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2

        361.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 보았다. 탈취온도가 상승할수록 투입되는 탈납유 대비 탈취유의 냉각시험 결과는 현저히 하락하였으며, 260℃ 이상에서는 그 정도가 극심하여 이는 포화도 증가 및 SU_2, S_2U, S_3형 triglycerides 함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한편, 발연점은 탈취온도 240℃에서 가장 높은 242℃를 나타내었고, 탈취온도 245∼270℃의 범위에서는 235∼238℃로 하락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료유의 산값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 조성 등과 함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서도 고온탈취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4,000원
        36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조건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발육과 벼멸구 및 애멸구의 알에 대한 성충의 포식량을 조사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난부화율은 , , 및 에서 각각 약 96%, 88%, 및 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난기간은 , , 및 에서 각각 약 11.0일 10.0일 6.7일 및 5.6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졌다. 약충기간은 , , 및 에서 각각 약 13.7일 12.7일, 10.2일 및 9.1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충기간이 짧았으며, 영기별 발육기간은 4령충에서 가장 짧았고, 1령충에서 가장 길었으나, 식이곤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 , 및 에서 각각 약 22-23.5일, 19-20일, 16-17일 및 11-12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짧았으나, 식이곤충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벼멸구 및 애멸구 알에 대한 암컷과 수컷성충의 포식량은 , , 및 에서 각각 약 56-61개 및 26-57개, 56-60개 및 47-49개, 43-46개 및 40-42개 그리고 28-30개 및 26-27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식량이 적었으며, 성별간에는 대체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식이곤충간에는 애멸구보다 벼멸구의 알을 약간 많이 포식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마리당 일간 포식량은 2.0-3.0개 였다.
        4,000원
        36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상추의 품질 평가 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청치마 상추를 공시하여 수경재배하고 재배적 조건에 따른 상추의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비액온도가 25℃로 항온인 경우 일정할 경우 주상 생체중이 59.7g으로 수양은 가장 높았으나 외관품질점수는 5.2로 가장 낮았고 온도가 15℃에서는 수량이 가장 났았으나 외관평유점수은 8.2로 가장 좋았다. 한편 수경액의 온도가 주야간 다를 경우 본 실험에서는 주야간이 각각 20/20℃일 경우와 25/20℃인 경우가 제일 높았고 그보다 고온이거나 저온일 경우 액양이 낮았는데 잎상추의 외관 품질은 주/야 20/15℃(평균 17.5℃)일 경우 제일 우수했고, 잎은 온도가 높을수록 진타익형으로 도장하였고, 외관품질이 현저히 떨어졌다. 하파재배시 60% 차광인 경우 생육이 10% 감소하였고 80% 차광에서는 25% 정도 수량이 감소하였으며 차광정도가 커질수록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고 초장, 근장은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364.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violet spectrophotometric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the rate constants for 1,3-dipolar cycloaddition of 4-substituted-3-phenyloxadiazole derivatives with dipolarophiles such as phenyl acetylene, propiolic acid methyl ester and dimethylacetylene dicarboxylate. From there, the rate constants for 1,3-dipolar cycloaddition were determined at 80, 100 and 120℃, and the reaction rate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these rate constants, the values of the thermodynamic activation parameters were obtained. Some thermodynamic activation parameters such as Eα, δH*, δS* and δG* from Arrhenius equation were also calculated for the electrophilic 1,3-dipolar cycloaddition of 3-phenyloxadiazole derivatives with dipolarophiles. In order to the proposal the mechanism and reactivity of 1,3-dipolar cycloaddition reaction, the effect of substituents having various kinds of electron withdrawing or releasing groups were examinated. Considering the effect of substituents, an electron withdrawing group attached at the 4-carbon position in 3-phenyloxadiazole derivatives decreases the reaction rate because of the lack of electron density in 3-phenyloxadiazole ring.
        4,000원
        366.
        1997.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냉온도에 따른 전기 저항 측정으로 Cu-17, 25Zn-15AI 및 Cu-17.25Zn-15AI-1Ag형상기억합금의 열처리에 의한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DSC 측정으로 고온 모상에서의 상전이 온도롸 종류를 구별하였고 XRD측정으로 구조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열처리에 의한 온도 변화의 원인을 연구하였17.25Zn-15AI 합금에서 고온 모상의 규칙-불규칙 전이온도인 T2, TL21은 각각 809K와 610K였다. CuZnAI의 경우 T2근방에서의 급냉은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를 높이지만 TL21 근방에서의 급냉은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를 낮춘다. 실험결과 열처리에 따른 상전이온도 변화의 원인은 석출물의 형성이라기 보다는 급냉전의 모상의 구조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받는다.
        4,000원
        368.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기름의 탈취온도가 탈취유의 이화학적 항수, 지방산 조성 및 triglycer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탈취온도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40~270℃의 탈취온도에서 산값은 240℃ 처리군에서 0,07로 가장 낮았고, 250~270℃에서는 0.08~0.0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ovibond total color는 255℃에서 가장 낮은 24였으며, 과산화물값은 240~270℃ 전구간에서 0을 나타내었으나 235℃에서는 0.42로 과산화물이 완전 제거되지 않아 240℃이상의 탈취온도가 요망되었다. 한편, 탈취온도가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stearic acid 등의 포화지방산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탈납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arachidic acid함량이 급속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탈취온도에 따라 TG조성도 변화를 보여 250℃ 이상 처리군에서는 S3형 TG가 발견되는등 고온탈취는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370.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bacterial sanitary condition of fish and shellfish, we examined the normal flora in the 25 species of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and also proportional change of normal flora by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Isolated 334 were isolated in the normal fish and shellfish and predominant genera were Pseudomonas (25.2%), Staphylococcus (10%), Acinetobacter (7.2%), Vibrio (6.9%), Micrococcus (5.4%), Aeromonas (5.2%), and Enterobacter (5.2%). In accordance with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Pseudomonas grew on high ratio at 10℃ steadily, but Proteus had increased proportionally at 20℃ and 30℃. Additionally, Citrobacter, Moganella, and Pasteuralla had increasd, while Achromobacter, Acinetobacter, Yeast, and Micrococcus had decreased by period.
        4,000원
        371.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과제균한 배추즙에 김치에서 분리한 7주의 젖산균을 단독 접종하고 10℃, 20℃, 30℃ 및 40℃에서 배양하면서 각각의 증식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배양온도에서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을 구하였다. 30℃에서 배양할 때의 유도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은 168분,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s는 204분. Leu. paramesenteroides은 612분, Lac. bavaricus은 258분, Lac. homohiochii는 228 분, Lac. plantarum는 270 분 그리고 Lac. brevis는 264분이었고, 세대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및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36분, Lac. bavaricus는 33분, Lac. homohiochii는 39분, Lac. plantarum는 66분, Lac. brevis는 42분 그리고 Leu. paramesenteroidse는 162부이었다. 배양온도를 30℃에서 10℃로 낮출 때 모든 균주들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크게 연장되었는데, 이러한 연장은 Lac. plantarum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10℃, 20℃ 및 30℃에서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Lac. plantarum의 그것보다 더 짧았다. 그러나 40℃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완전히 전도되었다. 전반적으로 보아 배양온도가 낮아질수록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고, 배양온도가 높아질수록 Lac. plantarum 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다.
        4,000원
        37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 및 기주종류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난 및 유충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난과의 부화율은 온도에 관계없이 천연기주에서 100% 부화하였으나, 인공 사육용 갱지에서 약 65-87%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난기간은 , 및 에서 각각 약 4.4일, 3.9일 및 3.0일 이었으며, 기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충발육기간동안 유충무게는 와 의 경우 발육초기에는 고구마 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으나 중기이후에는 콩잎과 들깨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다. 하지만 의 경우 유충발육 12일까지 고구마잎에서 사육된 충이 다른 기주에서 사육된 충보다 무거웠는데, 이는 가 와 32에 비해 저온으로 유충의 발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유충의 사망률은 온도별로는 에서 가장 높았고, 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기주별 사망률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유충발육이 진행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항이었다. 유충기간은 에서 약 23.6-30.4일, 에서 18.6-22.3일 및 에서 약 14.5-18.0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충기간이 ?아졌으며, 기주별로는 콩잎에서 가장 짧았고 다음이 들깨잎 및 고구마잎 순 이었고, 인공사료에서 가장 길었다. 난과 유충의 발육임계온도는 각각 평균 약와 였다.
        4,000원
        37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망(Capsicum annuum L.) 플러그 육묘시 초장 조절을 위해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16조합 처리를 50일간 실시한 뒤 각각의 묘소질에 따른 정식후 생육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피망 플러그묘의 초장은 주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같은 일평균 온도에서는 -DIF에 의해 억제되고, +DIF에 의해 촉진되었다. 엽전개 속도는 DIF처리 효과보다는 일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야간온도에 비해 주간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면적과 줄기직경은 주야간온도가 16℃부터 24℃로 증가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묘시 온도처리에 따른 제 1번화의 착생 절위는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화뢰의 퇴화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망육묘시 DIF를 조절하여 육묘시 초장조절이 가능하며 -DIF 처리로 초장이 억제된 유묘일지라도 정식후 +DIF 조건에서 재배함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엽전개 속도(생육속도)와 제 1번 화의 화아 분화도 일평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적온 범위 내에서 일평균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아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4,200원
        374.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4년 1월에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거베라 재배 비닐하우스에서 최초로 아메리카입굴파리에 의한 피해가 확인된 이후 '95년 3월까지 1개 광역시와 8개 시, 군에서 발견되었다. 기주식물은 7과 22종이 조사되었으며 거베라, 국화, 토모토에서 피해가 많았다. 각 충태별 형태는 난의 길이/폭이 0.27mm/0.25mm의 투명한 백색이며 유충은 황색으로 잎의 표피만 남기고 갱도를 만들면서 엽육만을 식해하는데 종령유충은 2.03mm/0.80mm이며 번데기는 1.75mm/0.74mm로 밝은 갈색이고 잎위나 토양위에서 용화된다. 성충은 길이가 1.78mm, 날개편길이가 3.43mm이다. 성충의 흡즙 구멍수와 산란수와의 비율은 토마토에서 26.1%, 거베라에서 13.3%이었으며, 온도에 따른 유충의 섭식 길이는 거베라, 토마토 모두 2에서 가장 많았고, 에서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각 충태별 기간은 거베라와 토마토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의 경우 거베라에서 난, 유충, 번데기 기간은 각각 2.5일, 3.0이, 10.8일로 총기간은 16.3일 이었으며 토마토에서는 2.2일, 3.0일, 7.1일로 총 12.3일이었다. 발육영점과 유료적산온도는 기주식물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거베라에서는 난이 33.9DD, 유충 38.6DD, 번데기 10.7 152.3DD이었고 난부터 번데기까지는 10.8 222.8DD이었다. 토마토에서는 난이 13.6 20.2DD, 유충 43.7DD, 번데기 114.3DD이었고 난부터 번데기까지는 178.2DD이었다.
        4,000원
        375.
        1996.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산코팅된 것과 되지 않은 OXI-PAN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무질서 배향의 OXI-PAN/페놀수지 복합재료를 불활성분위기의 여러 열처리온도에서 탄화하였을 때, 섬유표면에 인화합물의 존재 유.무가 복합재료의 물리적특성 및 미세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두 종류 복합재료의 물리적특성 변화를 탄화온도 영향에 대한 섬유와 매트릭스 및 그 계면에서의 미세구조 거동변화와 기공형성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열처리시 온도상승에 따라 섬유와 매트릭스 계면에서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그 구분이 점차 사라지면서 국부적으로 치밀하고 균일한 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탄화 조건에서도 인산코팅은 OXI-PAN 섬유의 직경의 감소를 억제하고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므로 복합재료의 부피수축률을 줄이고 탄화수율을 증가시키는데도 어느정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4,000원
        376.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 및 온도가 꼬마배나무이의 겨울형성충(월동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원지역(북위 16') 의 꼬마배나무이 개체군은 광길이가 14시간일 때 부터 겨울형성충이 출현하였으며 광길이가 13시간일 때 9 93% 이상의 겨울형성충이 발생하였다. 또한 , 의 두 온도조건에서 겨울형성충 발생에 차이가 없었다. 꼬마배나무이의 각 발육단계별로 단일조건에 처리한 결과 1,2령기에 처리된 것은 각각 67.2, 54.4%가 겨 울형으로 되었고, 3령기는 9.3% 였으며 4령기부터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꼬마배나무이의 평균산란수는 겨울형성충이 486.4개, 여름형성충이 387.2개 이었으며, 산란기간은 각각 34일과 24일 이었다.
        3,000원
        377.
        1996.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음파분무를 이용한 MOCVD법으로 강유전 BaTiO3 박막을 제조하였다. 초음파 분무 MOCVD법은 비교적 저온에서도 후열처리없이 결정화된 박막의 제조가 가능하다. 증착한 박막은 기판온도가 증가할수록 (110) 우선 배향성을 가졌으며, 기판온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결정상을 나타내었다. 기판온도가 550˚C인 경우에 증착한 박막은 결정화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았으며, 결정립의 크기도 매우 작아 상온에서 입방정상의 특성을 보였다. 600˚C에서 증착한 박막은 결정화가 진행되어 입자의 크기는 성장하였으나 의사 입방정상을유지하고 있었다. 반만 650˚C에서 증착한 박막은 결정화뿐만 아니라 주상으로 성장하여 수직 방향으로는 박막 두께의 크기를 가져 CV 특성에서 이력곡선을 보였으며, 정전용량의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에서도 상전이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378.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of cold therapy is preceding rarely nowadays.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measure the skin temperature of the right foot malleolus when the leg change the situation precisely speaking it was cold, elevation, cold plus elevation. Twenty young healthy volunteers(M:10, F:10)with no history of cardiopulmonary disease, peripheral artery disease were tested. This study were analyzed by one-way-repeated ANOVA. In the first we examined the within changes of the skin temperature between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for each modality. The skin temperature at all of modalities had fallen. Therefore we could know the fact that elevation plus cold modality had fallen skin temperature significantly more than elevation or col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e conclude that elevation and cold therapy could be better effective on edema, contusion and sprain than cold or elevation therapy independently.
        4,000원
        379.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25 species (fish 8 species, shellfish 7 species, crustacean 3 species, molusc 4 species and echinodermata) for the distribution of sanitary indicator organisms (total viable counts, coliforms, staphylococci, vibrios, and enterococci) and diatributional change of indicator organism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The logarithmic mean of total viable counts for total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25 species was 5.41±0.26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es, crustacean 6.76±0.67 CFU/g, shellfish 5.67±0.56 CFU/g, echinodermata 5.47±0.50 CFU/g, fish 5.021±0.38 CFU/g, and mollusc 5.03±0.65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enterococci was 2.36±0.37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crustacean 3.44±0.12 CFU/g, shellfish 3.87±0.45 CFU/g, echinodermata 3.38±0.0 CFU/g, fish 2.16±0.41 CFU/g and mollusc 0.01±0.0 CFUIg. The logarithmic mean of vibrios was 1.60±0.59 CFUI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crustacean 4.23±0.11 CFU/g, shellfish 3.58±0.90 CFUIg, echinodermata 1.64±0.34 CFU/g, fish 1.79±0.67 CFU/g and mollusc 1.07±0.61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staphylococci was 1.60±0.59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shellfish 0.01±0.00 CFU/g, echinodermata 3.51±0.60 CFU/g, fish 1.68±0.64 CFU/g, crustacean 0.34±0.33 and mollusc 2.90±0.11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coliforma was 2.2±0.32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echinodermata 3.58±0.89 CFU/g was highest, shellfish 3.25±0.30 CFU/g, crustacean 3.23±0.49 CFU/g, fish 2.18±0.63 CFU/g, peeled shellfish 1.80±0.51 CFU/ g and mollusc 1.55±0.95 CFU/g. As the results of research of the change of the contaminated indicator microflora in working with storage period at 10℃, 20℃ and 30℃, total viable counts was increased without storage temperature and enterococci were decreased slowly at 10℃, but increased at 20 and 30℃ Vibrios were decreased slowly at 10℃, decreased at 20℃ and 30℃ in 2 days after increased rapidly. Staphylococci were increased promptly without storage temperature in 2 days, then the total viable counts were maintained. Coliforms were increased at 10℃ by 7 days, then decreased or maintained after 14 days, changed at 20℃ in accordance with fish species in 2 days, then returned to the initial total viable count, and decreased rapidly at 30℃ on 2 days. By the way,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4,600원
        38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a carrier as rhizobium inoculant for alfalfa. The Rhizobium inoculants were produced in main materials(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and submaterial(Ca, and sucrose), and than the changes of Rhizobium populatio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