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2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pick-up type pulse crop harvester for harvesting sprout bean, its pick-up and discharging grain loss ratios, grain quality such as whole grain ratio, damaged grain ratio, unthreshed grain, and foreign material ratio in grain tank, germination rate of threshed grain, and theoretical field capacity of the harvest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engine speeds of 2000, 2400 and 2800 rpm and harvesting speeds of 0.6, 1.0 and 1.4 m/s. It is considered that the harvester showed optimum performance at the engine speed of 2800 rpm and the harvesting speed of 1.0 m/s, and then average pick-up grain loss ratio of 2.7%, discharging grain loss ratio of 0.5%, whole grain ratio of 99.3%, damaged grain ratio of 0.2%, unthreshed grain ratio of 0.0%, foreign material ratio of 0.2%, and germination rate at 8 days after seeding of 72.8% were shown. It is considered that the harvester has lower grain loss and higher grain quality than the imported bean combines. And also as it could harvest 3 rows of cut and dried sprout bean crop width of which was about 2 m, its effective field capacity was estimated for about 50 a/h.
        4,000원
        22.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집형 자주식 두류 콤바인 개발을 위하여 시험용 수확기를 설계·제작하여 예취·건조된 팥을 대상으로 수확작업 성능을 분석하였다. 수확시험은 수확기의 엔진 회전속도 2000, 2400, 2800rpm, 작업속도 0.6, 1.0, 1.4m/s의 설정에 따라 수집 손실비율, 배진 손실비율 등 수확손실과 수 확된 곡물 품질로서 완전립 비율, 손상립 비율, 미탈곡립 비율, 이물질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작물 재배 폭과 작업속도를 고려한 이론작업능률을 계산·추정하였다. 시험기는 운전조건이 엔진 회전속도 2400rpm, 작업속도 1.0m/s일 때 가장 좋은 작업 성능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때 수집 손실비율 약 3.9%, 배진 손실비율 약 0.5%, 총 손실비율 약 4.4%, 완전립 비율 약 97.0%, 손상립 비율 약 1.8%, 미탈곡립 비율 약 0.0%, 이물질 비율 약 0.4%의 성능을 보여 국외 보통형 콤바인 보다 곡물 손 실이 적고, 수확 곡물의 품질도 높아 우수한 작업 성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기는 팥의 수확시험 조건이 불량한 상태에서도 재배 폭이 약 2m인 3조 예취·건조 팥을 약 1.0m/s의 작업속도로 수집·탈곡할 수 있어서 이론 작업능률은 약 70a/h 정도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심장 MRI검사에서 cardiac infarct volume은 심장의 생존력 평가에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cardiac infarct volume의 측정값은 검사기법과 측정 방법에 따라 오차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D IR-TFE와 2D PSIR의 두 가지 검사기법에서 cardiac infarct volume의 측정에 사용되는 Semi automatic 방법과 Manual 방법을 FWHM(Full Width at Half Maximum) 방법과 비교하여 cardiac infarct volume 측정에 보다 유용한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Cardiac infarct이 있는 환자 30명(남성 21명, 여성 9명, 평균연령 5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Philips Achieva 3.0T TX 장비이고, 신호 수집은 SENSE Cardiac 32ch 코일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검사기법은 2D IR-TFE와 2D PSIR이다. 영상변수는 2D IR-TFE에서 TR 4.59ms, TE 1.44ms, TI 240~280ms, FA 15°, FOV 320cm2, Matrix 312×250과 2D PSIR에서는 TR 6.18ms, TE 3ms, TI 240~280ms, FA 25°, FOV 320cm2, Matrix 256×190을 사용하여 short axis를 Breathhold기법으로 검사하였고, 획득한 영상을 FWHM 방법, Semi automatic 방법, Manual 방법으로 cardiac infarct volume을 측정하였다. 먼저, FWHM 방법으로 측정한 cardiac infarct volume 값이 2D IR-TFE와 2D PSIR기법 간에 차이가 있는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 평가 후, 각 검사기법의 FWHM(infarct myocardium SI×0.5) 방법을 기준으로 Semi automatic 방법(mean of normal myocardium SI+6SD)과 검사자가 직접 cardiac infarct volume을 구하는 Manual 방법을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여 측정 방법에 대해 비교ㆍ분석하였다. 결 과 : 2D IR-TFE기법에서 cardiac infarct volume의 측정값(mean±SD)은 FWHM 방법 33.8±35.81, Semi automatic 방법 35.83±38.00, Manual 방법 28.41±34.96으로 측정되었고, 2D PSIR기법에서 cardiac infarct volume 측정값은 FWHM 방법 33.56±35.80, Semi automatic 방법 32.04±38.39, Manual 방법 25.41±34.00으로 측정되었다. FWHM 방법에서 2D IR-TFE기법과 2D PSIR 기법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검사기법 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0.0959). FWHM 방법에서 2D IR-TFE 기법과 2D PSIR 기법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검사기법 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p=0.0959). Bland-Altman plot을 이용한 비교 분석에서 2D IR-TFE 기법의 FWHM 방법과 Semi automatic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difference 95% CI값이 0.03~4.04 으로 두 방법에 대한 차이가 유의하였고, FWHM 방법과 Manual 방법의 비교에서 difference 95% CI값 또한 3.87~6.90으로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Semi automatic 방법과 Manual 방법의 비교에서 difference 95% CI값 또한 5.34~9.49으로 차이가 유의하였다. 2D PSIR 기법의 FWHM 방법과 Semi-automatic 방법에서 difference 95% CI값은 -1.31.~4.33으로 두 측정 방법에 대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FWHM 방법과 Manual 방법의 비교에서는 difference 95% CI값이 5.61~10.68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Semi automatic 방법과 Manual 방법의 비교에서는 difference 95% CI값이 3.97~9.28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000원
        2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시 확산강조영상(diffusion-weighted imaging, DWI)에서 발생하는 심장과 폐에 의한 불수의적 움직임 인공물(involuntary motion artifact)과 Reduced-FOV EPI 기법에서 발생하는 둘러겹침 인공물(aliasing artifact)을 추가적인 사전 포화 기법을 사용하여 이를 저감화시키고 영상의 질을 개선하여 최적화된 사전 포화 펄스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08월 0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유방의 수술 전 검사로 내원한 비만 여성 환자 38명(평균 연령: 52.50 ± 12.87세)을 대상으로 동일 환자에게 사전포화 펄스의 수와 위치를 달리 적용하여 확산강조영상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유방 검사에 최적화된 3.0T (Tim Trio: Siemens Medical solutions, Erlangen, Germany)와 고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유방 전용 코일(8 channel breast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 변수는 반복 시간(TR): 5200 ms, 에코 시간(TE): 74 ms, 화소 배열 수(matrix): 192 × 80, 여기 횟수(NEX): 9, 절편 두께(thickness): 5 mm, 영상 영역(FOV): 380 ± 20 mm, FOV-phase: 52.6(%), saturation pulse thickness: 150 mm, 지방 소거 기법(fat suppression): SPAIR를 사용하였다. 영상의 평가와 분석은 정성적 분석, 정량적 분석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aired T-test 와 Wilcoxon rank test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정성적 분석의 경우 확산경사계수(b-value) 0에서 사전 포화 펄스를 1개 사용 할 경우(1 saturation pulse band, 1 S. P. B)는 2.63 ± 0.59, 2 S. P. B의 경우 3.21 ± 0.60, 확산경사계수 1000에서 1 S. P. B의 경우는 2.52 ± 0.64, 2 S. P. B는 3.06 ± 0.66, 현성확산계수(ADC)에서 1 S. P. B에서는 2.67 ± 0.55, 2 S. P. B에서는 3.10 ± 0.53을 나타내었다. 정량적 분석의 경우 확산경사계수 0에서만 평가를 하였다. 1 S. P. B에서 신호 대 잡음비는 병변 부위(ROIlesion)에서 226.39 ± 124.29, 병변 근접 부위(ROInear lesion)에서 160.75 ± 103.71, 지방(ROIfat)에서 19.34 ± 13.02 을 나타내었고, 대조도 대 잡음비의 경우는 병변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병변과 병변근접 부위(CNRlesion-near lesion)는 71.55 ± 81.30, 병변과 지방(CNRlesion-fat)은 212.96 ± 113.91를 나타내었다. 2 S. P. B에서 신호 대 잡음비는 병변 부위에서 261.93 ± 127.59, 병변 근접 부위에서 182.82 ± 114.80, 지방에서 23.32 ± 14.52, 대조도 대잡음비는 병변을 기준으로 병변과 병변 근접 부위는 79.12 ± 87.03, 병변과 지방은 238.59 ± 121.84를 나타내었다. 사전 포화 펄스의 추가적인 사용으로 병변에서 변화율이 15.69%, 병변 근접 부위에서 변화율은 13.72%, 지방에서 변화율은 20.63%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조도 대 잡음비의 경우는 병변과 병변 근접 부위의 경우 10.58%, 병변과 지방 부위의 경우 12.03%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 론 : 사전 포화 펄스의 추가 적용으로 확산강조영상 획득시 위상 부호화 방향(phase encoding direction)으로 발생하는 불수의적 움직임 인공물과 둘러겹침 인공물이 저감화되었고, 질환 부위와 정상 조직 간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영상의 질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가적인 사전 포화 펄스 기법과 Reduced-FOV 기법을 변형하여 적용을 한다면 영상의 개선과 재검사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4,000원
        25.
        2015.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mospheric pressure plasma is used in the biological and medical fields. Miniaturization and safety are important in the application of apply atmospheric plasma to bio devices. In this study, we made a small, pocket-sized inverter for the discharge of atmospheric plasma. We used pulse power to control the neutral gas temperature at which the, when plasma was discharged. We used direct current of 5 V of bias(voltage). The output voltage is about 1 to 2 kilo volts the frequency is about 80 kilo hertz. We analyz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ic plasma using OES(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and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 of pulse power. By calculating of the current voltage characteristics, we were able to determine that, when the duty ratio increased, the power that actually effects the plasma discharge also increased. To apply atmospheric plasma to human organisms, the temperatu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e were a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by modulating the pulse power duty ratio. This means we can use atmospheric plasma on the human body or in other areas of the medical field.
        4,000원
        2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antitative analysis of termites damage is important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wooden cultural heritage buildings, because termites makes cavities and decreases the section area of wooden structural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range and spread of termites damage in the wooden structural members by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Ultrasonic pulse velocity has been used as one of non-destructive test to analysis the internal defect by using difference velocity between medium material and cavity. This method would be effective to analysis termites damages. From the result of the ultrasonic velocity test, the loss rate of area effected by termites damage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ultrasonic velocity. And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loss rate of area from by termites damage by using regression equation in the case of structural member of fine tree.
        4,000원
        27.
        2014.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deposition conditions on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pper thin films. The microstructure of electroplated Cu films was found to be highly dependent on electrodeposition conditions such as system current and current density, as well as the bath solution itself. The current density significantly changed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electroplated Cu films in a DC system, while the solution itself had very significant effects on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a pulse-reverse pulse current system. In the DC system, polarization at high current above 30 mA, changed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Cu films from (220) to (111). However, Cu films showed (220) preferred orientation for all ranges of current density in the pulse-reverse pulse current system. The grain size de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in the DC system while it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in the pulse-reverse pulse current system. The sheet resista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in the DC system due to the decreased grain size.
        4,000원
        3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traditional genome sequencing projects involving infectious viruses include culturing and purification of the virus. This can present difficulties as an analysis of multiple populations from multiple locations may be required to acquire sufficient amount of high-quality DNA for sequence analysis. The electrophoretic method provides a strategy whereby the genomic DNA sequences of the Korean isolate of Pieris rapae granulovirus (PiraGV-K) were analyzed by purifying it from host DNA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thus simplifying sampling and labor time. The genomic DNA of infected P. rapae was embedded in agarose plugs, digested with a restriction nuclease and methylase, and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was used to separate PiraGV-K DNA from the DNA of P. rapae, followed by mapping of fosmid clones of the separated viral DNA. The double-stranded circular genome of PiraGV-K encodes 120 open reading frames (ORFs), covering 92% of the sequenced genome. BLAST and ORF arrangement showed the presence of 78 homologs to other genes in the database. The mean overall amino acid identity of PiraGV-K ORFs was highest with the Chinese isolate of PiraGV (~99%), followed up with Choristoneura occidentalis ORFs at 58%. PiraGV-K ORFs were grouped, according to function, into 10 genes involved in transcription, 11 involved in replication, 25 structural protein genes, and 15 auxiliary genes. Genes for Chitinase (ORF 10) and cathepsin (ORF11), involved in the liquefaction of the host, were found in the genome. The recovery of PiraGV-K DNA genome by pulse-field electrophoretic separation from host genomic DNA had several advantages, compared with its isolation from particles harvested as virions or inclusions from the P. rapae host. We have sequenced and analyzed the 108,658 bp PiraGV-K genome purified by the pulsed field electrophoretic method. The method appears to be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genomes of large viruses. The chitinase, identified by PiraGV-K genome sequence, was functionally characterized by quantitative PCR, Western blot analysis, immunohistochemistr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31.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회분식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에 의한 막걸리의 비가열 살균 공정 적용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막걸리의 초기 균수는 약 2×108 CFU/mL로 전기장의 세기와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사멸율은 증가하여, 30 kV/cm, 256 pulse 처리하였을 경우 약 2 log 정도의 사멸율을 나타내었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과 열을 병합처리하였을 경우 50oC에서 20 kV/cm, 256 pulse 처리를 한 후 8 log의 높은 사멸율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농도를 달리하였을 경우 알코올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은 사멸율을 나타내어 12%의 알코올 농도에서 4.8 log의 사멸율을 보였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한 막걸리를 4oC와 30oC에서 4주간 저장하였을 경우 무처리막걸리에 비하여 4oC에서는 pH, 산도, 미생물의 수에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30oC에서도 적정산도나 미생물의 증가가 일정 수준이하로 억제되어 막걸리의 비가열 살균 공정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4,000원
        3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cellent electron transport properties with enhanced light scattering ability for light harvesting have made well-ordered one dimensional TiO2 nanotube(TNT) arrays an alternative candidate over TiO2 nanoparticles in the area of solar energy conversion applications. The principal drawback of TNT arrays being activated only by UV light has been addressed by coupling the TNT with secondary materials which are visible light-triggered. As well as extending the absorption region of sunlight, the introduction of these foreign components is also found to influence the charge separation and electron lifetime of TNT. In this study, a novel method to fabricate the TNT-based composite photoelectrodes employing visible responsive CuInS2 (CIS) nanoparticles is presented. The developed method is a square wave pulse-assisted electrochemical deposition approach to wrap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a TNT array with CIS nanoparticles. Instead of coating as a dense compact layer of CIS by a conventional non-pulsed-electrochemical deposition method, the nanoparticles pack relatively loosely to form a rough surface which increases the surface area of the composite and results in a higher degree of light scattering within the tubular channels and hence a greater chance of absorption. The excellence coverage of CIS on the tubular TiO2 allows the construction of an effective heterojunction that exhibits enhanced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
        4,000원
        34.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기추진선박의 추진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는 3상 정류기의 입력전류는 다양한 저차 고조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고조파 저감을 위해서 대전력이 필요한 대형 선박에 사용되는 전력변환장치는 12펄스 출력의 정류기가 현재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12±1차의 고조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속도 및 토크 제어기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직접토크제어기법의 경우에는 토크 리플이 심하고 전동기의 입력전류는 인버터의 스위칭에 의해 고조파를 크게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토크제어기법을 이용하는 전기추진시스템의 12펄스 정류기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여 고조파를 저감하고 토크 제어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실선시스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4,000원
        3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학합성 농약을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방제법 개발을 위해 1, 2, 4%의 도꼬마리 열매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하여 팥바구미 살충력을 실험하였다. 실험한 추출 농도에서 곤충 치사율, 기피성, 산란율과 성충 우화 및 팥의 피해 억제에 효과를 보여 주었다. 4%의 추출물은 처리 후 2일 후에26%의 치사율과 처리 후 3시간에 53.3%의 기피율을 각각 보였다. 또한 4%의 추출물을 팥과 섞었을 때 가장 낮은 산란율(113.7/암컷)과, 성충 우화율이 가장 많이 억제(37.0%)되었고 종자 손상을 가장 적게(42.3%)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도꼬마리 추출물이 저장곡물을 팥바구미로부터 보호하는 종합적 방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3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많이 양식되는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Ueda)에 대하여 방사무늬김 엽체의 형태적 특성, 탄소 및 질소 성분의 농도, 안정동위원소 비값, 광합성효율을 방사무늬김 양식이 이루어 지고 있는 남서해역에서 조사를 하였다. 방사무늬김의 형태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평균 엽장은 11.6~16.3 (13.8) cm, 평균 엽폭은 4.6~6.3 (5.4) cm이었고, 단위면적당 방사무늬김 엽체의 평균 엽중량은 1.1~2.6 (1.86) g DW m-2이었다. 단위면적당 Chl a 농도는 2.18~17.77 (평균 9.65) mg DW Chl a m-2이었다. 방사무늬김의 탄소 농도는 201~317 (240) mg DW g-1이었고, 질소 농도는 39.8~50.0 (43.5)mg DW g-1이었으며, C/N비는 5.0~6.7 (5.5)이었다. 방사무늬김의 방사성 안정동위원소비 중에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δ13C=-25.6‰ 에서 δ13C=-24.0‰ (평균-24.7‰ )의 값을 보였고,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δ15N=1.3‰ 에서 δ15N=4.1‰ (평균 2.1‰ )의 값을 보였다. PAM에 의한 해조류의 광합성 특성은 광합성 활동의 지시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는 Diving-PAM을 이용하여 각 정점 해조류인 방사무늬김의 광합성율을 분석하였다. 최대양자수율은 0.46~0.55 (평균 0.52)로서 최대양자수율의 변동은 정점간 큰 차이는 없었다. 최대상대전자전달률은 4.71~5.84 (평균 5.33) μmol electrons m-2 s-1로서 최대양자수율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기울기 (α)는 0.027~0.045 (평균 0.036)을 보였고, 전자전달을 위한 포화광은 지역에 따라서 일부 차이를 보였으나 139~180(156) μmol photons m-2 s-1이었다. 남서해역 방사무늬김엽체의 탄소 및 질소 농도와 광합성 효율은 지역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광합성 특성은 낮은 최대양자수율과 최대 상대전자전달률로 인한 낮은 광합성 효율이 나타났다.
        4,000원
        40.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독거노인 또는 부정맥 환자의 24시간 응급감시 모니터링을 위해 광소자를 이용한 독거노인 위험감지형 맥박센서를 설계했다. 투과형의 광소자를 사용한 맥박 측정 센서는 상용 기술이지만, 이것은 의료 기관에서 환자나 환자 진료 모니터링을 위한 일회성 측정 방법이다.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무구속의 지속적인 측정이 가능한 센서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내구성과 편의성, 유동성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유지해야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우리는 손목시계 타입의 독거노인 위험감지형 맥박 센서를 설계하고, 실험 결과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