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0

        22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진정성 리더십이 종업원의 태도 (직업 자기 효능감과 종업원간 신뢰), 행동 (업무몰입), 그리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진정성 리더십과 종업원의 성과간의 관계에서 태도와 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SEM 및 회귀분석과 같은 통계적 기법들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진정성 리더십은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은 역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태도가 진정성 리더십과 종업원의 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업원의 행동은 종업원의 태도와 역할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역할 성과 향상을 위해서 리더가 조직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5,700원
        222.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들은 점차 수직적 조직구조보다는 수평적 조직구조에서 조직관리의 해답을 찾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의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서 조직들은 자신의 조직체계 전반에 걸쳐 조직의 유동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전통적인 계층관리구조보다는 자율관리구조 형태로 점점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이렇듯 수평적 조직구조 형태에서 자율성 강조가 점차 중요시되고 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두되고 있는 리더십이 바로 임파워링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시대에 필요한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 및 직무성과 사이에서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변수로 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하의 행동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부하의 핵심자기평가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하려 했다. 이를 설문지 방식으로 조사하여 검증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수록 핵심자기평가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핵심자기평가가 긍정적일수록 부하들의 직무성과와 혁신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도 핵심자기평가가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223.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무소진의 직무요구-자원모형을 바탕으로 직무요구, 그리고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들,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항들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기 위해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근무하는 중국인 300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는 대체로 직무소진을 증가시킨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의 예외에 의한 관리만이 직무소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예외에 의한 관리는 직무요구와 직무소진간의 정(+)의 관계를 강화한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의 모든 차원들은 직무소진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요구와 직무소진간의 관계를 강화시키거나 완화시키는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존 연구들에서 직무자원으로 널리 실증 연구된 상사의 사회적 지원 대신에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더 적절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상사의 리더십 유형은 직무소진을 줄여주는 바람직한 상호작용패턴과 지양해야할 상호작용패턴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6,300원
        22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과 관련된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Fry (2003) 의 spiritual leadership**의 모델을 입증함과 동시에 한국의 금융 분야에서 직업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고용인들과의 연관성 모델의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계획 되었다. Spiritual leadership은 leader, follower, 조직문화 및 직무성과의 관계를 요약한 새롭게 주목받는 전체론적 이론이다. 본 이론은 개인주의적인 문화와 연관된 서양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져 온 반면, 한국과 같은 집단주의적 문화 안에서의 타당성은 최근 들어 연구되어 왔다. 게다가, spiritual leadership 과 관련된 기반산업 연구, 특히 직업 불확실성과 구조체계의 변화에 직면한 산업에 관한 연구 는 미미한 상태다. 본 연구는 spiritual leadership이라는 가치관의 출현과 더불어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소속감과 소명의식의 spiritual survival 변수에 의해 매개되어지는 조직몰입과 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통계자료는 한국의 강한 유교적 가치관을 지닌 한 금융회사에서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높은 직업 불확실성에 직면있음에도 불구하고 Fry (2003)의 유교와 관련된 spiritual leadership 모델의 보편성을 잘 보여주었다. 신뢰도와 타당성지수는 적정수준 이상이었고 선행된 연구 결과의 범위 내에 있었다. 또한, NNFI와 CFI같은 부합지수는 1% 유의수준에서 모두 유의하였으며, 적정수준 (.95) 이상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향후 금융분야의 조직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a) spiritual leadership의 출현과 (b) spiritual leadership의 집단 차원의 분석과 관련된 유교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본 결과는 유교적 가치관이 공동 소속감을 통해 직무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되거나, leader와 follower들 간 상호 신뢰와 충성도에 따라 약한 권한부여를 통해 부정적으로 기여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더불어,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본연구의 spiritual leadership의 가치관의 낮은 평균 점수는 여러 다른 가능성들 중, 불확실성과 위기상황에서 leader와 follower의 잠재적인 관계 약화는 spiritual leadership의 강점을 뒤집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향후 종단 연구을 통해 spiritual leadership에서 직무 불확실성의 관계를 보다 면밀히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6,100원
        22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조직에서 자신의 감정과 다른 감정을 표현해야 되는 직무역할 때문에 새롭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감정노동행동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감성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부산 경남 지역 서비스업체 423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종업원 감정노동행동의 하위차원인 기초내면행동과 고객관점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기초표면행동, 심화표면행동, 고객응대 내면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는 감정노동행동 하위차원 중 기초내면행동과 고객응대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는 감정노동행동 하위차원 중 심화표면행동, 고객응대 내면행동, 그리고 고객관점 내면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행동의 하위차원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시사점과 조직에서 감정노동행동을 하는 종업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6,400원
        22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분위기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충청남ㆍ북도, 대전시 소재 제조업의 총무부서, 자재조달부서, 회계부서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1일부터 동년 동월 30일까지 295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윤리적 의사결정간에 유효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분위기의 이기주의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가 있으며, 원칙주의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윤리적 의사결정 의도에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리더는 자신의 윤리적 행동과 의사결정 과정의 윤리성을 다시 점검하여 부하에게 매력적이고 모범적인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부하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윤리적 행동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명확한 윤리적 기준을 수립하여 보상과 통제를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윤리적 리더십이 정착되면 부하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든 구성원이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치기준이나 행동규범이 정립되고 윤리성이 높은 조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구성원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높이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5,200원
        227.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라 수군은 왜의 침입에 대한 방어과정에서 점차 강화되었고, 이사부는 강화된 신라 수군을 거느리고 6세기 초에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이사부의 전선들은 삼척포구를 오후에 출항하여 원시항해술시대의 안전한 대양항해술인 정방향 대양항해술에 따라 울릉도로 향했다. 이사부 해양정신의 첫째는 해양 진취적 도전정신이다. 신라 청년들이 바다로 나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배경에는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 항해가 있었다. 우산국 정벌 항해는 당시로서는 모험이었고 매우 특별한 용기를 필요로 했다. 이사부 해양정신의 둘째는 선구적 영토 개척정신이다. 신라는 6세기 지증٠법흥٠진흥왕 때에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우산국과 가야를 병합하고 한강 유역을 장악했다. 이사부는 이러한 영토 확장의 중심에서 활약했다. 이사부 해양정신의 셋째는 계보를 잇는 수군 명장의 정신이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개방향에 큰 영향을 끼쳤던 수군 명장은 이순신, 왕건, 장보고, 이사부라 할 수있다. 이사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수군 명장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다. 이사부 리더십의 첫째는 신라 수군의 기반 구축이다. 신라 수군은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작전에서 그 기반이 다져지고, 이후 발전을 거듭해 삼국통일전쟁기에 그 실력이 크게 발휘되었다. 이사부 리더십의 둘째는 출장입상의 국가운영 리더십이다. 출장입상은 전쟁터에 나가면 장수로, 조정에 들어오면 재상으로 활약한다는 뜻이다. 이사부는 문무를 겸전한 인물로 60여 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출장입상하며 신라 발전의 초석을 쌓았다.
        7,800원
        228.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brand-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STL) on employee-based brand equity (EBBE) with the mediating mechanism of empowerment. We explore the newly emerging concept of ‘employee based brand equity’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service industry. Furthermore, we explore the perspective of empowerment,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the mediating mechanism between BSTL and EBBE. We highligh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BSTL on EBBE and employ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57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ultilevel data of subordinates and their supervisors at 58 well-known service brand units in Taiwan. Our research results implicate that: (1) BSTL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base brand equity; (2) Structure empowerment is a mediator factor of BSTL and employee base brand equity relationship; (3)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a mediator factor of BSTL and employee base brand equity relationship. This study presents three key contribu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research contributions: (a)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customer brand equity, we initiate the quantitative research of research on frontline employee based brand equity. (b) This study suggests and confirms that BSTL influences EBBE through the mediation of structure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hich further contributes to EBBE research. (c) Finally, this study applie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conduct a cross-level analysis of EBBE.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 evidence supporting the previous assertion that comprehensive insight into service organizational behaviors can be achieved only by employing cross-level analysis and mediating factors.
        229.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sumers are increasingly willing to consider ethical aspects in their buying decisions, while organizations strategically respond to consumer needs in this respect by focusing on their ethical reputation in their branding strategies (Singh et al., 2012). Moreover, brands are increasingly switching to natural ingredients in their products or adding an organic option to their current product line (Johri & Sahasakmontri, 1998; Prothero & McDonagh, 1992; Todd, 2004).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growth of green and ethical products is found within the organic food (Organic Monitor, 2011; Willer & Kilcher, 2010) and fair trade products (FLO, 2011) categories, there also seems to be constant growth in the demand for organic personal care products (PCPs) (Smitson, 2006). In contrast, scientific research on organic Personal Care Products (PCPs) seems to be scarce (Kim & Chung, 201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brand associations on consumer perceptions considering organic PCPs. More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role of corporate ability (CA) versu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ssociations in brand equity (Yoo et al., 2000) and brand trust (Chaudhuri & Holbrook, 2001) perceptions. To test the effects of CA and CSR associations on consumer brand equity and trust, we first conducted a pretest, in which we included brands with the highest market share in the Dutch PCP market (Nielsen Market Analytics, April 201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the following brands were selected for the main study: L’Oréal, Rituals and Palmolive. For the main experiment respon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conditions in a between-subjects design: L’Oréal (N=42), Palmolive (N=42) and Rituals (N=37).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Brands may be associated with both CA and CSR characteristics. Even though possible benefits induced by introducing an organic PCP are higher for brands that are currently associated with CSR, other brands may benefit still from introducing an organic PCP, as the effects of CSR associations and an organic product launch merely seem to be complementary. When a brand considers the introduction of a green variant of its current PCP line, the brand does not seem to need a specific “green” reputation or image. More important, the producing company behind the brand should communicate its innovative characteristics as a market leader as well as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 environment and society. Combining CA with CSR characteristics seems to be the most profitable strategy for attracting more consumers than one’s competitors. Although one should constantly aim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market, the overall effects of sustainable initiatives will be much lower for brands with a weaker reputation in general than for brands that already induce multiple positive associations. In sum, an organization that decides to introduce a new organic product should be aware of the strong positive associations of their current brands on a variety of product characteristics. In the end, investing in improving multiple positive associations instead of focusing on either CSR or CA will be the most profitable strategy.
        230.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 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8,900원
        23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not only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affecting creativit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Creativity refers to the production of novel and useful ideas by an individual or by a group of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2]. A survey was conducted by 301 employee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which treated the servant 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 and creativity as criterion variables. Empowerment was supposed as mediating variable of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is study,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nfluence on empowerment. Empowerment had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Also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t first, but i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reativity when empowerment was considered. These mean that empowerment is complete mediation variable because servant leadership no longer affects creativity after empowerment has been considered. Sever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4,200원
        23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기업경영자의 도덕성과 윤리경영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현장에서는 기업의 투명성과 더불어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조직 관리자들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직구성원의 태도를 각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 세가지 측면으로 세분화하고 분석모델을 구축 하였다. 또한 이들의 관계에서 리더와 부하관계(LMX)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내 조선기업 및 관련 협력업체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 265명 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은 이직의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LMX는 윤리적 리더십과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있어서 각각 정(+)의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종합적 분석틀을 제시함으로 기존연구를 확장하였고, 실무적으로는 기업에 있어서 조직유효성을 높이고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리더의 윤리적 행위와, 리더와 부하관계(LMX)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윤리교육과 조직차원의 지원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5,500원
        23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omote social responsibility, a company reads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to ensur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One of the activities is to input human/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draw and develop the core abilities of member for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compan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capability improvement of members in relation to core company performance,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education training in a company may contribute to team performance by leaning transfer through empirical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ity of members, as well as the training programs, within the company can be a significant factor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of the company. In addition, team members noted that learning transfer take place when effectively lead through the leadership of a boss and identified that this leadership ultimate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performance.
        4,000원
        23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s of sub factor among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A,B,C,D quadrant thinking type) is based on the Whole Brain Modal and self-leadership by Manz. The subjects were 102 undergraduates students from the Hoseo university in Cheon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A was the highest and type C was highly rated. Second,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A was not correlated type C and type D. Third,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C and self-leadership sub facto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4,000원
        23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among safety-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motiv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afety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33 employe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charisma, individual consider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ation effect positively on safety motivation. 2) safety motivation effects positively on safety participation. 3) safety motivation mediates fully between charisma/inspirationand safety participation. 4) safety motivation mediates partly between individual consideration/intellectual stimul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4,000원
        23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근무여건의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해양경찰 함정의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해 함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 함정승조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고, 가설을 설정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기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다섯 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사용하여 연구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지적자극이 조직몰입의 조직목적(t=6.664, p=0.000)과 근속몰입(t=4.057, p=0.000)에서 해양경찰 함정 일반 승조원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영향력이 클 것으로 생각하는 개별배려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3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복잡한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해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의성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어온 결과 개인특성이나 환경적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에서부터 결과론적 측면에까지 연구범위가 확대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조직 환경 혹은 개인의 특성들이 창의성으로 미치는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서만 다루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개인 창의성의 당사자인 조직구성원들의 성격이나 가치관적인 특성이 외적 요인을 연관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환경적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리더십 스타일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의 내적 동기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셀프리더십과 관련하여 이들이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역할을 동시에 고려하여 그 영향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현저한 외부 제약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기주도적 과업수행을 장려하고, 과업수행에 대한 내적 동기를 강조하는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의 태도 변화와 내적 동기부여를 촉진하여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셀프리더십을 통해서도 창의성을 강화하였다.
        5,200원
        23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 리더십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지 살펴보고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 리더십이 교사의 자아효능과,직무만족도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세종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202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ANOVA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경력, 자격의 개인배경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에 따른 코칭 리더십의 인식의 차이와 초임교사의 교사 효능감의 차이가 있었다.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와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고 4-6년차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 리더십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23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해 직장에서 구성원의 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양해지고 있다. 일과 보수 등 전통적 관심사 외에 동료와의 인간관계, 자녀의 학교문제, 사는 동네의 여가활동 조건 등 직장밖의 요인도 포함된다. 종업원의 직장 내 잔류를 예측하는 직무 임베디드니스 개념은 바로 이러한 변화를 포착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직무 임베디드니스는 종업원이 이직하지 않고 조직에 잔류하는 요인으로 실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히 잔류하는 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조직에 도움이 되는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보다 적극적인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직무임베디드니스의결과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조직내적 요인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임베디드니스의 온전한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조직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조직외적 요인까지 포함하여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또한 이들 관계의 상황요인으로서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직무 임베디드니스의 하위차원 중 직장내 요인은 적합성과 관계성이, 직장외 요인은 적합성과 이직시손실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임베디드니스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정성리더십은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5,800원
        240.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리더가 사용하는 다양한 영향력 전술 유형에 따라 팀원이 인지하는 리더의 역할을 확인하고,그에 따라 영향을 받는 리더십 유효성의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Yukl 등(2008)이 개발한 IBQ에 나타나 있는 영향력 전술 유형과, Hart & Quinn(1993)이 제시하고 있는 CVF 상의 리더역할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리더십 유효성으로는 구성원의 태도로 표현되는 이해관계자 유효성과, 시장에서의 실제 성과로 나타나는 경영성과를 분리하여 고찰하였다. 리더의 영향력 전술, 리더역할, 리더십 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기초로 하여 여덟 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총 156개 팀, 156명의 리더,1,108명의 팀 구성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설계는 팀 수준에서 진행되었으며, 영향력 전술은 리더가 구성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자신이 자주 보이는 행동을 직접 평가하게 하였고, 리더 역할에 대해서는 팀원들로 하여금 리더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평가하도록 한 후 평균값을 내어 사용하였다. 리더십 유효성은 팀 내 이직률과 팀원 1인당 매출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합리적 설득, 영감에 호소, 비위맞추기 전술을 많이 사용할수록 동기부여자로 인지되었고, 비전제시자는 합리적 설득, 이해관계설명 전술과, 과업마스터는 합리적 설득, 보상교환, 영감에 호소 전술, 그리고 내부분석가는 합리적 설득, 합법화 전술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가 동기부여자 역할을 수행할 때 팀 내 이직률이 낮아졌으며, 과업마스터 역할에서 팀원 1인당 매출에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영향력 전술과 리더십 유효성간에 존재하는 리더역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동기부여자는 합리적 설득과 이직률의 관계를, 과업마스터는 보상교환과 팀원 1인당 매출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