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1

        28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materials derived from the seed of Pongamia pinnata to third instars of insecticide-susceptible Culex pipiens pallens and Aedes aegypti and wild Aedes albopictus was examined using a direct contact bioassa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urrently used insecticides fenthion and temephos. The active principles of Pongamia pinnata were identified as the karanjin (1), karanjachromene (2), pongamol (3), pongarotene (4), oleic acid (5), and palmitic acid (6) by spectroscopic analysis. Based on 24 h LC50 values, karanjin (14.61 and 16.13 mg/L) was the most toxic compound, followed by oleic acid (18.07 and 18.45 mg/L) and karanjachromene (18.74 and 20.57 mg/L). These constituents were less toxic than either fenthion (LC50, 0.0031 and 0.0048 mg/L) or temephos (0.021 and 0.050 mg/L) against Ae. aegypti and Cx. p. pallens. Low toxicity was produced by pongamol (LC50, 23.95 and 25.76 mg/L), pongarotene (25.52 and 37.61 mg/L), and palmitic acid (34.50 and 42.96 mg/L). Against A. alpopictus instars, oleic acid (LC50, 18.79 mg/L) was most toxic. Low toxicity was observed with the other five constituents (LC50, 35.26- 85.61 mg/L). P. pinnata seed-derived active principles, particularly karanjin, karanjachromene, and oleic acid, merits further study as potential mosquito larvicides for the control of mosquito populations in light of global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highly toxic synthetic larvicides in the aquatic environment.
        283.
        201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rmation of high-quality 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on relatively low cost substrat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the development of thin film solar cells. Poly-Si seed layers were fabricated by an inverse aluminum-induced crystallization (I-AIC) process and the properties of the resulting layer were characterized. The I-AIC process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inue the epitaxial growth without an Al layer removing process. An amorphous Si precursor layer was deposited on Corning glass substrates by RF magnetron sputtering system with Ar plasma. Then, Al thin film was deposited by thermal evaporation. An SiO2 diffusion barrier layer was formed between Si and Al layers to control the surface orientation of seed layer.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Si seed layer was analyzed by Raman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XRD). The grain size and orientation of the poly-Si seed layer were determined by electron back scattering diffraction (EBSD) method. The prepared poly-Si seed layer showed high volume fraction of crystalline Si and<100> orientation. The diffusion barrier layer and process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grain size and orientation of the poly Si seed layer. The shorter oxidation time and lower processing temperature led to a better orientation of the poly-Si seed layer. This study presents the formation mechanism of a poly seed layer by inverse aluminum-induced crystallization.
        4,000원
        285.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purpurea의 야생형 FP39는 진한 자주색 꽃과 흑 갈색의 종자가 맺히는 반면, 자연변이종인 KK-1과 W-4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결핍된 꽃을 피우고 아이보 리색의 종자를 맺는다. 이들 변이종에서는 조사된 안토 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률이 떨어졌는데, 이는 나 팔꽃식물의 전사조절인자 변이종인 ivs, c1 및 ca 계 통에서 관찰된 결과와 유사하였다. 분자분석을 통해 꽃 과 종자에서 동시에 관찰되는 착색변이는, bHLH 단 백질을 암호화하고, 꽃과 종자의 착색을 포함한 식물의 표피세포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형질에 관여하는, 애 기장대의 TT8과 페튜니아의 AN1유전자와 상동성이 있 는 나팔꽃의 IVS 유전자에 DNA형 전이인자가 삽입됨 으로써 유전자의 기능이 상실된 결과였다. KK-1과 W-4계통은 bHLH2의 변이형질인 ivs-m1과 ivs-stb를 각각 가지는데 두 대립형질의 IVS 전사산물 축적은 전이인자의 exon 영역 삽입에 의해 감소되었다. 전이 인자의 삽입을 제외하더라도, ivs-m1과 ivs-stb는 exon 및 intron 영역에서 각각 26 및 165부분에서 DNA 염기서열 차이를 보였다. 그 차이는 추정 아미노산 서 열에서14개의 아미노산 차이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 과로 이 두 대립형질이 같은 종 내에서 서로 다른 생 태역사를 가질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000원
        286.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자로부터 순수분리한 리그난이 무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생장조절제와 천연물의 생물검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오미자로부터 순수분리한 schisandrin, schisandrin C, gomisin A 및 gomisin N 등 4종의 리그난이 무 종자의 발아 및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 종자를 10-5, 10-6 및 10-7 M의 schisandrin, schisandrin C, gomisin A 및 gomisin N 용액에 1시간 침지 후 발아율을 비교한 결과, 4종의 리그난류 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발아속도가 빨랐다. 리그난류의 처리 48시간 후 대조구를 기준으로 하여 발아율의 촉진 또는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schisandrin과 gomisin A는 10-6 M의 농도에서, schisandrin C와 gomisin N은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리그난이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구를 기준으로 하여 생육 촉진 또는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하배축은 gomisin A와 gomisin N의 처리시 10-5 M의 고농도에서, gomisin N의 경우에는 10-6 M에서 생육이 촉진되었으며, 뿌리의 길이는 schisandrin 10-4 M의 고농도에서 가장 길었다. 유식물체당 총 생체중 및 건물중은 10-7 M의 저농도 처리시에 촉진되었으며, schisandrin C는 10-5 M의 고농도 처리시에 생체중과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오미자로부터 순수분리한 리그난은 종자발아 또는 유묘의 생장을 조절할 수 있는 생장조절제로서 이용가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28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mineral element concentrations of acorns i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seed orchard, so that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these species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different clones from plus trees. The acorns were collected from ten clones of each species grown in the same clonal seed orchard. The nutritional concentration of acor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lones and species.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for the whole acorn followed in this general sequence: P > K > Na > Mg > Ca > Mn > Fe > Zn > Cu . The mineral concentrations of acorns in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contained P (494 to 684 and 541 to 672 mg/100 g), K (114 to 569 and 140 to 251 mg/100 g), Na (57 to 121 and 49 to 85 mg/100 g), Mg (29 to 37 and 26 to 42 mg/100 g), Ca (10 to 53 and 26 to 68 mg/100 g), Mn (0.5 to 3.4 and 1.8 to 4.5 mg/100 g), Fe (0.7 to 1.1 and 0.0 to 2.2 mg/100 g), Zn (0.34 to 0.81 and 0.38 to 0.84 mg/100 g), and Cu (0.13 to 0.40 and 0.09 to 0.34 mg/100 g) respectively. Even though acorns of Q. serrata are smaller in size than Q. acutissima, acorns of Q. serrata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f phosphorus, calcium, iron and manganese than Q. acutissima. Based on the mineral composition of the acorn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have different ability to accumulate mineral nutrients which could indicate the variation of Quercus species in terms of mineral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4,000원
        28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na is a one of the largest agricultural countries in the world. China consumes around 12.5 billion kilograms of seeds each year. Suchhuge demand for seeds has made the Chinese seed market more and more attractive for investment. Through analysis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existing problems of the seed industry in China and based on the current Chinese seed industry development, some future prospects for investments are indicated.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appropriate strateg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seed industry as it considers its entry into the China seed market as a new growth engine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basic law regulating the Chinese seed industry is the PRC Seed Law that generally refers to the protection of germplasm resources, verification of varieties, seed quality issues, the import and export of seeds, seed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various rights and obligations. The regulations were aimed at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concerning new varieties of plants. China has two main industry associations, the National Seed Association and the China Seed Industry IP Union, that are non-profit associations consisting of entities and people engagin in the seed scientific research, prod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The China National Seed Group Co., Ltd. (“Sino Seeds”) is the market leader in China regarding the seed industry. The chinese government, however, encourages investment from multinational companies as well as importation of modern crop planting management technologies and equipment. It supports the entry of investors with proven experiences in breeding and germplasm resources expansion and R&D. There has never been a better time for multinational companies with proven seed industry experience to look at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he Chinese government and enterprises.
        4,000원
        28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깨 종자의 발아율 향상 및 초기생육 촉진을 위한 priming 처리의 적정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priming 약제 및 농도,priming 기간과 온도 및 priming후 저온 및 고온에서의 발아율에 대한 실험 결과에서 참깨 종자의 Priming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PEG 6000, 농도는 −0.75MPa이었으며, priming처리 기간은 15에서 4일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 적이었다.참깨 종자의 priming처리가 최종 발아율 향상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지만 초기 발아율 향상 및 T50 단축에 효과 적이었다. 참깨 종자의 Priming처리는 20oC 이상 보다는 15oC 저온에서 T50 단축에 효과적이었고, 발아율도 향상되어 재배적온보다는 저온하에서 Priming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iming 처리 후 건조 온도 조건에 따른 발아율에는 차이가 없어 25oC에서 3시간 정도 건조 시키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었다.
        4,000원
        29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초기 생활사가 종자크기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산림군락에서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참나무 4종의 열매를 3등급의 크기(대, 중, 소)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4종의 발아율, 겨울철 생존율과 초기 생장율을 측정하였다. 평균 발아율은 종자가 큰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에서 높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갈참나무와 졸참나무에서 낮았다. 그러나 종 내 종자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굴참나무에서만 종자가 작을수록
        4,000원
        29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개발 재배품종인 코스피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조건 및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NAA 보다 효율적이었으며, 5 mg/L 2,4-D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다.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1 mg/L 2,4-D와 5mg/L BA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67% 이상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
        4,000원
        29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대의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1.0 mg/L 2,4-D와 0.5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cytokinin류인 BA와 kinetin이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서 59.6%로 높은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었
        4,000원
        29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뮤다그라스는 현재 난지형 목초자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잔디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품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난지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는 동절기의 동해를 받아 일부 고사하거나 생육이 불량하며, 여름철 병해충 등의 발생으로 유지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버뮤다그라스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동해와 같은 각종 환경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신품종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뮤다그라스의 성숙종자로부터 생
        4,000원
        29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berian wildrye grass는 몽골지역 방목 초지에 넓게 분포하는 대표적인 초종으로 사료가치가 높고 장기간 이용 할 수 있는 장점 등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사막화로 초지의 면적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할 목적으로 우선 효율적인 기내배양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Siberian wildrye grass의 최적의 기내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4,000원
        29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티모시의 4가지 품종을 이용하여 성숙종자로 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조사하였다. 4주 동안 배양한 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율은 Colt, Chair, Richmond, Hokuo 순으로 캘러스 유도율을 보였고, 식물체로의 재분화 또한 캘러스 유도율과 같은 Colt > Chair > Richmond > Hokuo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 배지의 종류에 따른 배양 효율의 차이는 품종별 차이는 있으나 MS 배지가, 식물체 재분화는 N6 배지와
        4,000원
        29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풍나무류의 활력있는 종자의 공급량을 파악해 보고자, 2009년과 2010년의 초가을에 단풍속 6수종, 복장나무, 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당단풍 및 단풍나무 종자를 채취하여 종자특성과 종자활력을 조사하였다. 화서형태는 복장나무, 당단풍과 단풍나무는 산방화서(corymb),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는 위가 편평한 원추화서(flat-topped panicle), 부게꽃나무는 총상화서(raceme)였다. 화서당 종자?V의 개수는 부게꽃나무가 38.5개로 가장 많았고, 당단풍이 2.4개로 가장 적었다. 종자직경은 우산고로쇠가 13.5mm로 가장 크고, 당단풍이 4.7mm로 가장 작았다. 시과의 각도는 당단풍이 130.05˚로 가장 크고, 부게꽃나무가 48.60˚로 가장 작았다. 20 시과?V의 건조중량은 우산고로쇠가 3,900mg으로 가장 무거웠고, 부게꽃나무가 404mg으로 가장 가벼웠다. 채종한 단풍나무류 종자의 건전종자의 비율은 단풍나무는 50%, 다음으로 부게꽃나무는 43.2%로 나타났다. 나머지 4 수종은 8.6~22.2% 정도로 나타나, 낙하종자에 대한 설치류의 피식량, 건조의 피해, 낙엽층의 발아방해 등을 고려하면 고로쇠, 우산고로쇠 복장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건전종자의 공급량 부족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로쇠,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및 당단풍나무의 종피에서 벌레에 의한 천공피해가 관찰되었으며,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의 종자에서는 검정긴꽃바구미(Bradybatus sharpi)가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299.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 kill incidents are not rare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Han River where overall water quality is suitable for supporting a fish community. However, the causes of fish kills are often not identifi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ause of a fish kill in an upstream tributary of the North Han River (Seo Stream, Yanggu County). In the field survey at the time when the fish kill occurred, the results did not indicate any harmful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or toxic pesticides. Instead several tons of gingko (Ginkgo biloba) seed coat wastes were found in the water along the reach of fish kill site. Because gingko is known to be toxic, it was suspected as a cause of the fish kill. Recently gingko produc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nd it is common practice for farmers to wash the seed coats of seeds in streams because the seed coats are toxic and emit an offensive odor. Toxicity of gingko fruit to humans is well known, but the toxicity to aquatic biota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We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gingko seed coat extract to an invertebrate (Daphnia magna) and a fish (Oryzias latipes). After 48 hours exposure to seed coat extract the EC50 of Daphnia immobilization was 0.35% of a mixture corresponding to a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ion of 413 mgC L−1. In the fish experiment, the LC50 after 96 hours exposure was 0.4% of the extract mixture corresponding to a DOC of 440 mgC L−1. Thus gingko seed coat is toxic to aquatic animals and gingko washing was the likely cause of the fish kill incident. Our results suggest that gingko seed coat waste should be treated properly and not disposed of in streams.
        4,000원
        300.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imperatorin (1) and osthol (2) identified in Cnidium monnieri seed and four structurally related compounds to third instar larvae of insecticidesusceptible (KS-CP strain) and field-collected (DJ-CP colony) of Culex pipiens pallens was examin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o conventional mosquito larvicide, fenitrothion and temephos. Based on 24-h LC50 values, imperatorin was 1.9, 3.7, 4.2, 12.4, and 15.1 times more toxic than isopimpinellin, isoimperatorin, osthole, xanthotoxin, and bergapten against KS-CP larvae, respectively. Overall, these compounds were less toxic than either fenitrothion or temephos. However, these compounds did not differ in toxicity against larvae from the two Culex strains, even though the DJ-CP larvae exhibited high levels of resistance α-cypermethrin, deltamethrin, chlorpyrifos, fenthion, and chlorfenapyr (resistance ratio, 94-1179).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isolated compounds and the pyrethroid, organophosphorus, and pyrrole insecticides do not share a common mode of action or elicit cross-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