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1

        20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았다. 이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만개한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추출물의 경우 500 μg/mL의 농도에서 79.89%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금불초 유사종인 가는 금불초(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가지 금불초(I. britannica var. ramosa) 및 버들 금불초(I. salicinavar. asiatica)의 꽃 추출물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꽃이 만개하였을경우 꽃 추출물 분획에서는 93.62%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봉우리 추출물 분획은 43.28%, 낙화추출물 분획은 14.11%를 나타냈다. 금불초의 종 및 개화시기를 선정 후, 추출용매, 온도,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65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세포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5 ~ 50 μ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 μg/mL의 농도에서 τ50이 116.1 min으로 비교물질인 (+)-α-tocopherol에 비해 1.58배 더 큰 세포 보호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로 금불초 꽃 추출물을 분석한결과 flavonoid의 일종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65 ℃ 에탄올로추출한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의 경우 다량의 quercetin을 함유하며, 그로 인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204.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자생하는 꽃 중 9종을 80% ethanol 추출 및 농축하여 전자공여능, 환원력,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에서 배초향이 (SC50=74.6μg/mL) 대조군인 BHT(SC50=238.8μg/mL)보다 월등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 측정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9개 품종의 꽃 중에서 배초향이 1.0의 OD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배초향이 134.6mg GAE/mL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벌개미취가 40.1 mg GAE/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고본이 87.0 mg QE/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꽃 중에서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은 배초향에 대해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DPPH radical소거활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ethyl acetate층이 SC50=43.2μ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5.5 mg GAE/mL, 96.0 mg QE/mL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하여 꽃의 활용성을 증가시킨다고 판단한다.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정은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 기초자료 제공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며, 꽃을 이용한 천연항산화제의 개발과 꽃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205.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프레이국화 ‘예스미키(Yes Mickey)’는 2008년 예산국화시험장 육종온실내에서 네덜란드에서 육성된 홑꽃화형의 ‘포워드(Forward)’를 방임수분하여 얻어진 280개의 종자를 2009년에 파종하였고, 이중에서 다화성으로 화색이 선명하고 녹색의 짙은 화심을 갖고 있는 ‘SP09-182-03’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품종의 주년재배 특성검정을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2차 생육특성 검정을 수행하였고, 2012년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기호도가 4.08/5.0로 높아 ‘예산SP-40호’로 명명하였으며 2012년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통과하여 ‘예스미키(Yes Mickey)’로 명명하고 품종등록 출원하였다. ‘예스미키(Yes Mickey)’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모본으로 사용된 황색의 ‘포워드(Forward)’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예스미키’는 황색(7A)의 화심이 진한녹색인 조기개화성 절화용 스프레이국 품종이다. 본당 착화수는 23.7개로 대조품종 17.2개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꽃직경이 3.6cm이고 꽃잎수는 31.0매로 대조품종의 2.7cm에 43.0매와 비교하여 볼륨이 크고 녹심이 뚜렷한 산티니계열의 수출용 꽃다발로 적합하였다. 개화소요일수는 자연재배에서 45일로 대조품종보다 5일 빠른 경향을 보였다. 재배상 유의사항은 개화반응기간이 짧아 영양생장기에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고 다화성으로 적정 재식거리를 준수하여야 한다.
        206.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헤어리베치의 분홍색과 백색 화색 유전검정을 위하여 헤어리베치 유전자원 집단에서 파생된 백색 화색 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 화색을 지닌 품종(마메초)을 부본으로 하여 2011년에 교배하여 2013년 F2 후대를 조사하였다. 분홍색과 백색의 잡종(F1)은 보라색으로 나타났고 후대(F2) 화색은 백색 1 보라 2, 분홍색 1의 비율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헤어리베치의 분홍색 화색은 보라색에 대한 열성상위 관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7.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지아 ‘Shiny Smile’은 2006년 수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초세가 강한 자주색 반겹꽃 중생종인 ‘Troubadour’품종을 자가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8년 직립성이 좋고 초장 및 분지수가 분화용으로 적절한 자주색 다화성 겹꽃 프리지아 ‘08-219’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구근 증식 및 1·2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고, 2011년에 ‘원교C3-5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분화용 품종으로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좋고, 초세가 강한 계통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2년에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Shy Smile’으로 명명하고 품종을 출원 중에 있다. ‘Shy Smile’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자주색 홑꽃 품종 ‘Opala’를 대비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Shy Smile’은 RHS color chart RP64A의 자주색 홑꽃 프리지아 품종으로 초장이 69.7cm, 소화수가 14개, 분지수가 4.7개로 대조품종보다 우수하며 개화도 대비품종보다 9일 정도 빠르다. 자구번식력은 약 5배 이며 바이러스와 구근 부패병의 자연발생이 적다.
        208.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지아 ‘Mauve Topaz’는 2005년 수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초세가 강 보라색 홑꽃 중생종인 ‘Avila’품종과 초세가 강한 보라색 겹꽃 중생종인 ‘Blue Bayou’품종을 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7년 직립성이 좋고 초세가 강한 연보라색 다화성 겹꽃 프리지아 ‘07-223’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구근 증식 및 1·2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고, 2012년에 ‘원교C3-5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절화장이 길고 직립성이 강한 홑꽃품종으로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좋고, 초세가 강한 계통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2년에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Mauve Topaz’ 로 명명하고 품종을 출원 중에 있다. ‘Mauve Topaz’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보라색 홑꽃 품종 ‘Striped Jewel’을 대비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Mauve Topaz’는 RHS color chart V85A의 연보라색 홑꽃 프리지아 품종으로 초장이 109.7cm, 소화수가 13.0개로 대비품종보다 많다. 분지수가 4.3개이며, 개화도 대비품종보다 8일 정도 빠르다. 자구번식력은 4.1배이며 바이러스와 구근 부패병의 자연발생이 적다.
        211.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assis crispa was cultivated using soybean curd whey,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those of eight microorganisms that were foodborne pathogens or food-poisoning bacteria. The culture broth of soybean curd whey was superior in mycelium content (17.76 g/L) to that of the defined culture broth, and the β-glucan content was about 10.64 percent (w/w).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ulture broth were confirmed against those of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using the paper disk metho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also maintained after the heat treatment and alcalase treatment. The filtrate with less than 3 kDa M.W. also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ur strains: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about 1.26 mg/mL in the B. cereus and 12.6 mg/mL in the St. aureus and L. monocytogenes. The S. typhimurium showed a MIC of 62.8 mg/mL. Thus, the culture of Sparassis crispa using soybean curd whey provides a thermally stable antimicrobial agent that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the biofood industry.
        213.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양 국제 꽃박람회의 관람 후 만족도가 화훼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 관람객에게 설문하여 분석한 결과, 꽃박람회를 통해 체험한 전시내용과 꽃박람회 내에서 판매되는 화훼 상품의 만족도는 일반인의 향후 화훼 상품의 구매의도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유익하고 효과적인 꽃박람회의 개최를 통하여 화훼 상품의 소비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214.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석산은 6개의 소화(小花)가 완전 모양을 갖추고 출현한 뒤 개화되어 폐화까지의 기간은 7일 정도 소요되었다. 1번 소화의 개화에서 폐화까지는 5일 정도 소요되었다. 소화가 개화하는 시간대는 주로 15:00 이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09:00-13:00까지는 소화의 형태 변화는 거의 없었다. 석산 꽃의 개화 과정은 본 연구에서와 같이 꽃봉오리의 출현 이후 경과 일과 시간에 따라 일정한 형태 변화를 나타내었다.
        215.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헤어리베치의 연분홍 화색 유전검정을 위하여 헤어리베치 유전자원 집단에서 파생된 연분홍 화색 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wild type 분홍 화색 계통을 부본으로 하여 2010년에 교배하여 2012년 F2 후대를 조사하였다. 분홍색과 연분홍색 꽃의 교배조합(F1)은 분홍색으로 나타났고 후대(F2) 화색은 분홍색 3, 연분홍색 1 비율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헤어리베치의 분홍색과 연분홍색 조합의 화색은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작용하는 완전우성법칙에 준하여 유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216.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남농업기술원 예산국화시험장에서 스프레이국화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투톤'을 모본으로 자연방임수분을 실시하여 '예스모닝'을 육성하였다. 이 품종의 주년재배 특성검정을 2003부터 2005년까지 3년 동안 조사하였다. '예스모닝'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경이고 촉성 및 억제재배가 가능하다. '예스모닝'은 홑꽃이며 꽃잎은 꽃잎의 가장자리는 백색이고 안쪽은 자주색의 복색이며 화심은 진한 녹색이다. 꽃 직경은 4.4 cm이고 화심 폭은 1.3 cm이다. 착화
        218.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ginseng flower water extracts were analyzed to set up the ginsenoside content and quality optimization condition. The highest total ginsenoside content among the ginseng flower water extracts was 67.44mg/g which was extracted at 85℃ for 3 hours. In addition, the ginsenoside content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highest total content of Rb2 and Re was 37.42mg/g at 75℃ for 6 hours. Total content of Rb2 and 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highest prosapogenin (Rg2 + Rg3 + Rh1) content among the total of ginseng flower water extracts was 18.58mg/g which was extracted at 95℃ for 12 hours. The sweetness, absorbanc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But pH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ion time.
        21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 꽃의 50 %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ethyl acetate 분획을 0.25 % 함유한 제품의 안정성 및 피부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12주 동안 태양광선에서의 노출과 다양한 온도(4, 20, 37 및 45 ℃) 하에서 8주 동안은 2주 간격으로, 8주에서 12주까지는 4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금불초 꽃 추출물 함유크림(시험 제형)과 함유하지 않은 크림(비교 제형)의 pH 측정 결과 4, 25 ℃ 하에서는 pH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37, 45 ℃, 태양광선 하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시험 제형과 비교 제형의 값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지만, 두 제형의 변화 양상이 같은 것으로 보아 금불초 꽃 추출물은 크림의 점도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고, 크림 제조 시 크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의 조성 및 성분들 간의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인하여 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흡광도 측정에서는 2주 후 전체적으로 감소가 있었으나, 4주 후 측정 시에는 2주 후의 측정치와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어 금불초 꽃 추출물이 안정화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은 12주 동안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변취나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고, 크리밍이나 응집과 같은 현상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금불초 꽃의 ethyl acetate 분획을 함유한 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함량 및 경표피 수분 손실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금불초 꽃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이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금불초 꽃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제품에 응용 시 사전 연구에서 나타난 항산화 및 항균, 미백에 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화장품의 제품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220.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도농업기술원 선인장연구소에서는 다육식물 내수시장 확대를 위하여 1998년부터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부터 유전자원을 수집한 후 2001년부터 2009년에 걸쳐 교배 및 계통선발을 하고 3회의 특성검정을 거쳐서 꽃기린 신품종 ‘파노라마’를 육성하였다. 기존 꽃기린 품종은 포화엽색이 적색, 분홍색 등 단색인 품종이었으나 새로 육성된 ‘파노라마’ 품종은 포화엽색이 녹색과 분홍색(RHS color chart 135B+54C)이 어우러진 복색이면서 고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