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extbook is the materials of teaching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is sorted into the unit by the topics. If such units combine with some factors that are involved with the topic organizationally well, the text may be helpful in its own way. Thu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xt with the regard to both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and organization of such that co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xtbook could promote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to express their target language (Korean language) in the real language context or not.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should follow up on these progresses. First of all, (1)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some of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the textbook in chapter 2, (2) chapter 3 suggests other studies which have been done previously (3) chapter 4 presents the framework in the design of units, (4) chapter 5 analyzes the textbook with the framework suggested above. Finally, in chapter 6, this study sets up some components of the units making topics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organization.
        6,600원
        28.
        2022.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교재의 듣기 영역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기준을 참고로 외적ž내적 영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외모 및 직업에서 일부 성 고정관념이 드러났으나, 독백 텍스 트의 유형별 성별 빈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내적 영 역의 경우 독백 텍스트의 성별 발화 주제는 남성 화자의 발화 비중이 높아 비교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담화 유형의 불균형성에서는 전통적인 남녀 의 심리적 특질이 드러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는 젠더가 추후 출판될 한국어능력시험 교재가 성 평등한 방향으로 구성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9.
        2020.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30.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독도교육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도교육 내용체계가 독도 학습에 중요한 교구인 경상북도교육청 『독도』와 동북아역사재단 『독도바로알기』 교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독도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적절한 수준에 맞춰 흥미롭고 심도있는 독도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미래지향적인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독도교육 내용체계의 10가지 분류 항목은 위치, 영역, 지형, 기후, 생태, 자원, 지명의 변천, 독도수호자료, 일본의 영유권 주장과 대응, 영토주권수호노력이다. 그러나 경상북도 교육청과 동북아역사재단의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분류 항목을 살펴보면, 10개의 분류 항목에 대한 내용을 모두 기술하고 있지 않다. 또한 연속적인 독도교육에서 저학년과 고학년에서 각 각 다루어져야 할 분류 항목의 분량과 난이도가 적절하게 구분되거나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초·중·고등학교로 구분하여 제시한 내용요소를 무 시하고 중·고등학교에서 다루어야할 내용요소가 초등학교에서 기술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교육부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독도교육 내용체계를 통해 일선 학교에서 독도교육을 강화하고, 그에 따른 세부 시행계획들을 비교적 잘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학생활동 중심 교육이 강화됨에 따라 체험·활동 중심의 다양한 학습 기회가 보장될 수 있도록 독도교육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교재의 내용은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기술하고 이와 함께 독도의 자연, 사료, 동·식물 등의 스티커 붙이기, 독도십 자말풀기, 독도보드게임, 독도책갈피 만들기 등 독도관련 체험·활동을 돕는 학생 참여 중심의 독도교재 개발도 요구된다.
        31.
        2016.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국인 노동자의 급증은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중요성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본고는 외국인 노동자에 집중하여 한국어 어휘를 범주화하고 기존의 어휘 교재를 분 석함으로써 특수 목적 학습자를 위한 기본 어휘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고에서 선정한 기본 어휘 목록에 이어 외국인 노 동자나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 준을 제시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3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재분석의 틀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음악 전문교과 교재인 고등학교 음악 인정교과서 15종을 분석함으로써 음악전문교과 인정교과서 개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편집 및 표현·표기, 교재 활용 가능성의 6개 영역을 19개의 요소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충실성, 내용선정의 적정성과 타당성, 내용의 중립성, 단원구성의 체계성과 창의성 등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우수했던 반면, 교수·학습방법의 다양성, 목표와 평가의 일치성, 평가의 다양성, 교재의 가독성면에서는 미흡한 교재가 많았으며, 내용선정의 참신성과 편집의 체계성은 보통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교재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11개의 교재가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나 수업활용 교재로 적절하였으나, 4개의 교재는 수업에 사용하기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음악전문교과 교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33.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n attempt to connect English material development and grammar teaching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looks at existential there constru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fulfill the pedagogical needs of the ‘There-constructions’, theoretical framework established to the present is examined and the frequency of authentic use is investigated on the ground of several corpora including non-native learner corpus. In addition, a writing task was given to Korean learners of English who were asked to describe pictures eliciting existential there related sentences and, as a result, the learners’ errors have been identifie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lso, analyzed in light of a material evaluation checklist as a textbook, one of the main resources in EFL context, could reveal to what extent the learners are exposed to the corresponding grammar items. The study, eventually, draw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y presenting a communicative grammar teaching model as well as a material development guide to ‘There-constructions’ teaching.
        3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 현장에서는 디자인 고유 영역의 변화와 확장을 거치면서 디자인 능력과 구현에 있어서 보다 다양하고 심도 있는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급격한 디자인 교육의 양적 팽창은 질적 저하를 초래한 면이 있어, 디자인 산업 변화에 대응한 다양화, 특성화, 차별화 된 교육과 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산업계의 요구와 현장 내용을 교과목으로 반영하여 학교와 현장의 갭을 극복, 디자인 문제 파악과 프로세스 관리능력을 갖춘 디자이너의 배출을 위해 현장의 요구에 따른 교과과정 및 교과목 연구가 필요하다.
        35.
        2011.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가 증가하면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한국어 교재 연구는 1990년대 후반 학습자가 증가하면서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꾸준하게 연구가 이루어져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학습자가 다양해지면서 한국어 교재 연구 역시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렇게 연구물들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교재 연구들이 어떠한 흐름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고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그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학문적인 성숙도에 관해서 논의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어 교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앞으로의 교재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교재 연구의 동향을 시기별, 유형별, 주제별로 분석하고 향후 이루어질 연구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방향으로 한국어 교재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36.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음위주의 평가, 수행평가 등 음악교과에서의 다양한 평가방법이 적용, 시도되고 있는 현 상황에 우리나라 중등 교과서를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교육에서의 음악평가의 중점방향을 살펴보고, 또한, 미국 교과서의 분석을 통하여 평가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음악적 행동과 응답양식을 파악해 보려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전9종)와 지도서를 평가부분에 초점을 맞추어서 살펴봄으로써 학교교육에서 음악 평가의 중점 방향을 다루어 보고, 둘째, 미국에서 쓰이는 교재인 Music Connection, Spotlight on Music, Making Music등에 제시된 다양한 평가 방법 및 도구를 분석 및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교재들의 비교를 통하여 바람직한 평가의 방향에 관하여 언급해 보려 한다.
        37.
        2009.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 나타난 문학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재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 중 문학 텍스트는 극히 일부이며, 장르가 다양하지 않고, 대부분 중급과 고급에 치우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 활동의 유형에 주로 어휘 학습과 읽기, 말하기에 한정되어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인의 정서과 주제의식, 문화적 요소는 물론 언어적·기능적 사용 맥락을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해서, 수업의 목표와 학습자 유형, 과제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 활동을 조직해야 한다.
        38.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먼저 출판된 네 종류의 한국어 교재 집필원리를 살펴봄으로써 그 교재들이 의사소통적인 방향으로 집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의 실제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집필원리에 맞는 교재가 설계되었는 지 살펴본 결과 실제 교재는 집필원리에서 추구하는 방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집필원리에 맞도록 다음과 같은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제시되는 본문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실생활이나 사회문화적 맥락과 맞닿아 있어야 한다. 본 단원에서 문법 학습이 꼭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할 것이고, 또한 구조 중심의 배열 방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덧붙여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교재 내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고 교재는 실제적 자료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실에서 진정한 의사소통적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재에 대한 개선작업이 계속되어야 하겠다.
        39.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영어교육의 주요 관심사 중의 하나는 과제(task)를 활용한 교실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다. 1970년대 이후 의사소통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이 영어교육의 흐름을 주도하게 되면서 의미에 중점을 둔 교수 방법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있어 왔다. 과제 중심 접근법(task-based approach)은 제2언어 습득 연구와 실제 영어교수 분야 둘 다에서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 온 영역으로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고,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제2언어 습득 연구 측면에서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학습자들이 의미 협상을 위해 상호작용하는 과정이 핵심적인 연구 관심사로서,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여 과제의 여러 요소들이 학습자들의 수행과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탐구하였다. 영어교육의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과제의 유형과 요소들을 어떻게 조정하고, 과제를 어떤 순서로 제시하며, 교수-학습에 어떻게 활용할 지 연구하였다(Ellis, 2000). 의사소통적 접근법에 바탕을 두고 있는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도 교수 방법에 있어 과제 중심의 활동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고, 따라서 초등, 중등, 고등학교 교과서에 다양한 과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초등영어 교과서의 경우는 학생들이 영어를 처음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학생들의 영어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과제들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포함되는 과제의 종류와 수가 늘어난다. 관심은 많고 활용도 많이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과제 증심 교수법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제의 여러 변인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했을 때 학습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실험 연구가 부족하고, 교재에 포함된 여러 과제들에 대한 유형 분류, 수행의 용이성 및 학습 효과 분석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교과서에 포함된 여러 과제들을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고, 학습 효과 측면에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과제를 정의하고 과제 중심 교수법에 대해 알아 본 후, 과제의 유형 분류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초등영어 교과서에 포함된 과제를 분석할 것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