 중에 혈장 magnesium과 inorganic phosphorus는 유의적 변동이 없었으나, calcium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 한 유기성분 중에 total protein과 albumin은 노출 20일 째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여 실험 종료시가지 이러한
        4,000원
        200.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지역의 환경오염 및 양식용수의 이용과정에 파생될 수 있는 구리의 오염에 따른 넙치의 생존, 대사율, 사료효율 및 성장율에 미치는 구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4개의 아치사구리 농도(50, 80, 180, 320 μg L-1)에서 6주동안 실험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넙치는 대조구에서는 실험종료시 까지 사망개체가 전혀 나타나지 않아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구리 노출농도 180 μg L-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