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21.
        2021.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의 부모 중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장애자녀의 양육을 책임지는 부모가 겪는 다 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독교인 부모의 종교성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부 모의 종교 활동이 가족건강성 수준을 높여 장애자녀의 양육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극복 하고 건강한 가족의 삶을 도모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루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분석 방법에 따른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종교성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직접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공적종교성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상호존중과 수용에 정(+)의 영향을 직접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그동안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에서 나타난 사적 종교성에 의한 영향관계 연구와는 완전히 다른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공적 종교성에 해당하는 종교의식 및 종교의례의 참여, 종교단체활동 및 자원봉 사활동 등의 외적 종교활동에 의해 종교적 내면의 신심(信心)이 증가하는 의식화를 나타낸 것으로 매우 의 미 있는 연구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공적 종교성에 의한 신앙심의 고취 는 건강한 가족의 요소인 가족탄력성과 상호존중 및 수용을 높여 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공적종교성이 가족탄력성과 상호존중 및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그동안 종교성의 하위요인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신의 판단여부, 삶에서의 종교적 관여수준, 기도, 명상, 영적체험, 성경구절 외우기 등 의 내적종교 활동을 의미하는 사적종교성을 중심으로 한 영향관계 연구결과를 벗어난 새로운 가치를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공적종교성을 중심으로 한 종교성의 연구영역을 발견한 것으로 앞으로의 종교성 연구의 확대와 연구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가 건강한 가정을 구축하는데 종교성의 중요성을 시사한 것으 로 볼 수 있다. 즉 가족관계에서 협력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장애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어 려운 문제를 상호존중하고 수용하고 협력하여 함께 해결해 나가면서 위기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공적종교성에 의한 종교 활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자녀의 부모가 자신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종교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가족을 만 들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활동과 체험을 통해 내면의 긍정적 자아를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8,600원
        2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한 유치원 3곳에 재원중인 만 3,4,5세 부모 296명과 담임교사 17명을 선정하여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능력, 주도성, 창의성, 의사결 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리더십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놀이성을 인식하고 유아가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여 또래 집단 속에서 유능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6,100원
        2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survey to reveal the general perception of parents toward outdoor air quality, particulate matter (PM), and indoor air quality (IAQ) at schools where their children attend. A total of 1,030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here the age of their children ranged between 7 years to over 19 years of age. Each participant was either a member of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with a keen interest in air quality or an ordinary public panel member with less interest.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air quality, and parents believed that the outdoor and indoor air is extremely polluted.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y believe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pollution is due to particulate matter (PM) and school classrooms are the location where their children are exposed to PM the most. Based on our study,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prefer a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to reduce indoor air pollutants in schools. Our study should be referred to by school officials in order to maintain IAQ and as a way of addressing the concerns of parents who want to protect their children’s health.
        4,000원
        2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강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Q방법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자녀를 둔 부모 P표본 32명과 31개의 진술문을 표집 하여 Q소팅을 실시하였으며, QUANL-PC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양육강점에 관한 대상자의 인식을 살펴보았을 때 유아자녀를 둔 부모이기에 자녀와의 애정표현 등이 매우 중요하고 긍정적인 강점으로 보편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각 유형별로 자녀의 발달을 이해하고, 발달에 맞는 상호작용을 하고 자녀를 존중하는 것에서는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 유아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강점에 관한 4개의 인식유형이 도출되었다. 1유 형 과정중시 관찰강점, 2유형 이해중시 배려강점, 3유형 심미중시 도전강점, 4유형은 탐구중시 활동강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에 관련된 코칭프로그램 등을 설계 시에 강점인식을 바탕으로 설계해볼 수 있다는 것과 부모로서의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5,800원
        26.
        2020.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아의 기질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며 개인차가 있어 환경에 의해 변화가 가능하고, 유아의 사회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발달 특성상 유아에게 있어서 부모의 역할 중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는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일생동안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속성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유아의 기질과 유아가 최초로 만나게 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이해와 자녀 양육에 있어서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갖추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함에 있다.
        7,800원
        27.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를 바탕으로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에 대한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진행하여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고, 이어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아동기 부모 5인, 아동기 자녀를 둔 코칭 전문가 5인에 게 1차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7개 영역, 90문항을 구성한 후, 관련학과 교수 (코칭학과 교수 2인, 아동학과 교수 2인)와 부모교육전문가 1인을 포함한 총 5인에 의한 2차 타당도 검증으로 최종 88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척도 88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상 및 전라 지역 291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35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 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은 부모인식, 부모기술, 부모태도의 3개 영역과 자기이해역량, 자녀이해역량, 자기성장역량, 관계형성역량, 의사소통역량, 성장촉진역량, 목표수립 및 실행역량의 7개요인, 35문항으로 아동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6,400원
        28.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guidelines from the dietitians and parents’ perceptions in kindergarten.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39 dietitians and 320 parents in kindergarten of Sejong city from April 18 to May 14, 2019. Approximately, 48.6% of dietitians responded that the amount of food provided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age and weight of the infant. Both dietitians and parents responded the most to ‘to build the right eating habits’ as the reason for dietary guidance. As a guiding method for infants who sneaked unpleasant food, 62.9% of dietitians responded ‘teach them about the wrong behavior on the spot’, and 63.7% of parents stated ‘talk about wrong behavior later’. The necessity of linking the dietary guidance between kindergarten and the family was recognized by dietitians and parents. The most important content for the linkage of the dietary guidance was ‘correct eating manners and attitude’. The biggest problem in the dietitian's dietary guidance was the guidance on an unbalanced diet. Our results indicated differences in the dietary guidance contents of dietitians’ and par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Apparently,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link kindergarten with the family to provide correct and effective guidance for children.
        4,500원
        2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ating habits and preferences of foods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dentified the nutritional needs of parents to support their healthy eating habi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 survey of 100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conducted on their children’s snack intake, food preferences, and parents’ nutrition education needs. As a result, there were four times more boys than girls, and the body mass index differed according to age (p<0.001). Most children ate snacks more than once a day, and parents found that they wanted to develop nutritious snacks that could replace high-protein, low-calorie meals with the minimal use of additives. For the food prefer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ins and starches, vegetables/seafood and fruits, milk and dairy products (p<0.05), fats and sugars, and Korean fermented pastes (p<0.01) between the two age groups. Regarding whether nutrition education was required, many parents had a high demand for nutrition education (4.24±0.70),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was 3.62±1.09. The most important content to be dealt with in parent education was ‘Inducing a change in bad eating habits and behaviors’, which was the highest (63%), and mostly face-to-face education was preferred. In conclusion, young children require diet education, and older children need to focus on weight control and obesity.
        4,800원
        3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 일본인 다문화가정의 자녀양육 이해 및 국제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인의 자녀양육관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본 오키나와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2곳과 소학교 1곳의 학부모, 대학교 1곳과 공민관 1곳의 성인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인의 자녀에 대한 가치 인식에서 ‘자녀를 갖는 것은 인생에서 가치있는 일이다’란 인식이 4점 만점에 3.5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의 필요성은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 낫다’가 62.2%로서 자녀의 필요성이 약함을 보여주었으며, 아들과 딸에 대한 기대에서 ‘성격 및 태도’에 대한 기대가 각각 가장 높았다. 둘째, 일본인의 자녀양육인식에서 자녀에 대한 정서적 지원은 ‘평생 동안 언제라도’가 56.4%로서 가장 높았고, 경제적 지원은 ‘대학졸업 까지’가 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영유아기 시기일 때 바람직한 경제활동상태에 대한 인식은 ‘아버지만 취업하고, 어머니는 집에서 자녀양육’이 5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본인의 자녀양육태도에서 자녀훈육태도는 ‘자녀가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칭찬해 주기’가 4점 만점에 3.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훈육태도를 보였다. 좋은 부모의 조건 은 ‘자녀와의 의사소통’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양육의 어려움으로는 ‘자녀양육과 일의 병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본인의 자녀양육관을 규명하여 한국인과 비교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6,400원
        31.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라 놀이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 600명을 대상으로 놀이 인식 질문지, 양육 효능감 척도, 양육행동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 회수된 설문지 490부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아동 및 놀이 관련 직업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놀이 시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놀이 즐거움과 중요도 는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 어려움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결론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인식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놀이 인식을 위한 교육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4,000원
        3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모의 기질과 양육방식, 아동의 기질 조화 및 부조화가 영유아의 이후 문제행동이나 보육시설 적응,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기에 부모가 어떠한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유아의 적응과 사회성 발달에 큰 변화가 있다. 영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경험이 주 양유자인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므로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영유아의 사회적 적응, 유능성, 자기확신, 사회성 발달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갈수록 영아의 어린이집 입소율이 높아지고 있고 입소 시작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볼 때, 부모의 기질, 양육방식에 의한 영유아의 문제행동, 사회성 발달 등으로 이어지는 좀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8,000원
        33.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는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문화적 교류가 많아지고 급속한 경제발전과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인구 사회학적 변화를 불어오게 되었으며, 다문화 가정의 비율도 높아가고 있다. 다문화 가정 부모의 민주적 양육참여는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성공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준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에 관한 아버지의 지원은 영·유아자녀에게는 바른 인성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 정서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올바른 성장과 다문화 가정 부모의 올바른 양육태도에 양육방법에 도움을 주고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6,300원
        3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 성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들의 코칭역량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분석하여 청소년 부모코칭역량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역량, 청소년 부모역량, 코칭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코칭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청소년 부모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여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예비문항 121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청소년 부모 20인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04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정리된 예비문항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경기, 충남, 경북 지역의 청소년 부모 20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3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수렴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성장역량, 자녀이해역량, 경청스킬역량, 실행촉진역량, 목표수립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5개 요인 23개 문항의 청소년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6,100원
        36.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저소득층 부모의 감사증진 프로그램 참여와 변화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서 저소득층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부모교육인 감사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감사증진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금요일 저녁에 실시되었고, 매일 온라인 감사일지 작성이 병행되었다. 2015년부터 3년째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가자들은 대인관계에서 변화를 경험하였다. 대체로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수용적으로 변화하였고, 배우자와의 관계에서는 상대방의 입장에 대해 공감하고 배려하는 양상을 보였다.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강압적이거나 일방적인 소통방식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참가자들은 자신과 삶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기존에는 환경적 어려움으로 위축되어 자신감이 결여되고, 분노나 우울 등 부정적 정서를 느끼고 있었지만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감사함을 느끼며, 자존감과 자신감을 얻고 있었다. 그리고 기존에는 사안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먼저 하였다면, 프로그램 참가과정에서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을 보게 되거나,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등 긍정성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감사증진 프로그램 참여 의의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6,400원
        3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그림책 중심의 교사협력지원 부모교육에서 부모가 가지는 경험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부모가 가정과 원의 연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회를 갖고 부모역할과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들이 그림책 활동을 부모교육으로 계획하고 직접 실행한 실행연구이다. 부모교육에 참여한 학부모 9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소그룹 토의와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역할의 부담감과 모호함으로 인한 부모역할의 어려움 표현, 둘째, 그림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자녀와의 놀이에서 그림책이 주는 다양한 놀이로서의 매체 인식, 셋째, 교사협력지원에 대한 기대와 만족으로 자녀의 발달을 가장 잘 이해하는 교사와의 만남이 다각적인 정보제공과 신뢰로운 관계 구축의 기회, 넷째, 부모교육에 대한 재인식으로 평면적이고 일회적인 지식 위주의 교육형태에서 더 나아가 참여형 부모교육의 긍정적인 효과 인식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협력지원 부모교육이 부모가 느끼는 부모역할의 어려움을 기관에서 참여형 부모교육의 실행으로 적극적으로 돕고, 공감하며 이해할 때 영유아의 긍정적 발달을 돕는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교사 협력지원의 부모교육은 가정과 원을 연계시키는 효과적인 부모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 할 수 있다.
        6,000원
        38.
        201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유아교육기관의남자유아교사가담당하는학급의부모들이학기초에남자유 아교사에대하여어떤인식을가지고있는지, 남자유아교사가자녀의학급담임교사를담당 한 후에 어떠한변화가 있는지를비교분석함으로써 남자 유아교사의유아교직 적응도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남자 유아교사의 필요성, 남자 유아교사의 역할 및 자질을 유아교직 적응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제공하는데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남자유아교사 가학급담임교사를하는 유아교육기관에자녀를맡기는11개 유아교육기관의학부모312명 이며, 연구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백분율(%)을 구하였고 학부모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검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 남자 유아교사 에대한사회인식, 학부모의인식변화를위해교사교육, 부모교육등의연구를통해인식변 화가 필요하고 남자도 유아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유아교육이 양성교육을 지향하는 곳이 되도록 노력해야함을 시사해준다.
        5,200원
        3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근시정도에 따라 MC lens, MyoVisonlens 그리고 Single Vision lens를 착용한 그룹들이 각각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한 안경원의 고객 중 2010년 1월에서 2016년 12월 사이에 방문한 7세에서 20세 사이 안질환이 없는 근시안 MyoVision 152안, MC lens 86안, Single Vision lens 270안을 대상으로 등가 구면도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의 1년간 평균값 변화를 SPSS ver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각 그룹별로 처음 방문했을 때와 1년 후 재방문 했을 때의 그룹 내 차이를 Paired T-test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이후 One-Way ANOVA(Post Hoc; Bonferroni) 분석을 통해 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룹간 비교에서는 MyoVision과 MC lens가 Single Vision 보다 근시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굴절이상도에 따라 MyoVision과 MC lens의 근시 완화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 모두 굴절 이상도가 정상일 때는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변화는 -0.35±0.05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값이 나타났다. 아버지만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C lens는 Single Vision 보다 -0.36±0.14D만큼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만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은 -0.37±0.06D의 변화를 보였고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은 -0.38±0.08D가 변화하여 각각 Single Vision lens에 비해서 근시를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모모두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와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각각 -0.28±0.07D, -0.31±0.07D로 MyoVision 과 MC렌즈 모두 통계적으로 유희한 변화값을 보여 근시진행에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각 그룹 내에서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모두 근시를 완화시켜주는 기능에 있어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였으나 그룹 간 비교에서는 MyoVision과 MC lens가 Single Vision보다 근시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PEP-NKMF (Parents Empowerment Program in North Korea Migrant Family). A total of 20 teenager North Korean defectors from an S school in Seoul city and five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at this school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6 to 31, 2017.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Nvivo 11.0, which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for forming nodes by tree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requested the family relationship competence, adaptation, interest and love from their parents.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reques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value and the practical l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the parental competence building program, which is to be provided to North Korean defector parents, are analyzed based not on theories but on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and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7,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