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2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주요 양채류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적정 셀레늄처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sodium selenate처리 농도, 처리시기 및 처리 횟수에 따른 작물생육과 작물체내 무기성분, ascorbic acid, nitrate 및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odium selenate 1, 2, 5 및 20mg·L-1처리구에서 공시작물 모두 초기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처리 60일 후부터 5mg·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생육이 크게 억제되어, 무처리구에 비해 5mg·L-1처리구에서도 결구상추는 33%, 브로콜리는 47%, 파슬리는 74% 생체중이 감소한대 비해 비트와 셀러리는 고농도에서도 생육억제 현상이 크지 않아 20mg·L-1농도에서 생체중이 20%와 15% 감소하였다. sodium selenate 처리에 따른 작물체내 ascorbic acid 함량은 결구상추의 경우 셀레늄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0mg·L-1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약 1.2배 높았고, 셀러리와 비트도 같은 농도에서 약 10% 정도 함량 증가를 보였으나, 브로콜리와 파슬리는 셀레늄처리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식물체내 nitrate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작물에서 감소하였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의 폭은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질산염의 함량 저하는 결구상추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그 다음이 비트, 셀러리 순이었다. 무기성분 K, Ca, Mg의 함량은 공시작물 모두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분별로는 K성분이 모든 작물에서 고도의 부(負)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Mg와 Ca함량이 감소는 농도간의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다. Sodium selenate 처리에 따른 식물체내 셀레늄함량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공시작물에서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고농도인 20mg·L-1 처리구에서 브로콜리는 무처리구 보다 24.4배, 셀러리는 76.4배, 파슬리는 560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결구상추, 비트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작물의 생육단계별 처리에서는 생육초기에 후기보다 결구상추는 1.3배, 브로콜리는 1.4배 높았으나, 파슬리와 셀러리는 생육중기에 처리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처리 횟수별 Se 함량은 파슬리, 셀러리 및 결구상추는 처리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10회 이상이 되면 셀레늄의 축적량이 둔감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브로콜리는 처리횟수가 많으면 많아질수록 셀레늄의 축적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2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양수분 흡수율과 양이온 비율에 근거하여 백합과(부추)에 적합한 전용배양액을 개발하였다. 원예연구소 배양액액(NSH)을 1/2배액, 1배액, 3/2배액의 농도로 42일간 담액 수경재배를 한 결과 1/2배액에서 세가지 작물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양수분 흡수율에 근거하여 개발된 백합과 전용배양액(NSL)의 조성은 N 12, P 2.5, K 7, Ca 4 and Mg 2 me/L이다. NSL로 처리한 부추 작물의 상대생장율(RGR)은 1.11배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함량(SPAD value)은 1.16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부추의 가장 중요한 영양성분중 하나인 항산화성분-Ascorbic acid의 함량이 1.16배 증가하였다.
        4,000원
        2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dioprotection is of practical importance for the normal tissues of tumor patients subject to radiotherapy, people with planned or accidental exposure to radiation, and the public and radiation workers. Since oxygen enhances radiation - induced biologica
        4,000원
        2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was aim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by different parts and maturity of tomato. Tomato include the green pigment chlorophyll, the yellow pigment-carotene. the red pigment lycopene and the other component. These colors of tomatoes are reported to have important functional roles to promote health in human.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changes in the content of the four tomato maturation that is ascorbic acid, chlorophyll, carotene, lycopene. A ascorbic acid contents of tomato fruits was the highest at 50th day. Chlorophyll contents of tomatoes fruits was the highest at 10th days after flowering. α-carotene contained low-quantity while all growth period. β-carotene contained the highest at 50th days after flowering, 1036.97μg. Lycopene contained the highest at 50th days after flowering, 5800μg.
        4,000원
        2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natural foods, utilizing the extracts or juices of teas(Green tea; Camellia sinesis, Du' t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medicinal plants(Eu sung cho; Houttuynia cordata Thunb, Sam back cho; Saurus Chinensis, Baek hwa sa seal cho; Oldenladia diffusa Roxb.) seaweeds(Laver; Porphyra tenera,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ea staghorn; Condium fragile) and vegetables(Sweet pepper;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Kale; Brassier oleracea var. acephala, Cucumber; Cucumis satiaus, Onion; Album cepa) and fruits(Tomato; Lycopericon esculentum, Maesil; Prunus mume, Plum; Prunus salicina and Grape; Vitis sppJon the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was investigated from the various conditions. The inhibition effect was observed in vitro using the reaction fluids of pH 1.2, 4.2 and 6.0. )mom the teas and medicinal plants, there was a positive response of NDMA formation; however, from the seaweed extracts, there was a negative response of the inhibition effect of NDMA formation, and as the pH of reaction fluids and the amount of materials increase, the inhibition of NDMA formation was strengthened. The inhibition ratios by the level of pH are as follows: under pH 1.2 vegetable juice were 57.6 99.7% and fruits were 35.9 99.7%; under pH 4.2 vegetable juice were 55.0-97.5% and fruits were 21.3 96.8%. All of the materials observed has been proved and shown the inhibition effect of NDMA formation.
        4,000원
        32.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ototoxicity of four phenothiazine derivatives such as chlorpromazine, perphenazine, trifluoroperazine and promethazin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on their phototoxicity by LTVB irradiation. Effects of the test compounds on RBCs were monitored with a spectrophotometer by the method of Kahn et al. The extent of photohemolysis by tested phenothiazine derivatives were increased with their concentration and toxic photoproducts were formed by chlorpromazine and promethazine with preirradiated UVB. Photohemolysis postirradiated chlorpromazine and perphenazine and preirradiated promethazine were decreased with the use of ascorbic acid significantly.
        4,000원
        33.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선한 오이에서 얻어진 crude ascorbate oxidase를 이용하여 ascorbic acid 분석 가능성과 검액 중에 공존하는 물질이 ascorbic acid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이에서 얻어진 A.O를 이용한 산화 전후의 흡광도 차이는 AsA의 함량과 비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A.O를 이용하여 AsA정량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Iso-AsA는 동량의 AsA에 비해 97% response를 나타내어 A.O의 특이성이 결여된 결과를 나타냈다. 3. Sucrose, glucose와 fructose는 AsA와 공존할 때는 기피 영향을 미치지 많아 AsA 분석 시료에 일반적으로 당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생각할 때 상당한 수준의 당류가 공존하더라도 AsA 분석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없었다. 4. EDTA 그리고 citric acid는 AsA와 공존할 때 5배, 50배에는 약간 저해적으로 영향을 나타냈으나 500배에서는 현저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5. Cu^2+, Fe^2+이온은 AsA와 공존할 때 0.01M 농도에서는 AsA 분석에 상당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Fe^3+ 이온의 경우는 0.1M 농도에서도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36.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금치의 조리(調理), 저장(貯藏)에 있어서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과 ascorbic acid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측정(測定)하여 그들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조사검토(調査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데침으로해서 질산염은 감소(減少)하였으나 아질산염은 증가(增加)하였고, 조리(調理)한 것은 그 경향이 더욱 현저하였다. 실온(室溫)에 저장(貯藏)하였을 때 질산염은 36시간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아질산염은 24시간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냉장온도(冷藏溫度)에서 저장한 것의 질산염은 서서히 감소(減少)하였고 아질산염은 서서히 증가(增加)하였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상호함량관계(相互含量關係)를 보면 실온(室溫)에서는 질산염은 감소(減少)하였고 아질산염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냉장온도(冷藏溫度)에서는 질산염은 서서히 감소하였고 아질산염도 서서히 증가하였다. 질산염 및 환원형(還元型) ascorbic acid의 함량관계(含量關係)를 본 결과(結果) 실온, 냉장온도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질산염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실온에서는 그 변화폭이 큰 데 비해 냉장온도에서는 변화폭이 적었다. 환원형(還元型) ascorbic acid 및 아질산염의 함량관계를 비교해 본 결과(結果) 실온, 냉장온도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염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는 저장기간에 따라 ascorbic acid 함량과 아질산염의 함량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alopanax pictus is one of the most popular wild vegetables in Korea. In recent years Kalopanax pictus has been developed which has no thorns that can be efficiently harvested. Kalopanax pictus, now without thorns, breeds only by root cutting. This makes the price of ineffective and invisible Kalopanax pictus high. Therefore, tissue culture is necessary for efficient mass proliferation of visibly absent Kalopanax pict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browning treatment on tissue culture of thornless Kalopanax pictus. Methods and Results : Thornless Kalopanax pictus young leaves were cut into 5 ㎜ in diameter and cultured for 1 month at 2,4-D 1 ppm + TDZ 0.1 ppm + 3% sucrose. Add 0.05%, 0.1%, 0.15% and 0.2 ㎎/ℓ of browning inhibitor such as ascorbic acid, citric acid and activated charcoal to the MS + 2,4-D 0.2 ppm + 5% sucrose medium. And cultured at 25℃ for 24 hours Light condition for 1 month.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browning agent, characteristics such as callus size,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rate and browning degre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allus size of ascorbic acid 0.05 ㎎/ℓ was the largest at 2.26 ± 0.4 ㎝ and the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rate was the highest at 16.4%. The degree of browning was 40.30 ± 4.92 in L value and 5.00 ± 2.23 in b value. Conclusion : When ascorbic acid 0.05 ㎎/ℓ is added to the secondary culture medium, the size of the callus increases and the degree of browning decreases. Us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we can establish a mass proliferation system through tissue culture of Thornless Kalopanax pictus.
        39.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스코빅애씨드(비타민 C)는 스킨 케어 조성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아스코빅애씨드는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촉진, 피부미백효과 등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며, 안티-에이징 활성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장 료 조성물에서는 아스코빅애씨드의 산화, 갈변, 변취와 같은 불안정한 문제가 있어 높은 함량을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많다. 우리는 폴리올을 사용하여 아스코빅애씨드를 녹인 무수제형 조성물로 안정화를 진행했다. 무수제 형은 아스코빅애씨드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하지만, 5 ℃ 이하의 온도 조건일 때 무 수제형 내에서 결정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는 수계에 아스코빅애씨드를 안정화하여 결정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징크설페이트, 글루타치온, 강황뿌리추출물과 같은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아 스코빅애씨드를 안정화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조성물은 – 16 ℃, 5 ℃, 25 ℃, 40 ℃, 50 ℃ and cycle(5 – 40 ℃)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여 8주에 걸쳐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안정성 분석은 색상, 향, 상 분리, 침강 정도를 검토하였다. 아스코빅애씨드의 안정성은 HPLC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4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 미백, 콜라겐 합성 및 노화방지 등에 좋은 효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다양한 보관 조건(분말 상, 수용액 상, 온도 변화, 자외선 조사 및 외부공기 유입 등)에서 산화특성 을 조사하였으며, 열에 의한 산화 및 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중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사용하여 L-ascorbic acid를 분말 상태 및 에센스와 혼합한 상태에서 각각 보관 조건에 따른 산화특성을 분석하여 파우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열 특성조사를 위해서는 TGA, DSC 및 FT-I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산화특성 조사를 위해서는 UV-visible spectrophotometer와 산화환원 적정법을 병행⋅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L-ascorbic acid는 금속이온, 하이드록시이온 등이 많이 함유된 수용액 상에서 고온, 자외선 조사 및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태가 가장 빠른 산화조건인 것으로 나타났고, 순수한 분말 상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가열, 자외선 조사 및 외부 공기 유입 시에도 오랜 기간 동안 산화되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L-ascorbic acid와 같은 산화 안정성이 떨어지는 활성 성분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제작 중인, 진공포장이 가능한 이중공간 구조의 파우치를 사용할 경우 화장품 보관기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