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3

        21.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분입자의 수산기와 음이온성 올리고당의 카르복실기 사이의 에스테르(ester) 결합의 형성에 대한 반응촉매로서 마이크로웨이브 방전 저온플라즈마(microwave-discharged cold plasma, MWCP)의 가능성이 최근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MWCP 처리에 의한 옥수수전분 입자들의 수산기와 음이온성 올릭고머의 카르복시기의 에스테르 유도체들 형성에 대한 MWCP의 친환경 반응촉매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옥수수전분과 음이온성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MWCP를 처리하고 이들의 용해도, 팽윤력 및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옥수수전분은 pH 5.5으로 조정된 음이온성 검(λ-carrageenan, LC; Low-methoxy Pectin, LP; Sodium Alginate, SA; 효소 처리를 한 pectin, ELP) 가수분해물(단량체, 이량체 및 올리고머 혼합물)을 혼합하여 상온 (무처리) 및 80°C (선호화)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될 때까지 50°C에서 건조하여 전분-음이온성 반응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반응혼합물들은 900 W 전력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켜 N2 환경에서 형성된 MWCP 하에서 20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된 반응혼합물은 용해도(총당 및 전분), 팽윤력, 호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총당-용해도는 전분-음이온성 반응혼합물들 및 MWCP 처리군들 모두 옥수수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MWCP 처리군들 중 선호화된 혼합물의 처리군들의 용해도가 각각의 무처리 처리군들에 비해 높은 총당-용해도를 나타내었다. 반응혼합물들의 전분-용해도는 총당-용해도와 미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MWCP 처리군들은 총당-용해도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전분-용해도를 나타내었다. 팽윤력은 무처리 반응혼합물이 무처리 MWCP 처리군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선호화 반응혼합물은 선호화 MWCP 처리군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호화특성의 경우 옥수수전분에 비해 MWCP 처리의 유무와 관계없이 전분-음이온성 가수분해물 혼합물들은 높은 호화온도를 나타냈다. 무처리 반응혼합물들은 이들 각각의 무처리 MWCP 처리군들과 호화온도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선호화 반응혼합물들은 이들 각각의 선호화 MWCP 처리군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호화온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MWCP는 옥수수전분과 음이온성 검 가수분해물들 사이의 에스테르 결합 형성을 촉매하는 것으로 기대되며, 전분-음이온성 검 가수분해물들의 선호화 처리가 MWCP의 반응촉매로서의 역할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2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분입자의 수산기와 구연산의 카르복실기 사이의 에스테르(ester) 결합의 형성에 대한 반응촉매로서 마이크로웨이브 방전 저온플라즈마(microwave-discharged cold plasma, MWCP)의 가능성이 최근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MWCP 처리에 의한 옥수수전분 입자들의 카르복실산, 인산 및 황산 에스테르 유도체들의 형성과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들의 조사를 통해 MWCP의 친환경 반응촉매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옥수수전분은 pH 4-6으로 조정된 구연산용액, NaH2PO4-Na2HPO4 혼합용액, NaHSO4-Na2SO4 혼합용액들 각각과 혼합한 후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될 때까지 50°C에서 건조하여 반응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반응혼합물들은 900 W 전력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켜 N2 환경에서 형성된 MWCP 하에서 20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된 반응혼합물은 50% 에탄올 수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옥수수전분과 반응하지 않은 반응물질들을 제거한 후 용해도, 팽윤력, 호화특성 및 노화도를 분석하였다. 용해도에 대한 MWCP처리의 영향은 전분-구연산 혼합물의 경우 pH 4에서 증가하였고, pH 6에서 감소하였으며, 전분-인산염 혼합물의 경우 pH 5에서 증가하였고, pH 6에서 감소하였다. 그러나 전분-황산염 혼합물의 용해도는 MWCP 처리에 대한 유의적 영향을 나타나지 않았다. 팽윤력은 전분-구연산 혼합물의 경우 pH 4와 pH 5에서 MWCP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전분-인산염 및 전분-황산염 혼합물들에서는 pH 6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호화특성에 대한 MWCP 처리의 영향이 처리군들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관찰되지 않았으나, pH 4와 5의 전분-인산염 혼합물들은 MWCP 처리에 의해 호화온도가 각각 증가 및 감소하였다. 노화도는 MWCP 처리를 통해 pH 4와 5의 전분-구연산 혼합물에서, pH 5와 6의 전분-인산염 혼합물에서, pH 4와 5의 전분-황산염 혼합물에서 감소하였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들에 기초할 때, MWCP 처리는 옥수수전분과 구연산, 인산염, 및 황산염 혼합물들의 물리적 및 열적 특성들에 대해 극적인 변화를 발생시키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전분과 반응물질들 사이의 에스테르 결합 형성에 대한 반응촉매로서의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전분과 반응물질 혼합물의 pH가 반응촉매로서의 MWCP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2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strodia elata Blume often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headaches, convulsions, hypertens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 main active constituents are gastrodin, 4-hydroxybenzyl alcohol, vanillyl alcohol, 4-hydroxybenzylaldehyde and parishin A, B, C and E. Because Gastrodia elata has also unacceptable off-odor (swine barnyard-like) for food, there is a need to reduce it as well as allow for greater utilization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s. In this study, a major off-odor producing substance of Gastrodia elata was fractiona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substance was identified as p-cresol(4-methyl phenol) by GC-MS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retention time with that of an authentic compound in GC. The content of p-cresol in fermented Gastrodia elata was decreased. A fermented sample of Latobacillus sakei for 2 days was reduced to 54.7%, when compared with a unfermented sample. The five parishin derivatives in Gastrodia elata were identified by HPLC-MS analyses, and a comparison of HPLC retention times with those of authentic compounds. When compared with parishin derivatives of an unfermented Gastrodia elata, those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by L. sakei, increased to 18.3% for 2 days. Increases of about 14.0~38.4%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57.4~77.3% total flavonoids were found in fermented extracts, by 3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They were compared with 97.1±2.9 μg/g and 40.9±2.0 μg/g in the unfermented control, respectively. The extracts of Gastrodia elata Blume that wer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had highe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reducing power than the unfermented control.
        4,000원
        24.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nazines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nitrosoaniline 의 중간단계를 거친 후 여러 극성용매에서 합성을 시도하 였고 BSA/DMF 시스템에서 고수율의 phenazined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25.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자 주게와 전자 받게 구조를 갖는 퀴녹살린 유도체 (TPAQ)를 순차적인 Heck 커플링 반응과 산 촉매 하 탈수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전자 주게 물질로는 triphenylamine 그룹이 사용되었으며, 3,3‘-diaminobenzidine을 활용하여 중앙에 위치한 전자 받게인 퀴녹살린 그룹을 중심으로 양쪽에 전자 주게 물질들이 위치한 독특한 덤벨 형태의 분자 구조를 도입하였다. UV-visible 분광법 및 순환 전압 전류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TPAQ의 광학 및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 였다. TPAQ의 최대 흡수 파장은 용액과 필름에서 각각 410 nm 및 390 nm를 나타내었으며, 순환 전합 전류법에 의한 HOMO 및 LUMO 에너지 준위는 각각 - 5.03 eV 와 - 3.24 eV를 나타내었다. 또한 TPAQ는 다양한 용매에 대하여 우수 한 용매 의존 발색 효과가 구현되었는데, 이는 효율적인 분자 내 전하 전달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큰 극성을 지니는 여기상 태의 분자 에너지가 용매의 극성에 따라 변화하는 전자 주게 및 전자 받게 구조를 함유한 유기 공액 물질의 고유한 특성에 서 기인한다.
        4,000원
        2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로다민 6G는 형광의 대표적인 물질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염료이다. 때문에 이것은 훌륭한 광 물리적 성질 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다양한 로다민 6G 기반의 금속이온에 대한 형광성 탐지를 목적을 두고 있다. 새로운 종류의 페 노시아진을 포함하는 로다민 6G는 다섯 과정으로 합성했다. 형광분석과 비색적 측정으로 로다민 6G 스피로 고리 구조의 고리열림에 의해 다양한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로다민 6G 에틸렌디아민 페노시아진과 로다민 6G 1,3디 아미노프로페인 페노시아진은 1H-NMR, GC-Mass 그리고 FAB-Mass를 사용해 특징을 보았다. 이들 탐지물의 양이온 감지 메카니즘은 스피로고리와 고리열림 형태 사이의 구조 변화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새로운 로다민 6G 중간체를 포함하는 페노시아진 이중체널은 Sn2+와 Al3+에 대해 감지한다.
        4,000원
        2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기능성 소득 작물로서의 가치 향상과 재배기술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을 울금의 curcumin 유도체 분리 및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지표물질에 대한 정량과 정성분석을 하였다. 가을 울금의 근경을 추출하고 column chromatography을 통하여 5종의 물질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 물은 1H-NMR과 13C-NMR 분석을 행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HPLC로 정량분석한 결과 주요 화합물은 HPLC에서 화합물 1(curcumin): 13.8분, 화합물 2(demethoxycurcumin): 13.1분, 화합 물 3(bisdemethoxycurcumin): 12.6분, 화합물 4(1-hydroxy-1,7-bis(4-hydroxy-3-methoxypheny1) -6-heptene-3,5 -dione): 8.7분, 화합물 5(dihydrocurcumin): 12.1분에서 각각 나타났다.
        4,000원
        29.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ysene 및 Pyrene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열적 안정성은 phenanthrene기를 도입한 BC6이 mp: 406oC 이었다. 용액상태에서 Host-Dopant 시스템으로 각각의 분광특성을 측정하여 NP5-BC1, NP5-BC5 system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들의 밴드갭은 3.04, 2.66, 2.67eV 이었다.
        4,300원
        30.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hraquinone 구조의 1,5- 위치와 1,8- 위치에 aromatic amino기의 변화에 따른 최대흡수파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5-dichloroanthraquinone, 1,8-dichloroanthraquinone에 각각 aniline, 2-aminobenzothiazole, 1-aminonaphthalene을 도입한 화합물 a1, b1, a2, b2, a3, b3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aromatic diaminoanthraquinone 화합물의 분광특성 뿐만 아니라 용해도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최대흡수파장을 비교하면 a1, b1에 비해 a2, b2는 파장의 변화가 없었고, a3, b3은 10 nm 이하의 장파장 이동을 보인다. 이것으로 amino기의 변화에 따른 최대흡수파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000원
        3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nnamaldehyde is known to have the antitumor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In this study, we showed a potent and irreversible cytotoxic activity of the Cinnamaldehyde derivative 2'-benzoyloxycinnamaldehyde (BCA) in human Squamous oral cell carcinoma cell, YD-10B. BCA induced YD-10B cell apoptosis in a dose-responsive manner. BCA-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increases in a series of key components in the mitochondria-mediated apoptosis pathways, followed by caspase cleavage and PARP activation. We also observed that BCA induced autophagy through Akt/mTOR pathway in YD-10B cells. BCA treatment increased LC3B-II expression, and induced the formation of autophagosomes and autophagic vacuoles. These experimental findings suggest that BCA is a potent inhibitor of cell proliferation in YD-10B cells and provide new insights about leading to the possible development of a new therapeutic agent.
        4,000원
        3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ovel fullerene derivative with photoresponsive azobenzene group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and its photoresponsive properties were reported. Starting from 4-nitrophenol, compound 1, which is containing fullerene moiety connected to azobenzene group through covalent linkage was synthesized by 5 steps. All the intermediates and the final compound were characterized by ¹H, 13C-NMR, FAB-Mass or elemental analysis. Compound 1 exhibited the expected photoresponsive behavior. Chloroform solution(10-5M) of it served to maximize the absorption at 351 nm corresponding to the trans-azobenzene chromophore. Irradiation of this solution with 365 nm light resulted in photoisomerization to cis-azobenzene, as evidenced by decrease in the absorbance at 351 nm and an increase in absorbance at 450nm. A hotostationary state was reached within about 150 s. Thermal reversion to the original spectrum was observed over the course of about 6 h at room temperature in the dark. However, exposure to bright sun light for about 5 s also effect almost complete reversion to the trans-isomer.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no strong steric influence on the trans-cis reversible isomerization of compound 1.
        4,000원
        34.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로다민 화합물은 형광 이 강하고 광학적 특성이 광범위해서 금속이온 분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여러 가지 여러 종류의 다양한 금속 이온을 감지하는 메카니즘은 spirocycle과 open-cycle형 구조변화를 통해 생긴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fluorene이 함유된 rhodamin 6G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화합물이 금속 이온 Fe2+와 Al3+ 에 선택성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3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킬렌디아미노 기능기를 분자 내에 갖는 4종의 새로운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그들의 연기밀도를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알킬렌디아민 및 알데히드에 인산을 첨가하여 한 단계로 반응시켜 2개의 인산에 2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76~97.3%의 수율을 얻었다. 이들의 연기밀도 시험은 ASTM E 662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시험결과 연기밀도(Ds)값이 234.7~437.9으로 측정되었고, 2개의 인산을 갖는 화합물이 1개의 인산구조를 갖는 화합물보다 연기밀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산에 결합된 아마노기의 질소수와 연기밀도 사이에는 관련이 있었다.
        4,000원
        3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탱자에는 여러 종류의 monoterpenes, limonoids, flavonoids과 coumarins 등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탱자의 구성 성분중에 7-제라닐옥시쿠마린는 7개의 탄소로 구성된 제라닐옥시기의 곁사슬을 가진 물질이다. 그리고 7-제라닐옥시쿠마린은 여러 약리적인 효과들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탱자의 구성성분인 7-제라닐옥시쿠마린과 이들의 다양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항염증에 대한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일산화질소 억제 cytokine을 측정한 결과는 6-제라닐옥시쿠마린의 성분이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6가 1μm농도에서 68.9% 를, 10μM에서 72.6% 의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3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CCl4 존재하에서 Cl2(g) and ultra violet(200~300nm) 파장으로 maleic anhydride 와 Cl2(g)을 반응시켜 α,β-dichlorosuccinic acid 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반응은 N-(α,β-dichloro)succinic acid 함유 glucosamine 유도체(I)를 합성하는 것으로 methanol 함유 2% acetic acid 용매 하에서 glucosamine과 과량의 α,β-dichlorosuccinic anhydride을 넣은 후 온도를 70℃로 올리면서 반응시켰다. 우리는 합성한 유기산 유도체들이 해태 김 재배와 피부미용에 주로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본다.
        4,500원
        38.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해성이 우수하며, 강한 electron-withdrawing 특성을 나타내는 cyano group 을 가지는, 새로운 전자acceptor 재료인 malononitrile 유도체 (2-(2,6-bis((E)-4-tert-butylstyryl)-4H-pyran-4-ylid-ene)malononitrile (t-BuPM)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acceptor 재료 t-BuPM을 donor와 acceptor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poly[2-Methoxy-5-(2-EthylHexyloxy)-P-Phenylene-Vinylene](MEH-PPV)와 (6)-1-(3-(methoxycarbonyl)propyl)-{5}-1-1-phenyl-[5,6]-fullerene (PCBM)과 함께ternary blend system으로 유기 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하였다. 소자는 ITO/PEDOT:PSS/MEH-PPV:t-BuPM:PCBM/Al 구조와 같이 제작하여 광전변환 특성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재료의 HOMO와LUMO energy level은 -5.97,-3.49eV로 측정되었으며, t-BuPM을 사용하여 ternary blend system 으로 제작된소자의 에너지변환 효율은 AM 1.5G, 1 sun 조건(100mA/cm2)에서 1.85%로 측정되었다.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sc)는 5.54mA/cm2, fillfactor(FF)는 41%, open circuit voltage(Voc)는 0.80 V로 측정되었다.
        4,000원
        3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tosan is widely used in cosmetics and medical fields. Special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chemical modification of chitosan to explore its full potential. We have described the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novel peptide amino acid derivatives. The polyamino acid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by introducing alkylamine functional group on chitosan at C-6. The poor aqueous solubility of chitosan derivatives hinder both pharmacological studies and pharmaceutical development. To make amino acid coupled chitosan derivatives with improved biological effect and solubility, some attempts have been taken to consist of amino peptide group like aspartic acid and phenylalanine-aspartic acid derivatives onto chitosan C-6. The resultingly substituted chitosan was characterized by solubility in various solvents. We measured chitosan derivatives with 1H-NMR and 13C-NMR. Also, We were investigat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se products.
        4,200원
        40.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nding affinity constants (p(Od)50) and molecular docking scores (DS) between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s pOBP (1HQP) and pPBP (1GM6) as receptor and a series of tetrahydrofuran-2-yl (A & B) analogues as substrate, and their interactions were discussed quantitatively using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3D-QSAR) models. The statistical qualities of the optimized CoMFA models for pOBP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CoMSIA models. The binding affinity constants and DS between substrate and receptor molecules were dependent upon steric and hydrophobic interaction. The DS constants of the substrates into the binding site of OBP (1HQP) were bigger than those of PBP (1GM6). The resulting contour maps produced by the optimized CoMFA model were us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features relevant to the binding affinity in binding site of pOBP.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