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7

        30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udies that included simulation bas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Methods: We searched for published and unpublished researches using electronic Korean database such as RISS, KISTI/NDS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KERIS, KISS, DBpia, Hakjisa, and Google scholar. The term for nursing, simulation, and scenario were entered as key words. Result: Total 42 studies were included and categorized in final. The major subject of simulation based learning was adult nursing for 3rd and 4th grade nursing students using high fidelity simulators. For applying the simulation based learning, 3-6 students were designated as a team. The most evaluation components we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n simulation based learning.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that the main theme or scenarios for simulation 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were varied and detailed according to clinical situation. However, the qualification for instructors should be reported in studies for simulation based leaning in nursing.
        5,200원
        302.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0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 program by applying hazard perception training on self-efficacy of patient safety, error recovery and problemsolving proces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ed was used. The study was composed of hazard perception training and simulation program. Sixteen teams of a total of 61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 program using a high fidelity simulat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and t-test using PASW 18.0 program.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 in self-efficacy of patient safety(t=2.55, p=.013), error recovery(t=2.82, p=.007), and problem-solving process(t=3.29, p=.002)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mulation program by applying hazard perception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of patient safety, error recovery and problem-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confirm the long-term effects of the simulation program by applying hazard perception training.
        4,000원
        30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118 domestic four-year college samples, the survey was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October 2015 to February, 2016.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imulation training course was composed of 'credits' (82.5%), practice personnel for simulation training course was mean 11.6 persons per practice group, and simulation training course consisted of almost six placement, and there were mean 3.08 simulation models. And Charge instructors for simulation practice were a assistant professor(28.9%), professor(26.3%), and dedicated personnel was mean 1.7 persons. Instructors were received education an average of 4.40 times, they learned the most common from institutions and medical device company(30.4%), The result was revealed that "Critical thinking skills" (23.7%) of the goal of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was the most common,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contents was problem-solving skills (20.9%). Most majors to conjugat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were an average of 2.54 credits/3.14 hours as an adult nursing, 1.55 credits/1.60 hrs as an pediatric nursing, 1.50 credits/3.00 hrs as fundamentals of nursing, and 1.25 credits/2.63 hrs as an maternal nursing, respectively. Most scenarios that were dyspnea care (67.5%) %), cardiovascular care (50.0%), maternal child-related care (47.5%), and hypoglycemia nursing care(37.5%), and others(67.5%).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reflect in the policies of educational accreditation.
        4,300원
        305.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우리나라는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교통지체 및 교통사고 잦은 지점을 중심으로 일반 평면 교차로에서 회전교차로(Roundabout)을 도입하였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약 400개소가 운영 중 이다. 국내・외의 급격한 회전교차로 증가는 회전교차로의 독특한 기하구조와 운영방식에 의해 교통소통 및 안전 개선에 획기적으로 기여하는 했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회전교차로 설치 전 대비 교통사고 발생 건수 평균 약 40% 감소, 통행시간 평균 약 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의 경우에서도 회전교 차로 도입에 따른 교통사고가 설치전보다 30~80%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다양한 도로・교통 환경 에서 자동차 통행이 가능하기 위해 2014년에 회전교차로의 설계기준을 개정되었지만, 국외에 비해 더 제 약적인 국내 도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기 위해 더 유여한 설계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회전교차로 의 설계 요소들(내접원, 중앙교통섬, 회전차로 폭, 진출입 차로 폭 및 회전반경)은 설계자동차와 연관성이 상당히 높으며, 건설비용, 안전 혹은 운영측면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기준 제시는 인프라 성능・안전 적정 유지와 공사비용에 중요하다. 그러나 너무 보수적인 설계기준을 적용한다면 지나 친 건설비용 혹은 높은 속도에 따른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로 중심선 방향이 회 전교차로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 대비 회전교차로 중심의 왼편으로 편형에 따른 진출입 차로 폭과 회전반경 영향 정도를 정립하여 유연한 기준 값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차량의 주행 궤적 분석 시뮬 레이션 프로그램(AutoTURN)을 이용하여 1차로형 회전교차로(설계기준자동차:세미트레일러)와 2차로형 회전교차로(설계기준자동차:대형자동차+세미트레일러)의 각각 한 가지 설계조건(내접원 지름)을 대상으 로 편형에 따른 관련 설계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접근로 중심선 방향이 회전교차로 중심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 대비 그 중심의 왼편으 로 편형에 따른 방식이 같은 회전반경에서 진입차로 폭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형 이 클수록 그리고 2차로형 회전교차로에서 관련 영향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편형 방식을 통해 공사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좁은 차로 폭으로 인한 접근 차량 속도 감소를 유도하여 안전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306.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평면교차로 설계지침에서“평면교차로란 도로와 도로가 서로 교차 또는 접속되는 공간 및 그 내 부의 교통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교차로의 기하구조, 운영방법 등에 따라 운전자가 통행노선을 선정하는 의사결정 지점이 된다.”로 정의하였다. 교차로의 운영에 따라 파급효과는 연계 노선 전체의 도로에 중요 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차로 설계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현 지침에서는 각 교통운영 방안 별 도로・교통조건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았고“교통량 증가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는 정성적 조 건만 제시하였다. 또한 경찰청의 ʻ국내 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2011)ʼ에서도 국내 도로・교통 여건에 대한 적정성 검토없이 미국 MUTCD(2009)의 기준 1(최소 차량 교통량)과 동일한 기준을 준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 기준도 이론적 배경 부족 및 주관적 판단에 결정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문제점 지적 및 개정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관련 기준에서 제시한 최소 교통 신 호등 설치 기준(차로수, 주도로/부도로 교통량)에 대해 시뮬레이션(VISSIM, Synchro) 및 현 운영중인 교 차로를 대상으로 적정성 분석 및 최소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차로 수 및 주도로/부도로 교통량 조건이 외에 다른 도로・교통조건(교차로 형태(3지교차로, 4지교차로), 교통량 분포 비율, 좌회전 교통량 비율)을 고려하여 교차로 운영효과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통 신호등 설치 기준에 대한 재 정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국내에서 제시한 교통 신호등 설치 기준 값은 과다하게 설정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조기에 교통 신호등 설치됨으로써 불필요한 지체 발생 혹은 불필요한 유지관리 비용 발생 등 비경제적으로 교차로가 운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 기준에서 반영하지 못한 교차로 형태(3지교차로와 4지교차로), 방향별 교통량 분포 비율, 좌회전 교통량 비율도 교 차로 운영 방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0.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체분리막의 기체의 투과거동은 대부분 실험적으로 계획되고 실험이나 이론 만으로 검증을 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가, 최근에 들어서 분자동력학적인 모 사방법(Molecular Dyanmic Simulation)을 이용하여 고분자의 거동, 기체분자의 거동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자수준에서 모사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노기체의 확산계수와 비교를 통하여 확산거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시도하 였으며, 기체확산계수가 관능기 력들을 기울이고 있으며, 실험적인 결과들과 모사결과를 비교하여 고분자의 설계나 기체분자의 거동의 이해를 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분리막 으로서 사용이 되는 폴리이미드나 폴리벤즈옥사졸같은 탄화수소계 고분자분리 막의 기체 분자의 투과거동을 모사하고자 하였다. PEG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공중합체에서 폴리에틸렌 부분과 같은 관능기그룹의 밀도로 확산계수를 계산하여 그룹이 많은 부분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체투과 테스트의 실험데이터와 거의 일치하였다.
        31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박지 해상교통 환경을 재현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박지의 적정 면적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울산항 E정박지에 적용하여 울산항 정박지 면적의 적정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박지 사용현황에 따른 시간별 정박지 점유율과 필요 정박지 면적 계산식을 제시하였다. 시간별 정박지 점유율 분석을 위해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이를 울산항 E 정박지에 적용하여 시간별 정박지 점유율과 필요 정박지 면적을 도출하고 현재 울산항 E정박지 면적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E1 정박지의 필요 정박지 면적은 현재 정박지 면적의 1.41배, E2와 E3 정박지는 0.90배, 0.96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박지 면적의 적정성 분석 결과를 정박지 설계기준에 반영할 경우 정박지를 이용하는 선박의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12.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서해대교, 인천대교와 같은 장대교량은 대부분 빈번하게 태풍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해안에 위치하였으며, 교량의 길이가 긴 만큼 풍하중에 의한 영향이 다른 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내풍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확한 설계풍속을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기후학적 특성 인자로 중심기압깊이, 태풍이동속도, 태풍이동방향, 최단접근거리를 결정하였으며, 태풍의 기후학적 특성들의 확률 분포를 추정하고, 바람장 모형과 중심기압상승 모형을 적용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체적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의 재현기간 풍속이 크게 나오며 고위도로 갈수록 작아지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특징이 나타난 가장 큰 원인은 고위도 분석지점 표본 태풍의 중심기압이 저위도 분석지점 표본 태풍의 중심기압보다 높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리나라에 해상에서 육지로 이동하면서 쇠퇴기를 겪어 점차 약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로교 설계기준 100년 재현기간 풍속(10분 평균, 지상 10m, 지표조도 II)과 비교한 결과, 태풍시뮬레이션의 결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을 볼 때 도로교 설계기준의 기본 풍속이 높게 산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기상자료 분석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기본풍속 조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14.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QUEENSOD method and the gravity model in estimating Origin-Destination (O/D) tables for a large-sized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network. METHODS : In this study, an expressway network was simulated using the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VISSIM. The gravity model and QUEENSOD method were used to estimate the O/D pairs between internal and between external zones. RESULTS: After obtaining estimations of the O/D table by using both the gravity model and the QUEENSOD method, the value of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for O/D pairs between internal zones were compared. For the gravity model and the QUEENSOD method, the RMSE obtained were 386.0 and 241.2, respectively. The O/D tables estimated using both methods were then entered into the VISSIM networks and calibrated with measured travel time. The resulting estimated travel times were then compared. For the gravity model and the QUEENSOD method, the estimated travel times showed 1.16% and 0.45% deviation from the surveyed travel time, respectively. CONCLUSIONS : In building a large-sized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network, an O/D matrix is essential in order to produce reliable analysis results. When link counts from diverse ITS facilities are available, the QUEENSOD method outperforms the gravity model.
        4,200원
        31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Live-Virtual-Constructive (L-V-C) integrate training system has proposed as a solution for the problems such as limitation of training areas, increase of mission complexity, rise in oil prices. In order to integrate each training system into the one effectively, we should solve the issue about stress of pilots by the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Live and Virtual simulation which could be occurred when each system is connected together. Although it was already examined in previous study that the psychological effects on pilots was occurred by the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simulated flights, the study did not include what the causal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effects a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pilots’ psychological effects. This study analyzed the biochemical stress hormone, cortisol to measure the pilots’ psychological effects and cortisol was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assay (EIA). A total of 40 pilo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ilots’ cortisol response among live simulation, virtual simulation, and the virtual simulation applying three environmental factors (gravity force, noise, and equipmen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tisol level when applied the gravity force and equipment factors to the virtual simula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the noise facto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future research on how to make L-V system by providing minimum linkage errors and design the virtual simulator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s in the pilots’ psychological effects.
        4,000원
        31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산 분화시 분출량과 분연주 높이는 기상 자료와 함께 화산재 확산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한 차분 명시적 방법과 오일러리안 기법 기반의 화산재 확산 모형인 FALL3D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 할 수 있는 화산재 확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FALL3D 시뮬레이션을 통한 화산재 확산 예측을 위해서는 풍향과 풍속 등의 기상 수치 자료가 필요하며 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한국 기상청의 UM(Unified Model) 자료와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의 자료를 원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시 기상 자료의 자료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기상 모형 시뮬레이션이 절차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화산재 확산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분석 방법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를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화산재 확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화산재 확산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해석 처리, 해석 결과의 가시화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화산재해의 분석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31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 상선과 달리 해양플랜트 시설은 발주자가 직접 고용한 인원과 조선소에서 파견된 시운전 종사자들은 2교대로 해양플랜트공사가 종료될 때까지 혼재되어 승선한다. 그러므로 많은 인원들이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 별도의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명 안전의 관점에서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 거주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사고 중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는 화재 사고를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규정에 근거한 화재시뮬레이션 전산 모형을 제작하여 종사자들에 대한 피난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해양플랜트 전용생활부선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지속적으로 훈련을 받은 선원들과는 달리 다양한 직종, 인종, 문화를 갖고 있는 인력들의 비정형화된 피난 행위로 인하여 위험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생존가능시간인 유효 피난시간을 증가시키고, 실제 피난에 소요되는 필요 피난시간을 감소시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개선 및 안전설비 설치에 대해 제안하였다.
        4,000원
        31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p-to-date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faced a market-driven environment of pull production order.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in operating manufacturing resources according to the type, quantity, and delivery time of manufactured products, because the process situation in pull production is changed by customer orders. And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rom the stage of preparing for production such as process design and the placement and utilization of manufacturing resources. However, the feasibility of production plans is limited because most of small manufacturing businesses make production/supply plan of the parts and products assuming that equipment abilities in scheduling is sufficient without managing process standard information systemically. In this study, a discrete event simulation system based on BOM (bill of material), that is F-OPIS (online productivity innovation system), is introduced and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the system leading to improving productivities is presented. F-OPIS deals with a decision-problem on production management and it is specialized for small-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The target company of this case study is a typical small-and-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y in Korea, that produces various machined parts. The target company adopts make-to-stock production management to prevent tardy delivery because of fluctuations in dem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pply an efficient inventory control solution for improving productivities. In this paper, based on the constraints of working capacity of manufacturing resources, the bottleneck process is analyzed as production conditions are changed. Consequently, an improvement plan is proposed, that eventually enhances overall utilization rates of resources in the bottleneck process and reduces overall production lead-time and inventory level.
        4,000원
        31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S nations are recognized as an emerging market recently because there are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a lot of investment demand. Furthermore, they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Europe and Asia and that make them have more strategic importance as a logistics hub. So many global companies including domestic ones began to advance into the on-site. and this tendency will be strong. On the contrary, a research in logistics environment of CIS has rarely been done. This paper provides a way of systematic approach to design logistics network in CIS with real business case and shows the analyzed result of optimization simulation that includes factors having a huge influence on the overall logistics cost.
        4,800원
        32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by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metacogni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one group pre-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81 students enrolling in the simulation-based practice. Simulation learning included team based pre-discussion, taking a simulation and being debriefed during 4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The student who had higher metacognition score than other group had score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in pre and post progra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cogni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e metacognition in composing the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in nursing.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