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줄이기, 직장인의 건강증진 등을 위한 쿨맵시 캠페인에 대하여 범국민 인식 및 실천의 필요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착의실험을 통해 클맵시 권장복장 착용시의 생리적 반응 및 주관적 감각에 대해 분석하였다. 1차 실험은 두 복장, 즉 일반복장, 쿨맵시 권장복장에 대한 생리적 반응의 측정으로서, 두 환경기온 25℃와 27℃, 상대습도 50%R.H.에서 20대 성인남성 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일반복장은 긴팔 셔츠 정장바지 차림이었고 쿨맵시 권장복장은 넥타이 없이 반팔셔츠에 정장바지 차림이었다. 피험자는 30분간의 안정기를 가진 후 60분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사무실 작업과 유사한 컴퓨터 워드작업을 행하였고, 피부온, 직장온, 의복하 습도, 발한량, 온열감, 습윤감, 쾌적감 등을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반응에서 25℃ 일반복장의 경우와 27℃ 쿨맵시복장의 경우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5℃ 쿨맵시복장의 경우에는 저강도 작업이 지속되면 직장온의 저하가 우려되었으며 27℃ 일반복장에서는 고 평균 피부온, 고 발한량, 높은 온열감 등을 보였다. 2차 실험은 일반복장을 착용한 채 환경온도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키면서 권장 여름철 냉방온인 27℃에서 쿨맵시 권장복장을 착용한 경우의 피부온도를 발현시키는 실내 환경온도를 찾는 것이었다. 그 결과 권장복장 경우의 피부온을 나타내려면 일반복장의 경우에는 환경온을 2℃를 더 낮추어야만 하였다. 여름철 실내 환경온을 27℃로 높이고 쿨맵시 권장복장을 착용하는 것이 사무실의 장시간 저강도 작업 하에서는 피부온, 주관적 온열감이 우수하였다.
        4,300원
        2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 촉성재배를 위한 하계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 처리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실 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령지방 폐광의 자연냉풍온도는 12~14oC이였으며 이 온도를 주온 22oC, 야온 20oC로 조절하여 6월부터 8월까지 처리하 였다. 이 온도는 호접란 화성유도 기본 온도범위이었으 며, 이 때 외부 평균기온은 28.4~32.8oC로 나타났다. 화경 발생은 20일저온경과에서 3% 발생되었으며, 45일 경과에서 65% 이상 발생되었고, 90일 경과에서 100% 발생하였다. 화경장은 30일 경과에서 48.7cm로 짧았으며, 60일 경과에서 62.4cm로 길어져 처리기간이 길수록 화경장이 신장되었다. 화수장, 소화수도 같은 경향이었고, 화경 마디수는 6~7개로 저온 경과일수와 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는 45일 경 과에서 9월 15일에 가장 빨리 개화되었고 저온 경과 일수가 길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온기 폐 광 자연냉풍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화경 발생시기는 3개월, 개화기는 4개월 정도 촉진되었다.
        4,000원
        24.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cool-down exercise. The recovery times of dynamic strength after isometric and isotonic cool-down exercise were measured immediately post cool-down exercise, 30 seconds later and 60 seconds later in 30 normal, healthy men from 19 to 29 years, using dumbells(Model, Iron). The recovery time of dynamic streng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sotonic and isometric cool-down exercise using the Chi-square method (p<0.01). Sources of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rmined by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p<0.01). The isometric cool-down exercise significantly shortened the recovery time of dynamic strength. We suggest that the isometric cool-down exercise may be more effective than isotonic cool-down exercise in shortening the recovery time of dynamic strength.
        4,000원
        30.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하(低溫下)의 Growth chamber에서 근유균(根瘤菌)(R-12)를 접종(接種)한 Alfalfa의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작물(作物) 각부위(各部位)의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에 관하여 미국(美國) University of Nevada에서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들을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草長), 근장(根長) 및 전장(全長)에 있어서는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가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며 작물(作物)의 용적(容積)과 건물수량(乾物
        4,000원
        31.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場에 林間栽培함에 있어서 閉度의 多少가 牧草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자 리기데타 人工造林地의 閉度를 0(露光區), 25, 50, 75%로 調節하여 Orchard grass를 栽培하였던 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林地內의 Orchard grass의 葉面積은 各 刈取時期 모두 閉度 25, 0, 50, 75%區의 順位이며 特히 閉度 25%區는 0%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加傾向 이었다. 2. Orchard grass의 草長은 閉度가 높을수록
        3,000원
        32.
        202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시원함’의 의미를 지니는 날씨 표현 한국어 형용 사의 유의어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과 유의어 사전을 바탕으로 현행 한국어 교재의 형용사 출현 빈도를 통 해 유의어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의어를 대상으로 국립국어원의 한 국어 학습자 원시 말뭉치와 일기예보에서 사용된 유의어들의 형태와 빈도를 살펴봄으로써 현행 한국어 교재가 날씨 표현에 있어 언어 실 생활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한 국어 학습자들의 발화 양상은 학습자들의 학습 도구인 교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날씨를 나타내는 냉각 표현 형용사의 학습 도구 개 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33.
        202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eather factors and photosystem II activity (Fv/Fm), as a measure of photochemical efficiency, in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commonly planted on golf courses in Jeju, South Korea: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and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In all three turfgrasses, Fv/Fm was higher during late summer than during early summer. However, in late summer, Fv/Fm was significantly lower in perennial ryegrass than in the other two species. In early summer, Fv/Fm in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low temperature and extreme minimum temperature, whereas, in late summer, this parameter in Kentucky bluegrass and creeping bentgr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ve humidity, and in creeping bentgra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n high temperature, mean low temperature, and extreme maximum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ising low temperatures is favorable for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in early summer, whereas, in late summer, the lowering of high temperatures proves to be beneficial for creeping bentgrass, and raising relative humidity is conducive to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and creeping bentgrass.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urfgrasses on golf courses and sports fields.
        34.
        202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ompare the vitality among cool-season turfgrasses under summer weather conditions and to obtain information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urfgrasses in golf courses and sports fields.,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commonly planted on golf courses in the Jeju area was measured. The turfgrasses were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and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In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the chlorophyll index was low in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In creeping bentgrass, it remained low throughout the study. Fo tended to be low in the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in the three turfgrasses. However, the difference in Fo between late summer and early summer was markedly higher in perennial ryegrass than in Kentucky bluegrass or creeping bentgrass. Fm tended to be low in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without obvious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urfgrasses. Fv/Fm, a measure of photochemical efficiency, was also low in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in the three turfgrasses. However, Fv/Fm in late summer was mostly higher in Kentucky bluegrass and creeping bentgrass than in perennial ryegrass, indicating that the former are more resistant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of late summer. Furthermore, Kentucky bluegrass had a high chlorophyll index in late summer and would be most resistant to the harsh conditions of late summer.
        35.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ur daily life, we often use temperature terms to convey not only literal meanings which show physical temperature but also figurative meanings as an important way of communication. Among the temperature terms, this paper focuses on ‘cool’ and aims to investigate its usage and meanings in depth through a corpus of American newspapers. First, ‘cool’ is dealt with statistically in terms of grammatical functions and semantic aspects as a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of ‘cool’ found in the corpus of newspapers and explores how its literal meanings are metaphorically extended in detail as a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way, this study explains that the meanings of ‘cool’ are derived from our conceptualization and this conceptualization is primarily based on human physical and cultural experience.
        3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lettuce cultivar ‘Misun’ (Lactuca sativa L.) with wrinkled traverse narrow elliptic and deep red leaf, which has late bolting and high yield. It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Yeoreum Jeocgchima’ (deep red leaf color) and ‘Yeoreumdukseomjeokchukmyeon’ (high yield). The cross and selection for advanced lines had been done by the pedigree method from 2001 to 2008. The advanced lines were evaluated for yield and adaptability at several locations in Korea (Gangwon-do,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llabuk-do, Gyeongnam-do, and Jeju-do) from 2009 to 2011 year. The ‘Misun’ has gray seed color and traverse narrow elliptic leaves. The shelf-life of ‘Misun’ was four weeks longer than ‘Dukseomjeokchukmyeon’at 4℃. The anthocyanin content of ‘Misun’ (88.32 mg/100 g) was higher than that of ‘Dukseomjeokchukmyeon’(74.78 mg/100g). The BSL (latucin+8-deoxylactucin+lactucopicrin) content of ‘Misun’ (5.0 ug/g, DW) is lower than that of ‘Dukseomjeokchukmyeon’(12.0 ug/g, DW). Compared to ‘Dukseomjeokchukmyeon’, marketable yield of ‘Misun’(289 g per plant) was 11% higher than that of it, showed good yield in fall season cultivation and has particularly improved expression of red leaf color at high temperature cultivation in the field. Furthermore, its taste is better, more crispy, and sweeter than those of ‘Dukseomjeokchukmyeon’. Thus, this new cultivar ‘Misun’ can be suitable for cultivation in low temperature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season.
        37.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ol island intensity urban green space was investigated based in Dalsung Park, that is one of the largest parks in Daegu. Cool island intensity(CII), which is defined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green space and its surrounding built-up areas, shows time variations. A through-year measurement(2008-2009) of ground level air temperature revealed seasonal variation and relationship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of CII. The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park and the reference downtown Daegu was as same order as CII. The noontime CII is larger in summer than that in winter due to the leaf fall of the park trees. On the other hand, seasonal variation of nighttime CII is not so clear. The nighttime CII was larger under the stable atmosphere.
        39.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Penn-Al,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L.) Palmer Ⅱ, Kentucky bluegrass(Poa prantensi L.) Nassou,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Boonsai 2000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대한 칼륨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2003년 6월 7일부터 7월 21일까지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으며, 칼륨처리는 0me/L에서 8me/L 범위였다. Creeping bentgrassPenn-Al의 초장은 K 농도 2me/L 처리에서 가장 길었지만 K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분얼수도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Perennial ryegrassPalmer Ⅱ의 초장,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 분얼수 모두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Kentucky bluegrassNassou의 초장과 분얼수는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지만 무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Tall fescueBoonsai 2000의 초장,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 4me/L 처리에서 양호하였지만 무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분얼수는 K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신초 내 무기성분 함량은 K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K 함량이 많았고, 반대로 Ca과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N와 P는 큰 영향이 없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