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9

        18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opening efficiency of the miniaturized small-scale net for anchovy boat seine gear to reduce the fleet size. Fiel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bserve geometry of nets by catcher boat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hips was 150, 300 and 450 m and the speed of towing nets was 0.6, 0.9, and 1.2 kt, the vertical opening and actual opening of each part of the miniaturized small-scale net was as follows: the front part of the wing net, 6.8-9.5 m, 45-63%; the middle part of the wing net, 16.1-30.7 m, 34-65%; the entrance of the inside wing net, 21.6-41.2 m, 44-84%; the square and bosom, 17.4-34.0 m, 38-75%; the entrance of the body net, 16.5-29.4 m, 36-64%; the entrance of the bag net, 14.5-21.9 m, 70-106%; the flapper, 6.7-7.7 m, 81-83%, and the end of the bag net, 8.6-10.9 m, 64-81%. The tension of towing nets was measured to be 2,734-6,812 kg approximately, which indicates that the fleet can tow nets with 350 hp, the standard engine horse power. The fishing operation time was shortened comparing to existent net with the large-scale buoy attachment operation. It wa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ship without fish detecting boat.
        4,500원
        18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공식품에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에 대한 분석 방법을 size-exclus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개발하고 유통중인 가공식품에 대해 모니터링 하였다. 분석조건에 대하여 GF-7M HQ column과 UV / VIS 검출기를 피크 모양과 선형성을 기준으로 선택하였으며, 유속, column oven 온도 및 이동상은 각각 0.6 mL/min, 45℃ 및 5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9.0)으로 선정되었다. 시료의 전처리를 위하여 pH 7.0의 50 mM sodium phosphate buffer로 20℃, 150 rpm에서 3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검증한 결과 적절한 선택성을 나타내었으며, 검량선은 50~500 mg/L의 범위에서 선정되었고, 이때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85로 나타났다.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검출한계(LOD)는 10.95 mg/kg으로 정량한계(LOQ)는 33.19mg/kg의 값을 얻었으며, 정밀도는 intra-day의 경우 3.0~8.3%를, inter day의 경우 1.3~2.6%로 확인되었다. 정확도는 intra-day의 경우 99.6~127.6%를 나타내었으며, interday의 경우 94.3~121.9%로 확인되었다. 유통 중인 가공식품 125품목을 대상으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40품목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식품첨가물공전의 규격인 0.2%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size-exclusion chromatography에 의한 분석방법이 가공식품에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분석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4,000원
        18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메리개미는 여왕개미와 수개미가 유전적으로 복제되어 번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여왕개미의 날개형태가 장시형과 단시형으로 나타난다. 장시형은 정상적인 날개형태이고, 이보다 짧은 날개형태는 단시형이라고 한다. 장시형과 단시형 모두 한 종으로 취급되지만, 두 가지 점에서 종 지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첫째, 자연 상태에서는 두 날개형이 함께 발견되지 않고, 둘째, 날개형이 육안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또한 복제되어 번식한 여왕개미가 단수체인지 배수체인지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본 연구에서 에메리개미 유전체 크기를 추정하여 두 날개형은 동종이며, 여왕개미는 배수체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18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에 따른 양서류 번식계절학 및 양서류 군집다양성 변동에 대한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지만, 개별 종의 번식개 체군 크기의 변동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국내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는 무미류인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와 유미류인 도롱뇽(Hynobius leechii) 번식개체군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8년간의 야외개체군 변동과 주변 기후변화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야외에서 두 종은 각각 약 3.5년을 주기로 번식개체군의 크기가 증감하고 있었다. 특별히, 도롱뇽 번식개체군의 크기는 8년에 걸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후요인들 중, 기온은 계곡산개구리, 강수량은 도롱뇽 번식개체군의 크기와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별히, 해당지역에서는 8년에 걸쳐 년간평균최고기온 및 봄철평균일교차가 일관되게 감소하였으며, 후자는 도롱뇽 번식개체군 크기의 의미 있는 감소와 관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의 기후변화가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는 국내 양서류, 특별히 도롱뇽, 번식개체군 크기의 감소로 직접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18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물의 몸 크기와 환경의 관계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현재까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연구의 한 분야이다. 최근까 지도 생물의 크기와 서식지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생태지리학적 법칙 ecogeographic rule을 바탕으로 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다양한 동물 그룹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의 최남단에 위치한 섬 제주도에 서식하는 청개구리(Hyla japonica)를 대상으로 서식지 환경과 생물의 크기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주도 내에서 발견되는 청개구리 번식지 3개 지점(천지, 봉개, 애월)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각 개체군의 SVL, HW, BW를 측정하였으며, 크기에 미치는 환경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고도, 경도, 위도, 연평균 기온, 연평균 강수량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에 따른 청개구리의 크기 차이는 뚜렷했으며, 애월 집단의 크기가 가장 컸고, 천지 집단이 가장 작았다. 청개구리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는 고도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SVL, HW, BW에서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청개구리의 크기는 높은 고도로 갈수록 커졌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크기와 관련된 생물학적 법칙 중 하나인 베르그만의 룰에서의 설명과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서식지의 환경은 청개구리의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며 나타남을 알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18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외여과 polysulfone (PSf) 중공사막에 첨가제를 섞는 방법을 통해 친수성 증가에 따른 분리막 특성 및 성능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15 nm 크기의 fumed silica (FS)를 0.1, 0.3, 0.5 wt%로 방사 용액에 분산시켜 혼합 매트릭스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단면 및 표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SEM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FS가 함유될수록 중공사막의 평균 기공 반경이 4 nm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막의 친수성 분석을 위해 접촉각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FS 함유로 분리막의 친수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수투과도의 경우 FS가 섞인 분리막은 91~96 LMH 수준을 보였으며 PSf 분리막보다 5~11%의 증가율을 보였다. 내오염성 평가에서도 친수도가 상승한 FS 혼합 중공사막 표면에 소수성을 띄는 BSA가 흡착되지 못하여 상대 유량 감소율이 PSf 단일막 보다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18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이 외부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간 지각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비 시간적 (non-temporal) 특성들이 시간 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시간 지각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이 검증되었지만 참가자와 자극 간의 거리가 시간 지각에 영향을 주는지 직접 검증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자극의 망막상 크기, 물리적 크기, 지각된 크기를 고려하여 관찰 거리가 시간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극의 물리적 크기 및 지각된 크기가 동일한 실험에서 관찰 거리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극의 망막상 크기가 동일한 실험에서만 관찰 거리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자극의 망막상 크기가 동일한 경우, 관찰 거리가 증가할수록 자극의 물리적 크기 또한 커지기 때문에 자극의 크기가 시간 지각에 영향을 준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정보가 제한되지 않는 경우에 관찰거리가 변화하더라도 대상의 지속시간이 항상성 있게 지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300원
        188.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crease of feral cat population due to man-made activities, such as cat-mom activities,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lthough cats have lived with humans for a long time worldwide. Nevertheless, in Seoul City, the effectiveness of Trap-Neuter-Return (TNR) management plan has not been evaluated yet.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population size of feral cats in Seoul City, which is useful information for feral cat management. Seoul City was divided into 196 areas based on 2012 TNR density data. In each group, 3 areas were selected for a total of 9 areas. Out of those, 6 areas (3 apartment and 3 non-apartment areas) that could be clearly separated by mountains, rivers or roads based on Seoul Cit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y were representative of the two different residential styles (44.21% apartment area and 55.79% non-apartment area). Population size of feral cats was estimated from 3 on-site surveys over 3 day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population of feral cats in Seoul City ranged between 209,772 and 272,816.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a policy to control and manage the population of feral cats.
        4,000원
        18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Korea, concrete pavements with transverse tining, which have excellent skid resistance, have been mainly constructed to secure road bearing capacity and safety. However, transverse tining has higher noise level of approximately 4-5 dB(A) compared with asphalt pavement. As a method to determine low-nois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pavements, the fine-size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EACP) has been studied in Korea and abroad. The surface of EACPs consists of exposed coarse aggregates and 2-3 mm removal surface mortar. EACPs have the advantages of maintaining low-noise and adequate skid-resistance levels during the performance period. Although EACPs have been widely studied to reduce noise, quantitative noise analysis with various paving methods has not been performed owing to differences in mixture proportioning, construction con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w-noise characteristics of fine-size EACPs by comparing noise with various paving methods, including concrete and asphalt pavements. METHODS: In this study, noise data were collec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low-noise characteristics of EACPs compared with various paving methods such as transverse tining, longitudinal tining, SMA, and HMA. RESULTS: The evaluation of the low-noise characteristics of EACPs compared with transverse tining showed that the relative noise of 13 mm EACP with transverse tining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2% at 60 km/h, 4% at 80 km/h, and 5% at 100 km/h. The relative noise of 10 mm EACP with transverse tining was reduced to 3%, 7%, and 8% at 50 km/h, 80 km/h, and 100 km/h, respectivel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oise of 10 mm EACP was similar to that of asphalt pavement. CONCLUSIONS : It was confirmed that EACP using 10 mm coarse aggregates generates lower noise than that using 13 mm coarse aggregates. Therefore, the use of coarse aggregates smaller than 10 mm needs to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low-noise effect of EACP.
        4,000원
        194.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공정(MBR)은 과다한 에너지 사용, 제품의 높은 단가 등이 단점으로 지목되었으나, 제품 및 시스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BR 공정의 운영시 발생되는 대부분의 막 오염은 슬러지 특성에 따른 유기물 오염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여과능과 TMP 증가 기울기는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BR 공정에서 분리막의 막오염 제어를 위해 슬러지 여과능은 중요한 관리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 여과능에 대해 colloid 물질, 특히 EPS 와 SMP 유분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95.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후처리 기능화를 통해 아민이 함유된 ZIF-8-A를 제조하고, 이를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적용하였다. 첨가한 3-amino-1,2,4-triazole의 함량에 따라 15, 37, 61, 그리고 74 %의 아민기를 포함한 ZIF-8-A를 제조하였으며, 다양한 분석을 통해 이들의 물성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민 함량에 따라 ZIF-8-A의 게이트 크기 조절되고 가스 투과도 및 선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ZIF-8-A61%는 기존 ZIF-8 대비 CO2/N2 및 CO2/CH4에 대한 선택도가 3.4 및 4.7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구조내 가스 투과를 위한 게이트 사이즈의 조절 및 아민과 이산화탄소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198.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bility of conventional semen analysis to predict male fertility is questionable. Since the prediction of male fertility is extremely of importance for the artificial insemination and profitable farm managements in animals, the development of highly sensitive biomarker of male fertility is a prime concern. Porcine Seminal Protein I (PSP-I) and Porcine Seminal Protein II (PSP-II) have been known that they are related with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atozoa. Thus, we investigated PSP-I and PSP-II level in boar spermatozoa to predict boar’s fertility. The expressions of PSP-I and PSP-II in spermatozoa from 21 individual boars with different fertility and litter size (litter size ranges from 10.3 – 14.2) were examined using qRT-PCR. Litter size was determined in 530 saw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I). In addition, sperm motility, motion kinematics, and capacitation status were measured using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 and Hoechst 33258/chlortetracycline fluorescence staining, respectively. PSP-I and PSP-II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itter size (r=0.578; P=0.006 and r=0.456; P=0.038, respectively). Furthermore, receiver-operating curves (ROC) was used to determine the accuracy for the prediction of boar fertility. Therefore w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the median value of litter size. When selecting higher litter size group, PSP-I can predict litter size with overall accuracy 90.48% (sensitivity 88.89, specificity 91.67, negative predictive value 91.67,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88.89) and PSP-II can predict with overall accuracy 81.82% (sensitivity 55.56, specificity 100.00, negative predictive value 76.47,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100.00). Interestingly, PSP-I and PSP-II were found to increase 0.76 pups than average litter size (average 12.48) in tested boars. To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rial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SP-I, PSP-II, and litter size. Therefore, we suggest that PSP-I and PSP-II could be considered as promising biomarkers for predicting male fertility and litter size outcome in field condition.
        19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피식자의 flash display와 크기에 따른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Flash display는 생물체가 가지는 방어 기작 중의 하나로, 피식자가 포식자로부터 도망을 갈 때, 예를 들어, 개구리 다리 안쪽의 색이 몸 색과 다른 경우나, 속날개의 색이 겉날개의 색과 다른 경우(ex. 뒷날개나방) 포식자에게 시각적으로 큰 혼란을 주어 생존율을 높이는 방어 기작 이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visual studio enterprise 6.0프로그램으로 피식자의 크기와 색을 변경 가능 하게한 시뮬레이션을 만든 후 사람을 포식자로 설정하여 일반인 총 120명, 연령대는 10~50대 중 후반을 대상으로 실험 하였다. 실험 결과로 flash display를 사용하는 피식자의 생존율이 그렇지 않은 피식자 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 하였고, 크기는 작을수록 더욱 유리 할 것으로 예측 하였다. 조사 결과 피식자의 크기와 색이 생존율과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과 flash display 효과가 피식자의 생존율을 더욱 높여주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flash display의 색이 주변 환경(이번 실험에서는 녹색 계통의 풀숲을 사용하였다.)과 확실하게 다른 색(녹색 계통의 색이 아닌 색)을 띄는 개체의 생존율이 flash display를 사용하지 않은 개체 보다 월등히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Flash display가 피식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20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present a new approach to estimating termite populations size. So far, termite researchers have been using the mark-capture-recapture method.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measurement time is long and error range is large. To this end, we built an agent-based model to simulate termite tunneling behavior. Using this model, we made simulated tunnel patterns that are determined by three variables: the number of simulated termites (N), the passing probability of two encountering termites (P), and the distance that termites move soil parcels (D). To explore whether the N value can be estimated with a partial termite tunnel pattern, we generated four groups of tunnel patterns that are partially obscured in complete tunnel pattern image: (1) A pattern group in which the outer area of the tunnel pattern is obscured (I-pattern), (2) a pattern group in which half of the tunnel pattern is obscured (H-pattern), (3) a pattern group in which the inner region of the tunnel pattern is obscured (O-pattern), and (4) a pattern group combining I- and O-pattern (IO-pattern). For each group, 80% of the tunnel patterns were learned through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and the remaining 20% of the patterns were used for estimating N value.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N estimates for the IO-pattern are the most accurate and are in the order I-, H-, and O-patterns. This means that the termite population size can be estimated based on tunnel information near the center of the col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