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5

        30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nies must capture value for sustainable growth. Capturing value is a critical task for companies, particularly when operating own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or starting new business. The business strategy of many companies focuses on capturing the maximum value from customers and other stakeholders. Even though a wide range of studies on value creation and appropriation has been conducted in the strategic management field, most of studies are still conceptual and theoretical. Thus more empirical studies are required to suggest future-oriented value strategy. This study reveals the value creation and appropriation elements in the aviation industr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of value creation and appropriation in the industr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firm’s performance are tested. The firm’s performance is defined by that past and future point of views. The sample were collected from Korean Air and Asiana Air. The empirical test shows that the elements of value creation-appropriation have significant impact on firm’s performance. Further, the element of value appropriation to customer has a positive impact both on firm’s past and future performance. Our results show that investors acknowledge a value-based strategy as a sign of stock 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test correspond with the earlier one, showing that maximizing customers value rather than shareholder value does deliver impressive returns. The finding suggest that companies need to change their strategy to efficiently manage performance. With the test results, we propose a value-based strategy to maximize firm’s future financial and stock performance.
        4,000원
        30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대학생 소비자의 안경구매행태와 소비가치가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경구매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소비가치가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방법: 본 연구대상의 표본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익산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누락되어 분석에서 제외한 17부를 제외하고 최종 302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자의 안경구매행태를 살펴보면, 평균안경교체주기는 ‘1년 이상 2년 미만’이 3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안경교체이유는 ‘도수 변화’가 3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안경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은 ‘나 자신’이 70.2%로 가장 높았다. 안경구매 시 가장 중요한 선택요인은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 한 경우가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안경구매행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 성보다 남성이, 소득이 많은 사람이, 안경을 착용한지 얼마 되지 않은 대학생들이 더 안경교체를 쉽게 결정 하였다. 남성의 안경교체이유는 ‘안경파손’, ‘렌즈흠집’, ‘유행 뒤처짐’ 순이었으나 여성은 ‘도수 변화’가 51.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안경착용기간이 ‘10년이상’인 집단은 ‘도수 변화’ 비율이 48.8%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이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디자인을 최우선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가격을 최우선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에게 안경구매는 미래보다는 현재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으 며, 쾌락보다는 실용성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다. 소비가치 중 쾌락적 소비가치 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게 소비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안경구매에 대한 소비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쾌락적 소비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컨 텐츠 개발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31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출연기관은 국가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환경 등의 사회적 이슈가 확대되면서 출연연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도 강조되어가고 있다. 그 결과 출연연이 기본 연구개발의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공헌 또는 기여를 통하여 사회와 더불어 공존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출연연 이해당사자 교육성과에 대하여 공유가치창출(CSV)의 지표들을 분석하고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정책방안들을 제안한다
        31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international businesses human resource elements acquired in different countries might have different values in varied industries due to different quality of education and experiences in original countries. Using existing models to evaluate expected values of human resource elements such as education and experience setc. acquired in sending countries they are expanded to examine also the valu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degrees in technology jobs with selectivity bias correction. This paper used the US census survey data of 2015 on earnings, academic degrees etc. to contrast qualitative effects with quantitative effects of human resource elements compared to those in the native and/or white group.
        31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치를 확보해야 한다. 많은 기업들의 전략은 고객으로부터 가치를 최대한 확보하고 전유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가치에 대한 연구는 학계와 산업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지나치게 개념적이거나 이론적인 경우가 많아 실증적인 연구로 이어지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VCA(value creation and appropriation)model을 이용해 국내외 항공 산업에서 발생하는 가치창조와 전유 동향을 분석하였다. VCA모델을 통해 가치를 창조하기 위해 투입된 자본과 노동력을 바탕으로 기업이 실제로 창출한 가치의 양을 계산할 수 있으며 또한 창조된 가치가 기업의 이해관계 자(임직원, 고객, 공급업체 자본투자자 등)들에게 어떻게 배분(distribution)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의 주요 항공사의 재무제표 등 접근 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을 수행했으며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총 15개년의 데이터를 수집했다. 분석 결과 각 국가, 기업 규모, 연도별로 가치의 창조와 전유에는 일정한 패턴과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종적으로는 가치창조와 전유의 유형별로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318.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purchasing products or services, consumers tend to purchase multiple value attributes through the acquisition of a product rather than phys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consumption valu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by dividing consumption values that woul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actual purchase behavior into five levels. Among the consumption value factors of custo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the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rare value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the influence of situational valu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as not verified. These finding are partially concordant with those of preceding studies, and the consumption value of consu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has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behavior;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for companies selling fair-trade products to understand consumers’ specific values. Moreover,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rand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revealed that purchase intention increased when brand attitude was higher.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measures to increase purchase intention by targeting consumer groups with high brand attitude with intensive promotions.
        4,000원
        319.
        201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론 안동 하회마을은 문화적 전통과 민속을 보존하고 계승하 고자하는 국가 차원의 정책 목표 아래, 1984년 최초 민속마 을로 지정되었다(김창민. 2009). 이후 하회마을은 조선시대 가옥형태와 전통적인 삶이 그대로 전승되고 있는 생활공간 으로, 주민들이 세대를 이어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살아있는 유산(Living Heritage)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세계문 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렇듯 하회마을은 ‘민속마을’ 혹은 ‘세계문화유산’이라는 이름으로 전통적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자연과 삶이라는 유기체적 범주에서 전통 경관보존을 위해 상호 조화되는 과정에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하회마을 형태를 구성하는 수직경관요소는 담장, 건축물, 수목이고, 이 세 가지 구성요소는 마을경관변화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방문객의 입장에서 살펴봐도 마을길 을 따라 보이는 제한된 관람환경임을 고려할 때 건축물과 담장을 제외한 수목은 생장을 하며, 계절에 따라 개화 및 단풍을 연출하는 등 마을경관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경관요소이다. 그러나 마을 내 전통경관을 보존하기 위해 그동안 수행되었던 종합정비계획 및 기타 연구 자료는 건축 물의 보수와 정비에 초점을 둔 수리보고서 성격이 대부분이 다. 하회마을 식생경관과 관련하여 식물연구가 진행되었지 만 대부분이 식물상 조사에 그쳤으며, 더구나 식물상조사의 경우는 연차적인 모니터링 결과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단 발성 연구에 그치고만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의 부재 뿐만 아니라 마을 내 유입되는 수목의 반·출입 기록은 고사 하고, 현재 생육하는 수목의 현황조차 파악되지 않는 실정 이다. 그리고 하회마을은 사유지가 대부분으로 개인취향에 의한 무분별한 식재, 혹은 지자체 합의에 의한 주체적인 경 관식재 등이 조성되면서, 전통마을에서 최소한 유지되어야 할 고유 식재경관이 점점 변화되고 있다. 이에 문화 및 생물 학적 가치에 우선한 수목분석을 통해 정비·보존되어야 할 식재경관의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방법 하회마을 동측 진입부 수계를 경계로 한 135개소의 가구 별 정원수목과 기타 마을 내부에 생육하는 수목의 전수조사 (2017.2.∼2017.9.) 자료를 바탕으로 자연적·문화적 가치를 평가하여 도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수목의 전수조사는 조사대상지 내 자연발생이 아닌 인위적으로 조성된 교목을 연구 범위로 설정하였고, 근원 3cm 이하 또는 수고 1m이하의 경우 조사범위에서 제외하 였다. 단 앞의 조건에 의해 제외된 수목이지만 인문적 요소 가 가미되거나 정원수로 가꾸어 수고가 높지 않은 경우는 연구자 판단에 의해 조사범위에 포함하였다. 하회마을 ‘식생경관 보존’을 최종목표로 한 평가항목을 설정하기 위해 수목의 가치를 대변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나열하고 유형화하는 반복과정을 통해 자연적 가치 5가지 와 문화적 가치 5가지의 세부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추출된 평가항목의 요소별 평가값은 하회마을 수목현황을 근거로 상대적으로 부여하였다. 생물학적 가치는 수목자체가 지니 는 생육상태를 기존 선행되었던 노거수 자원평가보고서(문 화재청, 2006) 건강성평가항목을 참고하여 설정하였고, 여 기서 도출된 등급자체가 수목가치의 절대값을 대변하지는 않는다. 역사적 가치 평가기준은 인문현황과 관련한 자료의 진정성정도에 따라 등급을 구분하였다(Table 1). 도면중첩분석은 지도상에 공간적 정보를 통합하여 합성 하는 과정으로 주로 토지이용의 최적지 타당성 분석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면중첩은 평가항목별 누적된 결과에 대한 위치별 가치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회마을 내 식생경관 가치의 계량화 분석이 가능하다. 전수 조사된 수목을 1:1000 수치지형지형도에 CAD로 작성하고, 도면에 표현된 수목심볼의 실측값(Point)에 더 큰 가중 값을 주어 보간하는 IDW(Inverse Distance Weighted)를 활용하여 문 화적·생물학적 요소의 가중치를 중첩하여 분포결과를 도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하회마을 연구범위에 식재된 교목은 총2,483주(상록교목 709주, 낙엽교목 1,774주)로 집계되었다. 성상은 상록교목 총15종으로 가이즈까향나무, 구상나무, 노간주나무, 반송, 백송, 비자나무, 선주목, 섬잣나무, 소나무, 스트로브스잣나 무, 실화백, 전나무, 주목, 측백나무, 향나무이고, 낙엽교목 총 48종으로 가중나무, 감나무, 고로쇠나무, 공작단풍, 꽃사 과류, 노무라단풍류, 느릅나무류, 느티나무, 단풍나무, 대추 나무, 두릅나무, 두충나무, 때죽나무, 마가목, 매화나무, 모 과나무, 목련류, 밤나무, 배나무, 배롱나무, 버드나무, 벽 동, 복숭아, 산딸나무, 산사나무, 산수유, 살구나무, 석류나 무, 소사나무, 아까시나무, 음나무, 오갈피나무, 왕벚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일본목련, 자귀나무, 자두나무, 중국단 풍, 참나무, 층층나무, 팥배나무, 팽나무, 헛개나무, 호두나 무, 회화나무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평가항목인 수목의 근원직경(수관폭), 수령, 수세, 수형, 특수성 총 5개의 기준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1등급 8주(0.3%), 2등급 281주(11.3%), 3등급 400주 (16.1%), 4등급 463주(18.6%), 5등급 1,331주(53.6%)로 나 타났다. 역사적 중요도를 반영한 문화성, 역사성, 기록성, 시대성, 문화재지정여부 유지 총5개의 항목으로 도면에 데이터 코 딩을 실시한 결과 1등급 3주(0.1%), 2등급 267주(10.8%), 3등급 4주(0.2%), 4등급 112주(4.5%), 5등급 2,097주 (84.5%)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합산 된 수목의 평가값은 1등급 4주(0.2%), 2등급 269주(10.7%), 3등급 28주(1.1%), 4등급 714주(28.8%), 5등급 1,468주 (59.2%)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안동하회마을 내 생육하는 수목의 가치분석을 통 해 현재 변화하고 있는 식생경관 재건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 시하고자 하였다. 수목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자연적 가치 5항목과 문화적 가치 5항목을 선정하고, 분석의 최종단계에 서 종합가치5등급을 제시하였다. 그 중 수목종합가치가 1등 급으로 나타난 삼신당 느티나무 등 4주와 2등급에 해당하는 만송정 숲 일원 소나무 등 267주는 마을 역사의 흔적을 포함 하는 수목으로 가치가 우수하며, 추후 하회마을 식생경관 관 리계획에 있어 우선에 포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안동하회마을의 식생경관 재건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때, 마을에 식재된 수목의 진정성 확보를 위한 평가항목의 추가 적인 보완과 세부적인 보존·관리방안 관련 연구는 추후 과제 로 남기고자 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