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241.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SC를 이용하여 acom starch와 com starch 및 starch-saccharide-water system 의 겔화와 노화에 관한 열적 메카니즘을 알아보았다. 전분에 fructose와 maltose를 첨가한 starch-saccharide-water 계의 엔탈피를 측정한 결과, 당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엔탈피 값보다 컸으며 겔화 온도 역시 증가하였는데 이는 당이 물과 상호 작용하여 비결정성 영역에 흡수된 자유수가 감소하고 결정부분이
        242.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유, 난황 및 각종 조미료를 주원료로 한 마요네즈는 높은 열량으로 인한 비만과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전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분풀을 적용하여 마요네즈 고유의 맛과 향을 유지하며 열량이 낮은 새로운 형태의 다이어트 마요네즈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다이어트 효과가 입증된 바 있는 O.R.capsicum과 붉은색을 나타내는 지용성 천연색소인 O.R.paprika를 접합시켜 매운맛 다이어트 마요네즈의 제조도 가능
        243.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대 수도작에 있어서 발아시의 조건에 가까운 저온.담수 토양조건에서의 출아에 관련된다고 생각되어지는 β-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발현 양상이 실제로 호분층 인접 부분의 전분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in situ hybridization과 현미화학적방법으로 검토하였다. 1.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했던 장향도 품종은 호분층에서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였다. 2.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하지 못했던 수원 287호는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이지 않았다. 3. β-아밀라제 활성의 유무에 의해 배반세포에 인접한 배유부분의 전분분해량에 변화를 보여 β-아밀라제 활성이 높은 장향도, 은방주(Ginbozu), Fortana I-133가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는 β-아밀라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원 287호와 시험한 모든 조건하에서 β-아밀라제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농림(Norin) 6호, 고시히까리(Koshihikari) 보다 배반상피세포 및 배반상피세포에 인접한 호분층 근접 배유부분의 전분립 감소가 컸다. 이상의 결과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벼 종자의 출아에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과 전분 분해의 연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4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nducted to elucidate the change of the cation content (Na+ , K+ , and Ca2+ ), the L-proline content, and the sugar and starch content in the stems, roots, and leaves of three cultivars of the 30 days old seedling soybeans (Glycine max L. cv. Danwonkong, Hwang-keumkong, and Kwangankong) after 100 mM NaCl stress containing 1/2 Hoaglands nutrient solution in the sand culture. The reduction of the dry matter weight after 100 mM NaCl treatment among cultivars was higher in the order of Kwangankong, Danwonkong, and Hwang-keumkong. The highest reduction of the dry matter weight was occurred at the roots among three parts of plant. The Na+ content increased with NaCl treatment in overall and specially greatly increased in roots and stems. The K+ and Ca2+ content decreased with NaCl treatment at the roots and stems. The K+ content, however, at the leaves increased in all three cultivars with the NaCl treatment. The L-proline content with NaCl stress increased greatly. The increment of the L-proline content at the stems and roots of Hwangkeumkong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two cultivars, K wangankong and Danwonkong. The sugar content decreased with NaCl treatment at the stems and leaves. The starch content also decreased at the stems and leaves with NaCl treatment.aCl treatment.
        245.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의 무증자 알콜발효조건을 설정하고자 반응표면분석으로 알콜 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무증자 발효에 가장 적합한 효모는 S. cerevisiae GRJ이었으며, alcohol content, brix, pH 및 총산에 대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R2는 각각 0.8852, 0.9202, 0.8806 및 0.9940이였다. 최적 알콜발효 조건은 효소제 함량 0.18%, 가수량 180%(v/w)로 예측되었으며 최적 알콜발효조
        246.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 세는 제빵용 소맥분의 손상전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작업조건 설정과 제빵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손상전분 함량을 각각 달리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 및 제빵 적성을 검토하였다. DNS와 CWRS 및 SW 등의 소맥을 제분하여 손상전분 함량 6.5%, 8.2%, 9.0%, 9.5% 및 10.5%를 함유한 시료로 제조한 반죽의 물리적 및 이화학적 특성인 farinogram, extensogram, amylogram 등을 조사하였으며
        247.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무증자 알콜발효조건을 설정하고자 반응표면분석으로 알콜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무증자 알콜발효에 적합한 S. cerevisiae GRJ를 선발할 수 있었다. 알콜함량, brix, pH 및 총산에 대한 회귀식의 는 각각 0.8828, 0.8409, 0.9431 및 0.9280이였다. 무증자 알콜발효에서 알콜함량의 최대치는 효소제 함량 0.34%(w/w) 및 가수량 350(v/w)의 범위에서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
        24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nule bound starch synthase (GBSS), also known as the '"waxy protein'", is responsible for the synthesis of amylose in the amyloplasts of cereal crops. In hexaploid wheat (Triticum aestivum L.), GBSS is involved in amylose synthesis and rolls a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flour quality and end-use quality in food products. Genes on three Wx loci have been found to encode GBSS in common wheats. We developed techniques for the purification and separation of GBSS in wheat. Three major GBSS isoforms, which were encoded by the genes on three loci, Wx-A1, Wx-B1, and Wx-D1 migrating differently by one dimensional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1D SDS-PAGE), were identified. GBSS from 66 Korean hard and soft winter wheats were purified and determined for their Wx loci and four of them were identified possessing a null allele either at the Wx-A1 and Wx-B1 loci. With help of identification of three GBSS isoforms using 1D SDS-PAGE system, we are able to identify and monitor Wx gene expressions in breeding materials for developing waxy or partial waxy wheats without experiencing consecutive selecting generations.cting generations.
        251.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취반용 보리 종실 내 (1-3, 1-4)-β-glucan의 축적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화 후 일정 간격으로 보리 종실을 채취하여 (1-3, 1-4)-β-glucan 함량, (1-3, 1-4)-β-glucanase 활성 및 전분함량과 α -amyl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β-glucan 함량은 등숙 초기에 매우 낮았으나 개화 후 15~25일 사이에 급속히 증가하였고 개화 후 30일경에는 종실 건물중의 3.5~4%로 증가하였다. (1-3, 1-4)-β-glucanase 활성은 등숙 초기에 높았으며 등숙이 진전될수록 감소하였다. β-glucan 함량과 (1-3, 1-4)-β-glucanase 활성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등숙 종실 중의(1-3, 1-4)-β-glucanase 활성이 매우 낮은 수준이므로 β-glucan 축적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분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개화 후 10~20일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포도당함량은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등숙 초기와 중기에 감소 정도가 매우 컸다. α -amylase의 활성도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등숙 초기와 중기에 매우 컸다.
        252.
        199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무전분의 호화특성을 조사하여 품질개량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보존 및 일본도입 36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전분, 아밀로스 함량 및 호응집성(Gel consistency)과 아밀로그램 특성을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율무품종의 전분함량차이는 50.9~78%로서 평균 60.5%를 함유하였다. 2. 율무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0~7.2%의 범위였고 gel의 길이는 평균 94mm로써 전형적인 찰전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3. 호응집성이 강산종, 추전종, 중리재래 등은 medium에 가깝고 대부분 품종이 soft에 속하였다. 4. 공시율무의 amylograph의 호화온도,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break down은 각각 69.0~75℃ , 210~520 BU, 205~425 B 및 5~135 BU의 범위로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5. 품종간 차이가 현저했던 아밀로그램 특성은 break down type이었고 일반적으로 율무 품종은 set back이 낮았다.
        253.
        199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찰성 부정형 Shrunken endosperm 유전자를 결합하여 육성한 Isogenic line을 이용하여, 취반 및 제분에 대한 제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의 배유 전분 특성이 다른 Isogenic type 간에 정곡 천립중, 회분, 단백질 함량은 별차이가 없었으나 Amylose함량, β-glucan viscosity와 취반특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 취반특성중 흡수율과 퍼짐성은 천립중, Amylose 함량과 부의 상관이 있었고, 용출고형물량과 점도간에도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흡수율과 퍼짐성은 배유 전분 특성과 입의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그 결과 찰성 Isogenic type이 높았고 부정형 전분 Isogenic type이 가장 낮았으며 종실의 크기가 작은 것이 큰 것에 비해 높았다. 4. 보리밥의 Mixogram pattern은 전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부정형 전분이 가장 많이 으깨어졌다. 5. 제분 특성은 메성이면서 부정형인 Isogenic type이 좋았고 찰성의 Shrunken endosperm Isogenic type은 대단히 불량하였다.
        254.
        199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보리의 전분함량 변이와 유전율을 밝히고, 이들 특성이 어떤 형질들과 상호 관련성이 있는가를 구명하여 효율적인 육종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원시 권선구 탑동 소재의 맥류연구소포장에서 1989년과 1990년에 수확된 쌀보리의 교배모본 137품종 및 계통을 재료로 전분함량 및 이와 관련된 형질들을 조사하였고, 전분의 유전율은 쌀보리 지역적응시험에 공시된 계통 성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분함량은 최저 49.15%, 최고 62.50%, 평균 57.20%이었으며 육성종과 병성밀수품종이 활성이나 병성소수품종, 도입종보다 높았다. 2. 종피중은 1.12mg에서 3.02mg까지 분포되고 평균 1.88mg이었으며 종실에 대한 종피비율은 4.0%에서 8.7%까지, 평균 6.5%였으며 품종간 차이가 컸다. 3. 단백질함량은 9.60∼15.90%의 변이를 나타내고 평균 12.86%였다. 4. 전분함량은 입중, 종피중, 종피비율, 입폭, 입후, 단백질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동일 품종 내에서도 입의 크기가 작은 것이 전분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종피중과 종피비율은 입폭, 입후와는 정의 상관이 있었고 전분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전분함량의 유전율은 30.0%였다.
        255.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F2 용 종자에 대한 찰성유전자(wx)와 분장성 전분유전자(fra)에 대한 유전현상을 구명하고 또 이들 두 유전자간에 관계를 구명키 위하여 실험을 한바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찰성 및 전분상성 배분인자는 각각 1개의 열성유전자가 관여하였으며, 2. 찰성과 분장성 전분유전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256.
        197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종 재배조건 및 저장기간이 고구마 전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저 신미 품종을 공시하여 삽식기별 수수기별 시비량별 토성별 저장기간별로 구분 시험을 실시하였든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월 15일 삽식에 비하여 만식일수록 괴근수량 및 전분함랴은 감소되었고 특히 6월 5일 이후의 삽식에서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괴근수량의 감소정도에 비하여 전분함량의 감소정도는 더욱 심하였다. 2. 10월 5일 적기수확에 비하여 조기수확일수록 괴근수량 및 전분함량은 감소 경향이였고 8월 25일 이전 조기수확은 괴근수량 37~45% 전분함량 5~7%의 감소를 보였다. 3. 시비량에 따라서 전분함량은 차이가 많았으며 대체로 3요소를 균형시비하는 경우 전분함량이 높은 경향이었고 가리질비료를 다용하거나 인산질비료를 시용하지 않은 경우 낮은 경향이였다. 한편 괴근수량에는 K20 O>P205 >N의 순으로 효과가 높았다. 4. 토성에 있어서는 모래나 자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토양에서부터 경직토로 갈수록 전분함량은 낮았으나 10a당 전분수량은 조사토 및 식양토에서 높았다. 5. 저장기간중 전분함량은 수량직후에 가장 높고 저장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수확후 10일에서 급격히 감소되었고 그 후의 감소는 근소하였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