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21.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시설에서 요양 중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정서적인 안정과 손 기능은 물론 인지기능을 강화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원예활동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과 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은 9.71점에서 9.21점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감소되었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0.86점에서 실시 후 12.43점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유의하게(p=.009) 향상되었다. 그리고 인지기능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은 10.57점에서 9.07점으로 인지기능이 떨어졌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0.43점에서 실시 후 13.29점으로 인지기능이 유의하게(p=0.003)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치매노인에게 식물을 매개체로 하는 다양한 원예활동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2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발달지연 아동을 위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연구방법 : 본 연구는 환자-대조군 연구 설계에 따라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내 일개 3차병원 재활의학과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7개월에서 36개월의 발달지연아동 80명으로 선정하여 가정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실험군에 32명, 가정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는 통제군에 30명을 임의로 배정하였다.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호자와 아동이 8주 동안 매일 1회 30분 동안 가정에서 실시하였다. 치료전후 집단 내 평균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 집단 간 평균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가정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정하고 변수의 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 : 가정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통제군을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분석한 결과 감각등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이는 가정프로그램에 의해 중요하게 결정되는 변수라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되었다.결론 : 작업치료사에 의해서 개발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은 발달지연 아동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부모들이 가정에서 아동을 치료할 때 이용되어야 한다.
        4,600원
        23.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학생의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만15세에서 22세의 장애학생 중 장애등급 1등급에서 3등급에 해당하고, 경기인천, 대전, 전라도지역의 특수학교에 다니는 지체장애 학생 102명 이었다. 조사방법은 한국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와 FIM을 사용하였다.결과 : 지체장애학생의 삶의 질은 정서적 안녕과 만족항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 거주유형에 따라 삶의 질의 하위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성별과 장애등급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IM과 삶의 질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300원
        24.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mbulatory stroke patients. This was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of 60 patients who had survived one year or more after a stroke in commun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ssessed usi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lM)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Stroke Impact Scale (SIS). The association between FIM and SIS was examined using Pearson' s correlation. The FIM score was higher than the SIS score. Most domains of FIM exhibited a high rate (45-85%) of ceiling effects. However, only the communication and memory domain of SIS exhibited of ceiling effec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835 (p<.01) for FIM-motor vs. SIS-ADL, .257 (p<,05) for FIM-motor vs. SIS-communication, .596 (p<.01) for FIM-motor vs. SIS-social participation, .635 (p<.01) for FIM-cognition vs. SIS-memory, .369 (p<.01) for FIM-cognition vs. SIS-ADL, and .289 (p<.05) for FlM-cognition vs. SIS-social participation.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FIM-motor and SIS-social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lM-cognition and SIS-social participation. The domains of emotion and hand function of SIS showed no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FIM-total.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ambulatory stroke patients i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use both the FIM and SIS.
        4,000원
        25.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척수손상 환자의 ASIA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SCIMⅡ를 사용한 일상생활수행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일상생활수행 훈련 시 운동능력성취점수의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치료 방법의 선택 기준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산 시내에 거주하는 손상 후 6개월 이상인 42명의 척수손상 환자로 하였고 연구 기간은 2004년 1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평가도구는 ASIA의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SCIMⅡ를 사용하여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 수행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척수손상환자 42명 중 손상 유형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완전사지마비군에서 상지-전체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p〈.01)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90, r=.90). 불완전사지마비군에서는 상지-하지-전체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5)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64, r=.81, r=.87). 하지마비군에서는 상지-하지-전체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5) 보통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9, r=.60, r=.61).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척수손상 환자에 대한 ASIA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SCIMⅡ와는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척수장애 재활의 지표를 확립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6.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라쉬모형을 적용하여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외래환자로 169명이었다. 조사방법은 사전연구에서 항목의 중요도로 수집된 23개의 일상생활수행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자료는 전국 18개 재활기관에서 작업치료사가 평가한 결과를 수집하여 Winsteps 프로그램으로 라쉬분석을 하였다. 결과 : 7개 항목이 부적합한 항목으로 판정되었으며, 16개 항목이 적절한 항목으로 채택되었다.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6.32~6.23 로짓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준화점수로 표시하기 위한 변환식은 "점수=(로짓점수+6.32)/(6.32+6.23)100" 이었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기위한 항목을 난이도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다. 가장 어려운 항목은 보행영역의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이었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 식사하기 영역의 '음료 마시기’항목이었다. 결론 : 라쉬분석을 이용하여 개발된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객관적인 도구이다.
        4,200원
        27.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근 긴장도 변화 및 상지기 능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4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모든 환자들은 자세조절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PASS),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측정 도구(Modified Barthel Index, MBI), 긴장도 사정 척도(Tone Assessment scale, TAS), Fugl-Meyer 평가 척도(Fugl-Meyer Assessment scale-upper extremity) 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PASS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지지하여 서기로 나타났으며,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환측으로 서기였고,MBI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의자/침상 이동이며, 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목욕하기로 나타났다.PASS의 모든 항목은 MBI, FM-UE, TAS와 유의한 상관관계(r=-33~91, p<.05~01)가 있으며,FM-U/E와 MBI(r=.35, p<.05), TAS- 안정(r=.-40, p,<.0.1), 연합항목(r=-.39,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86로 높게 나타났으며,PASS의 합과 자세유지 항목 (r=.90 p<.01)의 합,자세변화 항목(r=.93,p<.01)의 합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자세유지 항목의 합과 자세변화 항목의 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69,p<.01)가 있었다.PASS 항목 중 누운자세에서 건측으로 돌기와 바닥에서 볼펜집어 올리기가 각각 ADL과 상지 기능을 예견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R2=.95, R2=.56)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PASS는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28.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Rasch모형을 적용하여 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2년 8월 5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전국 18개 재활기관에서 뇌졸중 입원환자 308명을 대상으로,작업치료사가 평가한 6개 영역의 23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 결과를 수집하여 Winsteps 프로그램으로 라쉬분석하였다. 결과 : 3개 항목이 부적합한 항목으로 판정되었으며,남은 20개 항목의 난이도 순서를 배열하였다.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6.77~6.73 로짓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표준화점수로 표시하기 위한 변환식은 "점수 =(로짓점+6.77)/ (6.77+6.73) 100" 이었다.평가항목의 난이도는 가장 어려운 항목은 보행영역의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이었으며,가장 쉬운 항목은 식사하기 영역의 ‘음료 마시기’ 항목 이었다. 결론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입원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항목의 적합도와 난이도에 관한 결과제시로 개발되었으며,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객관적인 평가도구이다.
        4,300원
        29.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roup therapeutic exercise programs on 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balance-performing ability in older adults. Fifteen community-dwelling subjects (mean age 73.7 yrs, standard deviation 2.4)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8-week group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including strengthening and balance training, breathing and gait exercise, and recreation, consisted of activities related to daily liv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Modified Barthel Index (MBI), Berg Balance Scale (BBS), Functional Reaching Test (FRT), and Timed Up & Go (TUG) test were measured during pre-exercise and post-exercise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eight weeks, the MMSE-K and MBI total score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post-exercise tests than pre-exercise tests (respectively, p<.05, p<.01). 2. Of the MBI contents, personal hygiene, dressing, ambulation, and chair/bed transfers scores were significant increased for post-exercise tests. 3. Post exercise BBS, FRT, and TUG scores were higher than the pre-exercise scor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p<.05, p<.05, p<.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oup therapeutic exercise can be used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ADL, and balance-performing ability in elderly persons.
        4,000원
        30.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조기기가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거주하는 신체장애인 40명을 대상으로 2004년 8월 1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각 가정을 방문하여 일상생활활동 능력 평가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전 지도와 FIM 평가에 대한 훈련을 받은 6명의 연구원들이 장애인과 개별적 면접을 통해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 9문항과 보조기기관련 7문항, 5점 척도의 재활의료서비스, 가족 지지정도, 지역사회참여 정도에 대한 만족도 항목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보조기기 사용 유무에 따른 신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재활의료서비스 만족도는 보조기기 사용집단과 미사용집단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족지지 만족도와 지역사회참여 만족도는 보조기기 미사용집단보다 사용집단에서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0.05). 결론 : 신체장애인들이 보조기기를 사용한 경우 가족지지와 지역사회참여 만족도에서 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0.05). 보조기기 사용유무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재활의료서비스 만족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지역의 많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조기기 사용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1.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대전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과 삶의 질에 관련된 요소를 측정하여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준 및 삶의 질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 노인 50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 및 일상생활동작 능력 평가도구인 Barthel Index, Frenchy Activities Index와 SF-12에서 발췌한 삶의 질 관련 요소들로 구성되었으며, 일대일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결과 : 대전 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점수는 평균 96.05(표준편차 11.04)이었으며, 노인의 결혼 상태, 가족구성, 자녀유무, 직업유무에 따라 기본적 일상생활동작수행의 차이가 있었다(p<0.05).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점수는 평균 18.41(표준편차 10.28)로 노인의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족구성, 자녀유무, 직업유무에 따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차이가 있었다(p<0.05).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기본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전 지역노인들의 기본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수준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수준을 알 수 있었고, 주관적 건강상태나, 생활만족도와 같은 삶의 질에 관련된 요소와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 간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노인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동작 수행수준을 높일 수 있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며, 노인들의 의존적인 문제를 보완하고 능동적이며 긍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32.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과 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비교하고 작업치료 후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여 작업치료의 가치를 검증하고자 하였다.1994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A대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퇴원한 65세 이상 노인환자 중 치료기간이 180일 이내이며 의무기록열람이 가능하였던 2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연구방법 : 의무기록 열람을 통한 후향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성별, 발병 당시의 연령, 진단, 발병원인, 발병횟수, 치료기간, 학력 등의 일반적인 정보와 치료 시작시와 종료시 MMSE와 MBI의 개별항목 점수와 전체점수를 조사하였다. MBI 개별항목 중 대․소변처리 항목은 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제외하여 전체점수는 최저 0점 최고 80점 만점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Ver 12.0)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뇌졸중 환자들의 작업치료 전, 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MBI 점수와 일상생활동작 개별항목의 점수는 짝비교 t-검정을 실시하고, 연령군, 치료기간군, MMSE 전체 점수간의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의 향상점수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결과 : 첫째, 대상자의 치료 후의 MBI 전체 점수는 43.19±26.90으로 치료 시작 시 20.12±20.34보다 23.07±19.92점 향상되었으며(p<0.001), 치료 후의 MBI 개별항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향상되었다. 특히 걷기 5.52±5.44점(p<0.001), 의자/침대로 이동하기 4.59±4.82점(p<0.001), 옷 입고 벗기 3.27±3.38점(p<0.001), 화장실 동작 3.24±3.76점p<0.001)에서 다른 항목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둘째, 대상자의 MMSE 점수가 높을수록 MBI 점수도 높았다(p<0.001).결론 : 대상자들의 작업치료 전, 후의 MBI 점수를 비교한 결과 작업치료 후의 MBI 전체점수와 개별항목 점수 모두에서 치료 전보다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더욱 향상되었다.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이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에게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33.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on task-oriented Learning program in adult with cerebral palsy.Method : The subjects were forty members who were treated at dept. occupational therapy the H Rehabilitation Center in kwang ju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3. The ADL were meas-ured with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an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SPSS PC for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NPARIWAY.Results : 1. A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 was from 20 to 36, and the average age was 25.6. The number of the twenties are the most number of the subjects by 28 persons(70%). The men were 19 persons(47.5%) and the women were 21 persons(52.5%). The clinical types of adult with cerebral palsy were dyskinesia 4 persons(10%), spastic quadriplegia 10 persons(25%), spas-tic hemiplegia 12 persons(30%), spastic diplegia 14 persons(35.5%). In the dominated hand, the right’s was 27 persons(67.5%), and the left’s was 13 persons(32.5%) and the number of person with language disability was 26 persons(65%), without language disability was 14 persons (35.5%). The duration of medical treatment was 61 days at the shortest, 123 days at the lon-gest, and the average duration was 82 days. 2. The variation to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after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throug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with cerebral palsy was significantly (p<.01) in-creased independent of age, gender, clinical types except dyskinesia, dominated hand, speech dis-ability and treatment duration of less than 2∼3month.3. The variation of the pre-treatment and the post-treatment in the detail item to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of the adult with cerebral palsy through task-oriented Learning program was significantly(p<.01) increased at the self-care, sphincter control, locomotion, mo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cognition.Conclusion : Cerebral palsy cause disability on daily life with decrease of motor performance ability by adding marked growth of the adolescence, disease, treatment interruption, trauma etc, to past poor motor control function, impaired balance reaction, muscle spasticity etc. But if proper task-oriented Learning program has been performing to patients continuously, General ADL performance ability will be increasing in young adult with cerebral palsy patients.
        4,500원
        34.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the effect of involved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 recover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ubject with hemiplegia by using Fugl-Meyer Assessment (FMA) as a motor recovery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as a functional test.Method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stroke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from November, 2002 to April, 2003. Data were analyzed for wilcoxon signed-rank test, mann-Whitney U test, spearman’s rho using SPSS/PC+ program.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1. Involved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 and independence of ADL is significantly differ-ence after occupational therapy(p<.05).2. Involved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 recovery i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in-dependence of ADL. but, motor FIM and FMA is significantly correlated after occupational therapy(r=.461).3. Involved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 recovery i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lesion site and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involved side (p<.05).4. Independence of ADL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lesion site, sex, involved side(p>.05).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lesion site maybe a factor to predict involved upper extremity’s motor recovery and require various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lesion site.
        4,200원
        35.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by the motor learning program for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sixty-two members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ADL were measured with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he result's were as fol1ows; 1.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dependent of age, gender, cause, affected side and speech disability (p<.01).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reatment and the post-treatment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sex, cause, affected side and duration of treatment, but the speech disability was significant. Therefore the pre-treatment scores and post-treatment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2. The variation of the pre-treatment and the post-treatment in the detail item to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of the stroke patients through the upper extremity motor learn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lf-care, sphincter control, locomotion, mo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cognition (p<.01) Consequently, The motor learning program for upper extremity significantly improved the performance level of all ADL areas in stroke patients.
        4,600원
        36.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longitudinal study of CVA patients has two parts: the first with 50 subjects and the second with 24 subjects. The first part of study shows that in making a prognosis of the early stage of CVA,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most critical. The second part suggested that I-ADL is a better criteria than ADL for long-term CVA patients. 1) In the first study, the 50 subjects, hospitalized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were divided by the result of their MVPT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into two groups: one with visual neglect and the other with no visual neglect. In terms of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roup with visual neglect significantly scored less that the group with no visual neglect. This result strongl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VA patients’ progress of ADL. 2) After two years, the follow-up study on remaining 24 clients (4 deceased, 22 unreachable) has been conduc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progress of ADL and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two groups: neglect and neglect-free group. At this time, the ADL of both groups have remarkably improve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both groups still scored significantly low in I-ADL. 3)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only in the early rehabilitation period,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very useful to predict a prognosis of the CVA patients.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rehabilitation for the chronic CVA patients should be guided by I-ADL rather than ADL.
        4,800원
        37.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vel of elderly people using a questionnaire made up of a mobility scale, two basic ADL measurement tools, and an instrumental ADL measurement tool, an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levels according to various performance environments. The subjects were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who live in Wonju City (pop.240,000). A survey tool made up of 110 items was used for this study and the quiestionnaire was completed by 7 investigators who interviewed the respondents at gatherings for the elderly.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3 age groups (60-69, 70-75, and over 76), comfortable position preference (floor sitting or chair sitting), and housing type (detached house or apartment) by non parametric statistics,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age group, basic ADL dependenc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leaning house’, ‘travelling’, ‘street crossing’, ‘hospital visiting’, and ‘walking around’. Women were more significantly dependent than men in instrumental ADL: ‘going to the post office’, ‘driving’, and ‘street crossing’,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of dependence level in basic ADL. 2. According to position pattern, dependenc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face washing’, ‘hair washing’ or ‘foot washing’. At rest, people sitting on the floor were more dependent in instrumental ADL items only for ‘shopping’ and ‘attending religious services’. People living in detached house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difficulty using the toilet than those in apratments. 3. The most sensitive items for evaluating functional independence of the elderly were: ‘using the telephone’, ‘face washing’, ‘hair washing’, ‘foot washing’, and ‘bottle opening’ in basic ADL, and ‘hospital visiting’, ‘travelling’, and ‘street crossing’ in instrumental ADL. The Cronbach α value of mobility, basic ADL, instrumental ADL were 0.87, 0.86, and 0.91,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ADL of old age, we have to use evaluation tools suitable to the Korean culture. The most useful items were ‘telephone use’, ‘face washing’, ‘hair washing’, ‘foot washing’, ‘bottle opening’ in basic ADL, and ‘hospital visiting’, ‘travelling’, and ‘street crossing’ in instrumental ADL. Especially, instrumental ADL is more valuable than basic ADL in evaluating old age. It is more important in evaluating the practical aspects of life in old age to consider housing and living patterns because there are some ADL items which are affected by comfortable sitting preference and housing style.
        4,600원
        3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availability of home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been greatly increased sinc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 is still a dearth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performance level of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the rural area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DL performance level of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in the rural areas of Wonju city, Korea, using 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nd to identify the specific areas of the ADL to be trained or evaluated by physical therapis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298 disabled people were interviewed by 10 physical therapy students. Analysis of the interviews indicated: 1) Forty seven point 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elderly-disabled persons whose ages were 61 years old or above, and 69.5% of respondents has the history of chronic disability period of 5 years or more. 2) FIM score of bathing, and stairs climbing showed severe dependent trend 3) FIM scores of self-feeding, urination, defecation, and comprehension ability were mildly dependent. These results revealed that functional evaluation/treatment for discharging from hospitals to the rural areas should be emphasized on the specific ADL performance areas such as bathing, and stairs climbing.
        4,500원
        39.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ffect the depression level of disable people or not. In this study, the ADL item was divided into two category as basic ADL and instrumental ADL. The particip- ants were 67 persons with cerebral palsy(aged 16 to 49). Over 80% of the subjects had independent ability to perform the basic ADL, but, in instrumental ADL items, 50% of them needed assistance. Each of basic and instrument ADL item were signific- antly correlated to the depression level(p<0.01).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basic and instrumental ADL item were 0.336 and 0.416 respectively. As before, ins-trumental ADL item score was more correlated to depression level than basic ADL item score.
        4,000원
        40.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fact that rehabilitation therapy helps stroke patients in the area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he ADL evaluation tool used in this study is the modified Barthel Index. The subjects were 71 stroke patients who admitted rehabilitation department of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uary to September 1997. All subjects received rehabilitation therapy. The sbuject's ADL were evaluated on admission and again at the time of discharge. The results follows : 1. Using the modified Barthel Index, revealed on admission 38.26 points at discharge 68.73 points. 2. Severe disability(Barthe1 score 60 or less) were reduced from 84.5% on admission to 29.6% at discharge. Very severe disability(Barthe1 score 40 or less) were also reduced from 66.2% on admission to 12.7% at discharge. 3. The degree of change in each area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were measured. There was an overall positive change during the admission period. The greatest change occurred in the category of dressing and transferring. The least change in donning & doffing a brace and wheelchair mobility. The modified Barthel Index used to assess the change in ADL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oulds seem to be very useful method. And there should be a focus on the recovery of ADL function in stroke 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herapy.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