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

        2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Wonhwang” was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in 2005. Wonhwang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Camp and Myeongjunamulkong.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Iksan45 were carried out from 2001 to 2005. This cultivar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ith purple flower, grayish brown pubescence, grayish brow hilum, lanceolate leaflet shape and small seed size (10.0 grams per 100 seeds). The maturity date of Wonhwang is 7 days earlier than that of the check variety, Pungsan. It has good seed quality for soybean-sprout, and resistance to lodging. It has also been identified to have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SMV) and necrotic symptom(SMV-N). The average yield of “Wonhwang” was 2.80MT/ha, which was higher by 4% than “Pungsannamulkong” at the regional yield trials.
        2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배축신장성과 콩나물 생장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기를 달리하여 생산된 원료콩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온도별 콩나물의 배축신장성은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그 차이가 컸다. 2. 콩나물의 배축장과 근장은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7월 5일 파종이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보다 길었고, 배축굵기는 도레미콩이 가장 굵었으며 한남콩이 가늘었다. 전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고 은하콩이 가장 길었으며, 다원콩이 가장 짧았다. 3. 콩나물의 부패립율과 불완전발아립율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패립율은 다원콩이 가장 낮았고 소명콩이 가장 높았으며 불완전발아립율은 풍산나물콩이 가장 낮았고 한남콩이 가장 높았다. 4. 콩나물 수율은 2001년에 생산된 종실에서 더 높았고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은하콩과 도레미콩이 높았고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수율의 변이가 적고 안정적인 품종은 풍산나물콩과 소명콩이었다. 5. 콩나물 수율과 제형질과의 관계는 종실의 수분흡수율이 낮고 치상 1일과 4일후의 발아율이 높은 것이 콩나물 수율이 높았으며, 콩나물 수율과 배축장, 근장 및 개체당 생중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2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3 립 협이 80.9~77.5% 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2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나물콩을 생산하기 위하여 isoflavone함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고, 재배적 방법에 의한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의 증진 가능성을 조사하는 한편, 콩나물의 재배 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별 isoflavone 함량의 경시적 변화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나물콩 21품종의 종실에 함유된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은 756~1,682ug/g 으로 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특히 익산 13호(1,682ug/g) 및 남원재래(1,500ug/g) 에서 함량이 높았다. 2. Daidzein 함량은 익산 13호(924ug/g) 및 IT 160996 (828ug/g) 에서 높았으며, genistein 함량은 익산 13호(758ug/g) 및 남원재래(756ug/g) 에서 높았다. 3. 풍산나물콩의 영양생장기에 식물생장조절제인 안티폴(2,472ug/g) 과 후라스타(2,052ug/g) 를 처리하였을 때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이 대조군(1,800ug/g) 에 비하여 각각 37%와 14% 증가하였다. 4. 은하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자엽의 경우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3일까지 증가하다 4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콩나물 재배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5. 풍산나물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은하콩과 달리 자엽의 경우에는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1일에 5,154ug/g 까지 증가했으나 재배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6. 콩나물재배 6일째부터 발생한 잔뿌리에는 isoflavone 함량이 4,416ug/g~5,232ug/g 으로 매우 높았다. 7. 고기능성 나물용 콩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이 높고, 콩나물이 식용으로 이용되는 시기까지 isoflavone함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품종의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콩나물생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은 5월 25일 파종이 6월 15일과 7월 5일 파종에 비하여 높았고, 풍산나물콩이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이 가장 낮았으며 한남콩이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2. 조단백질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였고,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에서 다원콩이 가장 높았고 7월 5일 파종에서는 풍산나물콩이 가장 높았다. 조지방함량은 파종기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소명콩이 가장 높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3. Isoflavone의 aglycone 함량은 6월 15일 파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5일파종이 많았으며, 5월 25일파종이 적었고, 품종간에는 소명콩이 가장 많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4. 종실의 품질향상을 위한 나물콩의 파종기는 지나친 일찍 또는 늦게 심는 것 보다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7.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패는 콩나물 재배에서 극복하여야 할 문제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나물 재배에서 부패완화용으로 식품첨가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은하콩, 풍산나물콩 및 오리알태를 공시품종으로 식품첨가물의 종류(acetic acid, propionic acid)와 농도(0, 0.1, 0.2%)가 콩나물의 생장과 형태, 병반 형성, 처리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화가 가능한 하배축 길이가 4cm 이상의 비율은 오리알태에서 가장 높고 은하콩에서 가장 낮았고, 식품첨가물 종류간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 하배축은 은하콩과 오리알태에 비하여 풍산나물콩에서 길었으며, 하배축 중간부분은 풍산나물콩과 오리알태에 비하여 은하콩에서 굵었다. 그러나 이들 하배축 길이와 직경은 식품첨가물 종류와 처리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생산수율과 관련된 개체당 전체 생체중은 은하콩과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오리알태에서 많았던 반면, 식품첨가물 종류와 처리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자엽에 형성된 병반수는 식품첨가물 종류간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이들을 처리하지 않는 것보다는 처리할 경우 감소하였다. 5. 처리비용을 고려할 경우 acetic acid보다는 propionic acid를 이용하여 종자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8.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Jangki” was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and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05. Jangki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Eunhakong and MS91088.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29.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나물 생산은 관수방법에 따라 상면살수식과 하면담수식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수방법이 생산수율과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준저리를 공시재료로 상면살수와 하면담수 방식으로 관수방법을 달리하여 콩나물의 생장, 형태, 색도, 전단력과 재배용기내의 온도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질과 관련된 세근의 형성은 상면살수 방식보다 하면담수 방식으로 재배할 경우 많았다. 2. 하배축과뿌리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는 관수방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배축은 상면살수 방적에서 길었던 반면, 뿌리는 하면담수 방식에서 길었다. 하배축 중간과 hook 직경은 상면살수 방식에 비하여 하면담수 방식에서 굵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개체당 자엽, 뿌리 및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은 관수방법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하배축의 생계중과 건물중은 상면살수 방식보다는 하면담수 방식으로 재배할 경우 많았다. 4. 재배통 내의 온도는 재배기간 내내 하면담수 방식보다는 상면 살수 방식에서 높았으며, 두 관수방법간 온도 차이는 재배 3일 이후부터 계속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30.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나물의 생산과정에서 야기되고 있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물에 침종하는 수침(水浸)을 이용한 종자정선과 0.1% acetic acid에 2분간 실시한 종자소독이 콩나물의 발아와 생장, 형태 및 생산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에 뜨는 부유 종자의 비율은 5분간 물에 침종시킨 종자를 건져 40분간 aeration 시켜 다시 물에 침종시킬 경우 가장 높았다. 2. 상품으로 판매가 가능한 하배축 길이가 4cm이상의 비율은 은하콩에서는 水浸(水浸)과 acetic acid 처리간 차이가 없었던 반면, 풍산 나물콩과 준저리에서는 acetic acid 처리에 비하여 가결 수침 처리(水浸 處理)에서 높았다. 3. 세근형성 비율과 개체당 세근수는 은하콩과 준저리에서는 수침 처리(水浸 處理)에서, 풍산나물콩은 acetic acid 처리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많았다. 4. 개체당 전체생계중은 은하콩과 풍산나물콩에서는 수침 처리(水浸 處理) 보다는 acetic acid 처리에서 많았던 반면. 준저리는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준저리를 이용한 대량생산 체계에서의 생산 수율은 수침(水浸)을 이용한 종자정선과 acetic acid를 이용한 종자소독간에 차이가 없었다.
        31.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Sokang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Namhaekong and Camp by the soy-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were carried out from 2000 to 2004. Sokang had a determinate growth habit with white flower,grayish brown pubescen
        3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물용 콩 6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원료콩의 수분흡수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실 수분흡수율은 파종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한남콩은 높았으나 다른 품종들은 큰 차이가 없었다. 발아율은 5월 25일 파종보다 늦어질수록 높았고, 품종간에는 풍산나물콩, 은하콩, 도레미콩과 소명콩이 치상 2일 후 90~% 이상 이었으며 다원콩과 한남콩은 낮았다. 일반적으로 종자의 발아율 검정은 치상 후 7일간 조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콩나물 원료콩의 발아율 검정은 25±1℃ 에서 3일간의 발아율로 함이 적합하다 하겠다.
        3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lipoxygenase 결여 품종인 진품콩2호와 lipoxygenase 가 존재하는 광안콩, 소백나물콩, 푸른콩의 교배조합 내의 각 계통의 lipoxygenase 유무를 확인하고 activity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lipoxygenase 결여 나물콩 육성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콩나물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여부,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발아율은 대비품종과 계통들간의 큰 차이는 없었지만 정상 발아 개체율 에서는 계통이 63~% 로 낮았으며 T50은 1일로 소백나물콩, 푸른콩(0.6일)보다는 느렸으나 진품콩2호, 광안콩보다는 빨랐다. 2. 콩나물 생육은 치상 후 2일부터 콩나물 전체길이, 배축길이, 배축 직경을 조사한 결과 진품콩2호와 푸른콩 교배 조합 계통의 4537계통(콩나물 전체길이 13.9cm, 배축 길이: 7.3cm, 배축 직경: 2.2mm)이 대비품종들보다 높은 신장성을 보였다. 3. 콩나물의 물성은 치상 후 96시간 후에 hardness, cutting force, masticcation을 측정한 결과 lipoxygenase 결여 계통이 대비품종들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4. 콩나물 재배 일수 별 lipoxygenase band는 자엽부에서는 종실과 같이 lipoxygenase band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배축부에서 모든 계통과 대비품종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5. 콩나물 재배 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는 2일차에 최고로 높았으며, 3일차에 최저치로 낮아진 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각 교배 조합 내에서는 진품콩2호보다 활성도가 낮은 4510, 4522, 4537계통들이 lipoxygenase 결여 콩나물로서의 육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다.질미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 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 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 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 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코스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수 존재했다.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
        3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variety, “Dagi”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Namhaekong and D70-6545 by the soybean breeding laboratory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in 2002.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
        39.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oybean variety, “Sunam”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Kosuzu and Bukwangkong by soybean breeding laboratory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in 2002.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for evalu
        40.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급격히 증가되는 유전자 변형 식품의 안정성 논란과 관련하여 콩나물 및 콩나물 원료에 사용되는 국산 및 수입산 콩에 대한 유전자 변형 유전자의 정량 검사를 실시하고, 미량이나마 함유된 변형 유전자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콩나물의 유전자 변형 농산물 검사는 2000년과 2001년에 원료콩 96건, 완제품 123건 등 총 219차례 실시하였다. 2. 원료콩에서는 단 한 건의 양성반응도 없었던 반면, 완제품에서는 2000년에 3건, 2001년에 8건에서 0.01-0.17%의 함량으로 CP4EPSPS 또는 35S promoter도입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법적 기준치인 3%보다 훨씬 낮은 비의도적 혼입이었다. 3. 외래유전자가 검출된 11건의 완제품은 국산콩으로 만든 7개 제품과 중국산 수입콩으로 만든 4개 제품이었다. 4. 이들 도입 유전자의 원료콩 및 제조과정 중 유입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료를 검사하였다. 샘플은 양성반응제품 원료콩 전수검사, 원료콩 표면, 저장고 바닥 및 정선기 주변, 그리고 콩나물 제품 포장 필름 표면 및 포장지 원료로 사용되는 옥수수 타분의 유전자 변형 여부를 정량검사하였다. 이들 중 두 개의 옥수수 타분 시료에서만 0.1%의 35S promoter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5. 콩나물 포장 공정 중 옥수수 타분을 사용하는 포장지에서 유래되는 변형 유전자 오염을 제시하였다. 향후, 콩나물 변형 유전자 검사시 용수, 필름 표면 등 제품주변에 존재하는 도입 유전자의 정량분석 방법 구축과 원료콩 샘플 방법 및 샘플량의 표준화가 시급히 필요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