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1

        24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patients usually have arm weakness, which affects trunks and arms.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tic side and non-paretic side arm training on trunk control and upper limb function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ingle bli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stroke in hospital were enrolled in the study. Twent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paretic side arm training group (PATG, n = 10) or non-paretic side arm training group (NATG, n = 10). Trunk impairment scale (TIS) was used for trunk control, and box and block test (BBT) was used for upper limb function. Training was conducted for 4 weeks. Results: PAT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IS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coordination, total score) and BBT. NAT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and total score except for coordination and BBT. PATG also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BBT and coordination and total score than NATG. Conclusions: The arm training performed on the paretic side are more effective than those performed on the non-paretic side in improving both upper limb function and trunk control in stroke patients.
        4,000원
        24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시기능훈련 전, 후의 Big5 성격(외향성, 우호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의 차이와 시기 능훈련의 향상도를 분석하였다. 방법 : 교정시력 1.0 이상의 20대 성인 남녀 42명을 대상으로 시기능훈련 전, 후의 양안시검사(포롭터CV-5000, TOPCON, JAPAN이용)와 Big5 성격검사(25문항 5점 척도)를 실시하고, 양안시 이상 분류에 따라 개인별 시기능 훈련 도구(Bernell. USA)를 선정하여 시기능훈련을 실시하였다. 결과 : Mogan’s 기준 범위내군과 범위외군의 시기능훈련 전, 후의 Big5 성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범위내군에서 외향성은 폭주근점(p=0.041), 융합용이성(p=0.027), -100그래디언트(p=0.048)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 기능훈련 후 외향성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우호성은 원거리사위도(p=0.038),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회복점(p=0.010),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p=0.027),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p=0.029), 근거 리사위도(p=0.025), 그래디언트 AC/A비(p=0.019), 융합용이성(p=0.025), 조절랙(p=0.019), 우안조절력(p=0.003), 좌안조절력(p=0.005), 양안조절용이성(p=0.012)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우호성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범위외군에서는 외향성은 –100그래디언트(p=0.048)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외향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우호성은 폭주근점(p=0.045),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p=0.017),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p=0.033), -100그래디언트(p=0.046),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흐린점(p=0.022), 음성 상대조절력(p=0.026), 양성상대조절력(p=0.006)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우호성 점수가 모두 유 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범위내군과 범위외군 모두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우호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5,100원
        250.
        2019.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note-taking train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notes during academic English listening tests. A total of 61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Group A that later received training in note-taking strategy and Group B that did not. Group A received note-taking strategy training on three separate times, totaling 60 minutes (30 minutes, 15 minutes, and 15 minutes) that spread out over two months. The two groups took listening tests before and after Group A was trained.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notetaking training in relation with the groups’ note-taking behaviors. After training, the trained group used more and frequent notes whereas the untrained group’s number of notes decreased. Individual students who dras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notes after training (in Test II) showed more systemic framework of notes for Test II than before training (in Test I).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tilized the different analyz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note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6,100원
        25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recent presentation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bout 70% of marine accident occurs from fishing vessel, and 90% of cause of entire marine accidents attributes to human error. As fishing vessels require basic operations, fishing operations, other additional operations and techniques such as fish handling, cultivating excellent marine officer to prevent marine accident and develop industry is very important. A fisheries training ship is still very difficult to satisfy the demand for diversity of fishery training and sense of realism of the industry. As the result of employment expectation by category of business survey targeting 266 marine industry high school graduates who hope to board fishing vessels for the last four years, tuna purse seine was the highest with 132 cadets (49.6%), followed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65 cadets, 22.4%), and tuna long line (35 cadets, 13.2%).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KIMFT) has replaced old jigging and fish pot fishery training ships and proceeded developing and building multi-purpose fisheries training ships considering the demand of industry and the promotion of employment; however, the basic fishing method was set for a tuna purse seine. As a result of seakeeping model test, it can conduct the satisfiable operation at sea state 5, and survive at sea state 8.
        4,000원
        25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changes in pain, the severity of the neck disorder, craniovertebral angle, and muscle activity in young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37 “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ith forward head posture,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Measurement of pain, NDI (neck disorder index) craniovertebral angle, and muscle activity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6 week intervention period. The pain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The severity of the neck disorder was measured using the NDI The craniovertebral angle was measured by taking a photo. The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proprioceptive training i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pain. Both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Kinesio taping or proprioceptive training a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addressing neck disability, craniocervical angle, and muscle activity.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Kinesio taping or proprioceptive training are more effective at addressing pain, neck disorder, craniocervical angle, and muscle activity than performing the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alone.
        4,000원
        25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기관과 기업은 정비사를 양성을 위한 고등학교부터 대학교, 기업 훈련센터 같은 교육기관을 만들어 숙련된 정비사로 훈련시키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교재를 이용한 이론교육과 현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장비를 이용한 실습교육으로는 제대로 된 정비교육을 진행하지 못하며 특수 장비를 활용한 교육이나 위험한 상황을 가정한 정비의 교육은 매우 위험하여 영상이나 사진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VR과 AR을 접목하여 단순정비에서 특수정비까지 시뮬레이션으로 안전하게 상황을 체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교육 시뮬레이션이 연구되고 개발되는 사례가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누리 VR과 DisTi Engine, Remote AR을 비교분석하고, 유니티 엔진 기반으로 외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디바이스 화면에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AR API 를 소개하고, VR 디바이스인 HTC Vive의 컨트롤러와 HMD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파일에 저장하는 VR API를 구현한 사례를 소개했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API를 사용하면 콘텐츠를 제작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54.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nagement of staff training programmes and school climate for teacher retention in secondary schools in Rivers State. Two (2) research questions and 2 corresponding hypotheses were answered and tested in the study, respectively. The population of the study comprised all the 268 public senior secondary schools in Rivers State, with 268 principals (218 males and 50 females), from which a sample of 215 (80%) was drawn using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technique. Respondents of the study responded to a validated 20 – item instrument titled ‘Managing Staff Training Programmes and School Climate for Teacher Retention Scale’ (STPSCTRS), designed by the researchers, in the modified 4 – point likert scale model, with a reliability index of 0.74, obtained using Cronbach Alpha. In all, 215 sets of the instruments were administered to the respondents in their various schools 214 (99%) were retrieved, while 213 (99%) survived after coding and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procedur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in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s, while z-test was used in testing the hypotheses at 0.05 alpha level. Results from data analysis show that staff training programmes, and school climate are necessary for teacher reten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staff training programmes and conducive school climate to a very high extent, determine teacher retention in secondary schools in Rivers State. Recommendations were that school principals, government and educational stakeholders should give attention to staff training programmes and school climate in their various schools.
        4,600원
        25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의 효과를 인지 평가와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평가를 통해 비교하고, 두 가지 훈련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뇌졸중 환자 21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N=11)과 Dynavision 훈련 집단(N=10)으로 분류하고 각각 15회기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측정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터 시나리오 시스템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 Trail Making Test-A, Trail Making Test-B 그리고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은 모든 인지 능력평가와 대부분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Dynavision 훈련 집단은 Trail Making Test-A를 제외한 모든 인지 능력 평가와 브레이크 페달 반응시간, 중앙선 침범 평균 시간 및 비율, 차선이탈 비율의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그리고 두 가지 훈련의 변화량은 도로주행평가의 결과 예측 지수와, 충돌사고 및 위험상황 발생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변수들의 변화량은 두 가지 훈련방법의 적용 차이에 따라 모든 변수가 20% 이상의 인과적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훈련 방법으로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은 모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운전 시뮬레이터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 능력 전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이며, Dynavision 훈련과는 20%의 설명력으로 훈련효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5,100원
        25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applying 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on self-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ew nurses. Method: This study applied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88 new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S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7.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ir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 4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with SPSS program. Results: After SBAR simulation education, self- efficacy (t=-2.40, p=.014) and communication skills (t=-5.24, p<.001)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simulation-based training applying SBAR, improved self-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ew nurses.
        4,300원
        25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피젯 스피너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일반아동 중 우세손이 우측인 1~2학년(만 7~8세)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설계이다. 중재는 실험군 아동들에게만 실시하였으며, 5주간, 주 2회, 1회 당 4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중재 전, 후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의 비교를 위하여 젭슨-테일러 손 기능 검사(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HFT)와 장악력 검사(Grip Strength Test; GST) 그리고 명료도 검사(Legibility Test; LT)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rank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 그리고 교차분석의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피젯 스피너 훈련은 실험군의 손 기능과 장악력, 글씨쓰기 명료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도구로써 피젯 스피너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피젯 스피너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