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5

        26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수박에서 목화바둑명나방 발생 밀도에 따른 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 하여 2008년 7월-9월에 전북농업기술원 채소연구소 시험포장의 시설하우스 3 개동에서 처리 수준별(5처리 3반복)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7월 15일에 처리 구당 10주식 정식하고 착과전인 8월 4일에 목화바둑명나방 2령 유충을 주당 0, 0.5, 1, 2, 4마리 비율로 접종하였다. 유충 접종 후 7일 간격으로 발생밀도, 피해엽률 및 피해과율 변동을 조사하였다. 목화바둑명나방 유충 밀도는 모든 접종수준에서 2세대 유충이 출현하는 8월 중순부터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유 충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해엽률 및 피해과율이 증가하였다. 접종수준이 높 을수록 상품과율은 감소하였으며 목화바둑명나방 접종수준과 상품과율과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분석한 결과 착과전 Y=-22.425X+101.3(R2=0.9655), 착과후 Y=-13.267X+105.6(R2=0.9463) 이었으며, 수박 상품과율 90% 수준에서 목화바 둑명나방 요방제수준은 착과전 0.4마리/주, 착과후 1.0마리/주 이었다.
        26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배추 유묘에서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L.) 유충의 경제적 피해허용 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도둑나방 유충 접종 밀도에 따른 양 배추의 생육, 피해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정식 25일 양배추 유묘에 주당 0, 2, 5, 8, 12마리의 도둑나방 2령 유충들을 접종한 결과 15일 후 양배추의 평균 생체중은 무처리에서 38.3g, 2마리 접종구에서 36.7g, 5마리 접종구에서 21.7g, 8마리 접종구에서 23.3g, 12마리 접종구에서 16.7g,으로 도둑나방 유충의 접종 수가 증가할수록 양배추의 생체중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도둑나방 유충 발 생과 수량손실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누적발생일수(cumulative insect days)와 양배추 유묘의 손실률(%)과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비선형식인 logistic 모형에 잘 적용되었다. 이 식으로부터 수익한계인(gain threshold) 5%와 양배추 상품화율(91%)을 감안한 수량 감소율 14%에서 도둑나방 2령 유충 경 제적피해수준을 추정한 결과 CID 값으로 44가 되었다. 또한 요방제 밀도는 경제적 피해수준의 80%가 되는 35 CID로 추정되었다. 본 결과는 양배추 유묘 시기 도둑나방 유충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6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nomic injury level and control thresholds for the management of beet army worm,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were evaluated on chinese cabbage of two different planting time. Two inoculation times were tested for each planting and the number of inoculated larva was 10, 20, 40, 80, respectively. Damages of leaves by first inoculation were 63.2% after eight days planting on 80 larva inoculation plot. By the second inoculation, those were below 50% after 20 days planting on the end of September. Th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yield reduction were as following, Y = -10.62x + 867.9 (R² = 0.643) for 5 days and Y=-6.432x + 1074 (R² = 0.720) for 20 day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conomic injury level was 5.4 larva for five days and 9.0 larva for 20 days per 20 chinese cabbage.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were 4.3 and 7.2 larva, respectively.
        4,000원
        26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묘의 생육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생육 단계를 임의로 구분하고 각 단계 별 적정 환경 조건을 확립함에 목적을 두었다. 생육 단계는 총 20일의 배양기간을 6일(1단계), 7일(2단계), 7일(3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활착기로서 환경 처리 별 생육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높은 환경 조건에 의한 잎의 장해를 고려하였을 때, 80μmmol·m-2·s-1 의 PPFD 및 대기 중의 CO2 농도가 적합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PPFD 및 CO2 조건이 높아짐에 따라 건물 중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향상되었다. 에너지 효율과 생육을 고려할 때, 160μmmol·m-2·s-1 의 PPFD와 700μmmol·mol-1의 CO2가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PPFD 및 CO2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생육이 향상되었으며, 잎 및 마디의 발달상태도 현저히 향상되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생육증진을 고려할 때, 320μmmol·m-2·s-1 PPFD와 1800μmol·mol-1의 CO2가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생육 단계별 환경 조절은 초기단계에 상대적으로 낮은 조건을 유지하고 후기단계에서 충분한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묘를 생산할 수 있고 에너지 및 물질의 투입량을 절약할 수 있다.
        4,000원
        26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특성을 비교적 잘 반영하는 변형강도치가 안정적으로 배합설계시 기준강도를 만족할 수 있는 배합강도를 통계적 분석에 의해 제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실제의 도로 혼합물의 AFA시험과의 변형강도의 상관관계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의 임계치 (일반도로 3MPa, 간선도로 4MPa)와 국내 32개 조합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변형강도 값을 통해 변동계수(Vc)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합강도를 산정하였다. 공시체를 3개 사용할 경우 직경 100mm 공시체의 일반도로와 간선도로의 혼합물의 배합강도는 3.2MPa와 4.25MPa로 설정되었다. 또한, 이 값은 재하속도 30mm/min의 장비에서 얻어진 값이므로 재하속도가 50mm/min로 고정된 마샬안정도 시험기 사용시에는 더 높은 값인 3.5MPa와4.5MPa이 각각의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4,000원
        26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conomic injury level (EIL) and economic threshold (ET)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o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The changes of biomass of Chinese cabbage and M. persicae density were investigated after introduction of M. persicae at different density (0, 2, 5, 10, 15, and 20 per plant, inoculated at 10d after planting). The densities of M. persicae largely increased from the above initial densities to 0, 92.3, 177.4, 406.9, 440.4, and 471.3 aphids per plant at 18d after the initial inoculation, respectively. The biomass of Chinese cabbag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itial inoculated density of M. persicae: 602.0, 264.2, 262.0, 109.3, 151.0, and 67.3 g in above plot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ie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aphid days (CAD) and yield loss (%) of Chinese cabbage was well described by a nonlinear logistic equation. Using the estimated equation, EIL of M. persicae on Chinese cabbage was estimated 25 CAD per plant based on the yield loss 13%, which take into account of an empirical gain threshold 5% and marketable rate 92% of spring Chinese cabbage. Also, ET was calculated at 80% of EIL: 20 aphids per plant. Until a more elaborate EIL-model is developed, the present result may be useful for M. persicae management at early growth stage of Chinese cabbage.
        4,000원
        26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계청에서는 소지역통계공표구역 설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소지역통계공표구역(이하 집계구)설정에 대한 1차년도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본 연구는1차년도에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된 집계구 획정결과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목적이 있다. 1차년도 연구에서 자동획정된 집계구를 현장자료와 비교해 본 결과 주택유형의 혼재,인구 과소․과밀 집계구,사회경제적 동질성 저해,불규칙한 집계구 형태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준을 보완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보완된 기준은 기초단위구에 아파트 및 용도지역 정보 반영,인구 과소 대구역 경계조정 등으로 구성하였다.그 결과 집계구 내의 동질성과 인접한 집계구간 이질성을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대안은 집계구 획정 작업과정의 지침으로 반영하여 집계구가 보다 동질적인 지역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4,200원
        270.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stablish high school male students’ criterionreferenced standards for the Youth Physical Fitness Awards Program in order to suggest standard physical strength levels to be achieved by high school male students in the events
        6,300원
        271.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에서 많은 특허개혁과제들이 계속하여 입법화에 실패하여 온 이유는 다양한 특허개혁과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도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차별적인 충격법은 다양한 특허개혁과제들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차별적인 충격법은 나쁜 특허에 대하여만, 혹은 나쁜 특허에 대하여 더 충격을 가하는 특허개혁과제를 우선 입법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차별적인 충격법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많은 특허개혁과제들에 대하여 차별적인 충격법을 적용하면, 입법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차별적인 충격법은 좋은 특허와 나쁜 특허의 구별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구별은 내용 면에서의 구별이다. 내용 면에서 접근하는 특허개혁 과제가 우선 순위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특허소송의 불확실성 제거나 특허에 대한 정보접근권의 보장과 관련된 특허개혁과제가 차별적인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입법의 우선 순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
        6,000원
        275.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추에서 파밤나방 요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2007년 8월 28일, 9월 12일 배추를 정식하고 정식 5일째에 파밤나방 1~2령을 10, 20, 40, 60마리/100주 씩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파밤나방의 접종시기별 피해엽율을 보면 정식 5일째(1차 접종)에 20주에 40마리 접종 시 9월 7일에 33.5%의 피해엽율로 가장 높았으며 5마리 접종시 10.9%로 나타났다. 정식 20일째에 접종(2차 접종)한 경우 9월 7일에 20.5%의 피해엽율로 높았으나 1차 접종 보다는 낮았으며 또한 10마리 접종구에서도 7.5%로 1차 접종 때보다 아주 낮았다. 파밤나방 무처리시 수량은 3,495.2kg/10a이었으며 1차 40마리 접종에서 수량은 1,774.2kg/10a로 수량감소율은 49.2%였으며 2차 접종에서는 수량 2,220.5kg/10a로 수량 감소율은 36.5%였다. 파 파밤나방의 유충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는 정식 5일은 Y=-43.474x + 3419.6(R2 = 0.9698), 정식 20일에는 Y=-32.977x + 3518.9(R2 = 0.9928)로 배추재배 시 정식 5일째 요방제 수준은 20주당 1.8마리이며, 정식 20일에 발생하는 경우 20주당 4.6마리였다. 파밤나방 접종밀도에 따른 피해율과 수량감소율의 관계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피해가 클수록 수량 감소율도 크게 나타나 대파의 수량에는 파밤나방의 피해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78.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수박에 발생하는 수박 응애류 요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2007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채소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구에 응애류(점박이응애+차응애)를 5수준(0, 2, 5, 10, 20마리/주)으로 착과기 이전인 5월 10일에 접종하였고, 이후 7일 간격으로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응애류 방사 이후 시기별 발생 밀도는 무방사구를 제외하고 계속 증가하다가 6월 중순부터 급증하는 경향이었다. 응애 접종수준에 따른 수박 생육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 후 평균 과중은 접종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7kg 이하의 소과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응애 접종수준과 과중감소율과의 상관관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Y= 0.734X + 2.187(R2= 0.858)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고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박 생육 후기 엽당 6마리 이상 응애 발생엽 비율과 과중감소율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Y= 0.418X - 0.744, R2= 0.889)가 성립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수량감소율 6.3%에서 응애류 요방제수준은 착과 이전에 주당 4.5마리이었으며, 생육 후기에 엽당 6마리 이상 응애 발생엽 비율 13.5% 이었다.
        27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시설재배 피망에서 발생하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요방제수준 설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2007년에 농가포장조사 및 망사케이지를 이용한 시험구별 밀도구배 시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얻었다. 시험기간 동안 황색끈끈이트랩과 꽃조사를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를 측정하였고, 피망 수량 및 과실 품질 조사등을 수행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에 의한 피해는 피망 과실표면, 꽃받침에 뚜렷하게 나타났고, 과실에서 피해가 심할 경우 상품성 하락을 유발하였다. 무접종구에 비해서 접종구에서 밀도 증가가 많이 일어났지만, 접종구내에서는 접종수준별로 밀도 구배가 뚜렷하게 유지되지는 않았다. 접종 수준별 피해과율 구배는 다소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품과를 대상으로 접종 수준별 과실 갯수 및 수확량의 유의성은 발생밀도가 높은 시험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확 2주전에서 피망에서 꽃노랑총채벌레 밀도와 피해과율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해과율 5%를 기준으로 꽃노랑총채벌레 밀도수준은 끈끈이트랩 조사에서는 4.8마리, 꽃에서는 7.2마리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