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서능력과 뇌반구 기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남자 중학생 1,050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정서능력척도검사(Trait Meta-Mood Scale), 뇌 정보처리 특성 검사(Brain Preference Indicator Test), 그리고 공격성과 비행은 한국판 아동자기보고 검사(Korea Youth Self Report-Child Behavior Check List)를 사용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기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남녀 중학생 1,479명을 표집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행동을 많이 가진 집단은 보통 아동들에 비해 정서능력 요인중 정서의 명확성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자신에 대한 정서 주의는 많이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정보 처리에서는 주로 우반구 우세적 정보처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정보처리 특성과 정서 명확성 그리고 정서주의가 문제행동의 하위 요인인 공격성향과 비행성향 모두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과 정서개선, 성별과 정서명료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이 두 요인이 공격성과 비행에 영향을 주는 효과가 남자와 여자학생 간에 다르게 나타났다.
        4,500원
        22.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als with the middleware development for real time data processing using ubiquitous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his middleware system supports the real time data gathering, filtering, and collaborative operations within SCM. We expect to decrease the data processing cost and to upgrade the status of RTE(Real Time Enterprise) and competitive power of company.
        4,000원
        2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광고디자인에 있어서 광고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양의 광고수용자의 광고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기존 연구는 주로 자원-부합이론(Resoruce-matching theory)의 관점에서 광고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정보의 효과만을 주로 검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달리 광고에 제시된 브랜드명 의해 유발된 심상정보처리와 같은 내부정보의 정보량이 어떻게 광고수용자의 광고평가효과를 조절하는지를 두가지의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광고에서 제시된 브랜드명은 광고수용자가 인지적 잉여자원이 있는 경우 심상정보처리를 유발시키고 이러한 심상정보처리과정이 명성브랜드일 경우에는 광고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반면 비명성브랜드의 경우에는 부정적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광고디자인프로세스에서 명성브랜드라면 광고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품관련정보를 많이 내포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오히려, 이미 소비자의 인식속에 구축되어 있는 브랜드자산을 통해 심상정보처리와 같은 내부정보탐색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도록 광고디자인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비명성브랜드의 경우에는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품관련정보를 다양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가 향후 광고디자이너들이 광고디자인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상에서 광고수용자들에게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떻게 광고디자인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에 도움을 되기를 바란다.
        4,200원
        24.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억은 상황인식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상황 인식의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기억과정들이 조종사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조종사가 상황정보를 회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기억과정들을 비교하였다. 즉, 조종실 계기판에 제시되는 상이한 형태(공간적 및 언어적)의 상황정보에 관한 조종사의 기억을 즉각회상과 지연 회상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2에서는 조종사의 상황인식 민감도를 측정하였고, 그 민감도와 실험 1에서 수집한 여러 회상기억 측정치들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두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전문성 효과가 상황정보의 활동기억보다는 장기기억에서 나타났고, 상황인식 민감도를 높이는 데 요구되는 상황정보의 기억표상이 전문성 정도에 따라 달랐다. 실험결과의 이론적 설명이 심리학의 전문성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4,300원
        26.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충의 발생예찰자료의 분석에 있어서 지리자료처리체계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국의 152개 병해충 발생예찰소의 해충 발생자료를 이용하여 해충지리적 분포정보를 집적하는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SPANS(Spatial Analysis Systme)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리분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근 10년간 이화명나방 발생량의 분포변동을 추적한 결과 일반계 품종이 확대 재배되기 시작한 80년대 중반터 고밀도 분포지가 급속히 확산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분포의 확산과 수축의 중심은 전북의 이리지역임이 확실하게 나타났다. 별멸구의 초기(7월초) 비래량의 분포를 비래후 온도조건과 결부시켜 후기(9월중)의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지의 분포도를 1990년 9월의 실재 발생분포도와 비교한 결과 경북 청도지역을 제외하고는 분포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경사도, 고도, 재배작물 등의 분포도를 추정된 벼멸구 발생도와 함께 투시.분류(Overlay/Modeling)하는 기법을 사용한 결과 서남부지역의 벼멸구 국지적 발생위험지를 구분해 낼 수 있었다.
        4,000원
        2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V CF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과 중간 또는 끝 부분에 간단명료하게 메시지를 전달해야하는 절제된 영상으로, 수용자들 은 이를 통해 시장에 존재하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어려운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 박카스는 오랜 기간 동안 TV광고를 통하여 상품이 아닌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하며 수용자들에게 공감과 찬사를 얻고 있으며 국민 광고로서 확고한 지위를 갖고 있다. 지난 2016년 3월부터 시작한 박카스의 새로운 캐페인 ‘나를 아끼자’의 ‘콜센터편’ ‘좋더라편’ ‘아껴서편’ 그리고 ‘생일파티편’까지 총 4편의 TV CF는 20대 젊은 세대들에게 위로와 응원의 메시지를 희망적으로 전달하였는데, 특 히 ‘콜센터편’은 이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광고 시작 1년 6개월이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수용자들에게 회자되고 기억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콜센터편’을 통하여 박카스 광고의 성공 이유와 차별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소비자 행동 이론을 모태로 한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을 활용하여 연구의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수용자 정보처리 과정(Information Process)은 우연적이든 의도적이든 수용자가 노출된 광고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내용을 이해하여 새로운 신념이나 태도를 형성하거나 변화시키는 과정을 노출, 주의, 이해, 기억의 4단계로 구성하고 있다. 연구의 구성은 우선 수용자의 정보처리의 요인과 이 론적 논의를 진행하고, 이어서 ‘콜센터편’을 각각 노출, 주의, 이해, 기억의 단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 장에 서는 이를 통해서 수용자의 의사결정과정과 저장된 기억이 상품의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 더불 어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이 TV광고의 분석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28.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남명의 신명사도에 나타난 인간 마음의 특징과 그 작용에 대한 관점을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 관점에서 학습심리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신명사도의 의미와 인간정보처리론과 정보처리모형을 살펴본 다음, 신명사도의 학습심리적 요소와 정보처리모형을 상호 비교해 볼 것이다. 그럼으로써 신명사도가 지니는 학습심리적 함의를 인간정보처리 론에 기초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신명사도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마음의 작용을 통해서 실천적으로 나타나 는 행동을 표현하는 그림이다. 구조적으로는 원곽, 원곽내, 그리고 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신체적으로 눈·귀·입, 두뇌 및 마음, 몸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능적으로는 정보수집, 인지과정, 몸의 행동으로 작용한다. 또한 신명사도는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의 관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 점을 밝혀냄으로써 본 연구는 서구의 학습심리 이론보다도 무려 400여년이 나 앞서 교육에 활용되었다는 점을 구명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 아볼 수 있다. 신명사도를 인간정보처리론적 관점에서 고찰해 볼 때, 드러낼 수 있는 학 습심리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내적 인지과정을 이해할 수 있 는 학습심리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 둘째 인간의 학습과정에 있어서 효과 적인 학습방략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 그리고 셋째 학습자를 능동적인 정보 처리자로 간주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9.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친숙한 자극에 반응할 때 나타나는 측두 영역(T7과 T8)의 N170과 P250 그리고 측후두 영역의 P170과 N250을 분석하여 친숙한 자극이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12명의 남자 고등학교 레슬링 선수들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친숙한 자극은 레슬링 지도자의 사진을 자극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친숙하지 않은 자극은 면식이 없는 일반인의 사진을 이용하여 자극을 만들었다. 전체 200장의 사진(목표자극 40, 표준자극 160)을 무작위로 모니터에 나타나도록 하였다. 과제는 목표자극이 나타나면 왼쪽 버튼을, 표준자극이 제시되면 오른쪽 버튼을 가능한 한 빨리 누르는 것이었다. 뇌파는 Fz, Cz, Pz, T7, T8, P7, P8 그리고 O1에서 각각의 진폭과 잠재기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측두 영역과 측후두 영역에 대해 자극(2)×좌우반구(2)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측두 영역(T7과 T8)의 N170에서는 친숙한 자극의 잠재기가 친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잠재기가 더 길었으나, P250에서는 친숙한 자극이 친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잠재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폭을 분석한 결과 측두 영역과 측후두 영역의 N170과 P170은 우반구가 좌반구보다 진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슬링선수가 연습이나 면식으로 인해 과제에 익숙해지게 되면 정보처리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을 뇌생리학적으로 밝혀 주었다.
        30.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 난이도에 따른 P300의 변화를 통하여 선택적 주의 시 나타나는 뇌의 정보처리현상을 규명해 보는데 있다.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ERP파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험자의 F3, F4, Fz, Cz, Pz, T3, T4부위의 ERP를 측정하였다. 단순과제-표준자극이 단순과제-목표자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단순과제-표준자극과 복잡과제-표준자극이 복잡과제-목표자극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목표자극과 표준자극에 따른 진폭과 잠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진폭의 경우 표준자극보다 목표자극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잠재기의 경우 표준자극이 목표자극보다 길게 나타났다. 대뇌영역별에서는 진폭이 Fz, Cz, F4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잠재기에서는 T3, T4 영역에서 짧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청각 자극을 통한 P300은 과제를 식별하고 결정하는 주의와 관련이 있으며, 처리하여야 하는 정보의 수와 주의의 양이 늘어날수록 뇌의 정보처리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극에 따른 주의의 할당 정도는 P300의 진폭에 비례한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31.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의 목적은 주시점의 방향이 다양한 위치에서 제시되는 목표자극에 대한 반응시간과 동작시간, 그리고 안구운동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조준운동을 위한 시각적 정보처리과정의 효율성 증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12명의 피험자들이 여섯 가지 주시점 방향 및 네 가지 목표지점 조건에서 조준운동을 수행하였으며, 각 반응마다 반응시간과 동작시간, 그리고 안구운동패턴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과제상황에서 측정된 반응시간은 주시점 조건에 따라 달라졌으며, 초점시 조건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목표지점을 예측할 수 없었던 주변시 상황에서의 반응시간은 주시점-하 조건에서 가장 느린 것으로 밝혀졌다. 동작시간 역시 초점시 조건에서 가장 짧았으며, 주시점-하 조건에 비해 주시점-우 조건에서 더 짧은 것으로 밝혀졌다. 안구운동의 범위와 기간, 그리고 반응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안구운동이 종료된 시점까지의 기간은 주시점으로부터 목표지점까지의 간격이 커질수록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측불가능한 지점에서 제시되는 목표자극에 대한 정보처리는 주변시 및 초점시 체계 양자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과제수행과 관련된 정보처리의 효율성은 주시점 방향과 목표지점 사이의 간격보다는 목표배열에 대한 주시점의 방향에 더 의존함을 시사한다.
        32.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는 P300을 분석하여 과훈련이 대뇌의 정신적 과정과 같은 정보처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P300은 대뇌의 자극평가 또는 범주화와 같은 높은 수준의 인지정보처리과정을 반영하는 동시에 복잡 다양한 행동 변인을 밝혀준다. 따라서 P300 분석은 과훈련 후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생리심리적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복싱경력이 평균 4.5년, 평균나이가 17.5세인 D 체육고등학교 남자 권투선수 4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8, 6, 3의 세 가지 숫자의 조합을 곱셈과 덧셈으로 만들어 목표자극(8 6+3)과 표준자극(3+6 8, 3 6+8, 8+6 3, 8 3+6)으로 사용했다. 목표자극의 출현빈도는 20%(200개 중에서 40개) 표준자극은 80%(200개 중에서 160개)였다. 훈련 프로그램은 아침, 오전, 오후, 야간 훈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훈련은 1주일에 6일, 전체 45시간 총 40일 훈련을 한 후 BIOPAC 시스템 (U. S. A)을 사용해 Fz, Cz, 그리고 Pz 영역에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P300을 분석한 결과 목표자극을 수행할 때 뇌파의 진폭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려운 과제가 쉬운 과제를 수행할 때 보다 잠재기가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의 목적은 네 가지의 자극속도와 세 가지의 자극제시범위가 예측타이밍 반응시에 일어나는 안구운동의 개시시간, 범위, 기간, 속도, 그리고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예측타이밍의 저변에 있는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제어기전을 연구하는 것이다. 12명의 피험자들이 다양한 자극속도 및 자극제시범위 조건에서 예측타이밍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각 반응마다 항상오차와 절대오차, 그리고 안구운동유형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과제상황에서 측정된 반응의 정확성은 자극속도가 빠를수록, 그리고 자극제시범위가 좁을수록 감소되었다. 하지만 안구운동유형은 자극속도에만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극제시범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자극속도가 빨라질수록 첫 번째 단속성 안구운도의 개시시간은 감소되었으며 크기는 증가되었다. 반응시에 일어난 전체 단속성 안구운동의 평균속도 역시 자극속도가 빠를수록 증가되었으나, 단속성 안구운동의 빈도는 자극속도가 느릴수록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측타이밍 반응시에 일어나는 안구운동의 유형이 주어진 과제상황에서의 효율적인 정보처리를 위해 제어체계가 선택하는 전략을 반영하며 요구되는 반응의 정확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시사한다.
        34.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형 노인성 치매가 동작수행을 위해 두뇌에서 일어나는 정보처리 과정중 반응선택 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마흔 명씩의 치매노인과 정상노인은 서로 다른 자극-반응 선택 수를 가진 선택 반응시간 과제를 수행하였다. 치매노인과 정상노인 모두 자극-반응 선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반응시간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치매노인은 모든 자극-반응 선택조건에서 정상노인보다 유의하게 더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자극-반응 선택의 수와 반응시간에 대해 치매노인과 정상노인은 다같이 직선함수 (linear function) 관계를 나타냈지만 치매노인은 유의하게 더 큰 기울기 (slope)를 나타냈다. 아울러 치매노인은 정상노인에 비해 더 큰 직선함수의 절편(intercept)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치매증상은 노인의 동작수행을 위한 반응선택 작용에 결함을 유발하였고 그 결함은 말초적 작용의 이상에 의한 것이 아닌 중추적 요인의 역기능에 의해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아울러 단순 반응시간 조건에서 발견된 치매노인과 정상노인의 유의한 반응시간 차이에 의하면 치매는 노인의 반응선택 작용뿐만 아니라 반응 프로그래밍 작용에도 역기능을 유발했음을 암시한다.
        36.
        199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eo, Kyunghee. 1998.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Cognitive Skill and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Studies in Modern Grammatical Theories 12. 241-25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gnitive psychology, which views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 mastery of complex cognitive tasks, such as learning the second language, requires relatively large amounts of processing capacity and time and another that occurs quickly and takes little processing energy. These two types of operations are referred as "controlled" and "automatic" processing, respectively. Repeated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task through controlled processing leads to the availability of automatized routine, resulting in learning. But there is more involved in learning a complex cognitive skill than automatizing subskills. The learner must also impose organization and structure the information that has been acquired. As more learning occurs, internalized, cognitive representations change and are restructured. This restructuring process involved oper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but complementary to, those involved in gaining automaticity. Although both processes occur throughout the learning, gains in automaticity are thought to be more characteristic of early stages of learning and restructuring of later stages.
        37.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cs of children`s motor performance are slow response, low accuracy, greater var iability, inappropriate response, and ignoring KR when they perform at will. Not only physical growth, development, and maturation but also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results in children`s motor performance deficits. In the late 1970s, motor development theorists accepted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to explain the motor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they try to clarify that whether the performance differences are due to structure(capacity) or function (control process) . To date, many researches show that the performance differnces result from children`s lack of control process rather than children`s small capacity. Children do not know how to lable the incoming information, how to rehearse to memorize the information in the long-term store, and how to organize the information already existed in their memory effectively, However, if children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specific task, they spontaneously develop adult-like memory strategy. This facts are due to their great knowledge base. Therefore, even though their sophisticated memory strategy can not compensate all their motor deficits, the role of teachers and coaches is to give children various movement experiences making their knowledge base bigger.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