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4

        21.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중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을 국내 69편, 국외 123편을 분석하여 연구의 흐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표연도, 프 로그램 유형, 연구대상 연령, 연구대상 유형, 중재효과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동물매개중재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국외 동물매개중재 연구는 감소 하는 추세이다. 둘째, 동물매개교육, 동물매개중재, 동물매개치료, 동물매개활동이 다양하 게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 국외 모두 동물매개치료가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셋째, 국내는 주로 청소년을, 국외는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동물매개중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동물매개중재 연구에서 국 내, 국외 모두 사회성 향상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동물매개중재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6,000원
        26.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many changes appeared with the Chinese degree adverbs as languages evolve over time, such as the emerging degree adverb ‘ju(巨)’ and the phrase structures like ‘巨多’, ‘巨好’, ‘巨痛’ are used in our daily communication commonly.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the evolution mechanism of the Chinese emerging degree adverb ‘ju(巨)’s meaning in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irst, we focused on the prototype meaning of ‘ju(巨)’ which is a adjective and the existing meaning of ‘ju(巨)’ which is used as a degree adverb. Second, we compared the image schema of the adjective ‘ju(巨)’ with the image schema of the degree adverb ‘ju(巨)’ and manag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n we studied the evolution mechanism of the degree adverb ‘ju(巨)’s meaning that is metaphor and made ‘ju(巨)’s metaphor mapping model. Third, we chose ‘巨多’, ‘巨好’ and ‘巨痛’ as examples by corpus-based study and used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to compared the conceptual blending spaces of them. Lastly, we found a general rule that can have reference significance to the study about the evolution of the other emerging degree adverbs, such as ‘狂’, ‘神’and so on. 저 자
        5,800원
        27.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일반 폴리시와 젤 폴리시의 안전성 인식 및 손톱 손상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2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와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 폴리시와 젤 폴리시의 효과성 인식, 안전성 인식, 손톱 손상도 인식 차이에서 모두 젤 폴리시가 높게 나타났다. 실험 전·후 손톱의 수분, 유분, 경피수분손실량(TEWL)은 실험 전보다 모두 감소 하였으며, 일반 폴리시에 비해 젤 폴리시의 감소 폭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손톱의 SEM 표면 관찰에서도 젤 폴리시의 손톱 표면 손상도가 매우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일반 폴리시보다 젤 폴리시가 손톱의 손상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건강하고 아름다운 손톱관리 및 유지를 위한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500원
        30.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자유도 기반 축소법과 부구조 기법을 적용한 반복 구조물의 효율적인 해석 기법을 소개한다. 기본 구조 반복된다는 특이성을 이용해 계산 방식을 개선하였다. 기본 구조를 하나의 부구조로 가정하고 IRS 기법을 통해 행렬을 축소하였고 부구조들의 결 합 위치에 따라 축소된 행렬을 배치하여 계산하였다. 이 과정에서 행렬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어 계산 시간이 감소하고 그와 동시에 해석에 필요한 메모리의 용량이 줄어든다. 행렬 축소에 Guyan 축소법이 아닌 IRS기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반복 계산 작업없 이도 정확도가 유지된다. 개선된 방식은 수치 예제인 십자가 모양의 기본 구조를 통해 검증되었다.
        4,000원
        32.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driver's ability to make a commitment has resulted in excessive force and a lack of commitment. To solve this problem, we are developing an algorithm that analyzes resolution in real-time by introducing IoT and informs drivers of the completion of compaction. METHODS : Real-time compaction was analyzed by installing accelerometers on the rollers. To evaluate the algorithms, we conducted an apparent density test. RESULTS : The algorithm data and apparent density test data showed similar trends. This means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are sufficiently reliable. However, a lack of data samples and the fact that only data prior to completion of the commitment were analyzed may indicate a lack of reliability. CONCLUSIONS : In subsequent studies, the number of samples will be increased and the data after completion of the commitment analyzed to increase reliability. Introducing a tachometer will prevent the TVL from falling sharply when the direction of the rollers' progress changes. In addition, it is also planned to upgrade the algorithms by researching cases in which the algorithms did not produce satisfactory results owing to problems such as temperature and speed.
        4,000원
        3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부등시 정도에 따른 조절반응량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적 수술이나 질환이 없고 양안의 나안 시력이 정시이며, 시기능이 동일한 성인 남녀 10명(21.60±0.50 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안 모두 나인인 상태와 비우세안에 각각 +1.00, +1.50, +2.00 D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조절자극량을 100, 40, 20 cm로 달리하여 동적측정이 가능한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조절반응량 을 측정하였다. 결과 : 주시거리가 짧아질수록 우세안, 비우세안 모두에서 조절반응량이 증가하였으나, 비우세안의 경우 나안 일 때 보다 근시가 강해질수록 조절반응량은 감소하였으며 그와는 반대로 우세안의 조절반응량은 증가하였다(p <0.050). 동일거리에서 부등시 정도에 따른 좌우안의 조절반응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부등시 정도와 조절자극량이 가장 클 때 좌우안의 조절반응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0).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로 부등시의 가입도 측정 시 좌우안의 조절반응 정도에 대한 정밀한 검사가 필요하며, 근 용안경의 경우에서는 좌우안의 조절반응량의 차이를 고려한 처방이 근거리 작업으로 인한 조절성 안정피로를 최소 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쿨롱마찰을 갖는 동적시스템의 기초적인 연구로써 단자유도계의 자유진동응답에 대한 닫힌 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쿨롱마찰을 포함하는 동적시스템의 운동방정식은 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의 부호변화로 인하여 비선형 미분방정식의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닫힌 형태의 해를 얻기가 매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는 수치적분법에 의해 비선형 미분방정식을 직접 계산하거나 또는, 쿨롱마찰에 의한 감쇠효과를 등가점성감쇠로 치환한 선형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해를 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수학적인 측면에서 닫힌 해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운동방정식에서 반주기 구간마다 반전되는 마찰력의 부호변화를 고려하고, 이를 멱급수를 이용하여 전 구간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쿨롱마찰을 고려한 단자유도계의 자유진동응답에 대해서 수학적으로 닫힌 해를 유도하였다. 또한, 마찰력의 크기가 강성에 의한 복 원력의 크기보다 커지는 순간에 자유진동 운동이 정지하는 조건을 이용함으로써 주어진 초기조건에 대해서 예측되는 자유진동 반주기의 수와 운동이 정지하는 순간의 정확한 응답 값을 제안하였다.
        4,000원
        3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For compaction control on the subgrade layer, the simple and economical test DCPT (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 is being applied to the Korea Pavement Design Guide. However, compaction control is now difficult and to conduct in the field and is not performed in practice because the compaction degree is evaluated via the field density test as a pretreatment step when the compaction management process is evaluated by DCP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method considering an evaluation for the compaction degree using DCPT, via laboratory tests and field tests. METHODS: The in-situ DCPT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ubgrade soils in the field. Afterward, the field density tests for the compaction degree (R) of field samples and the experiments using DCPT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 self-made test container in the lab. RESULTS: Through the DCPT test, compaction degree evaluation from the correlations proposed in this study was determined to be possible. Additional field tests could verify the proposed correlations between compaction degree with DCPT PR on the subgrade. CONCLUSIONS: For the evaluation of the subgrade compaction degree using dynamic CPT, the correlations between compaction degree and DCPT PR on the subgrade layer are proposed from laboratory tests and field tests using DCPT and field density tests.
        4,200원
        3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방농업지대에서 벼 해충의 지역 간 발생상황을 비교하기 위하여 곤충의 발육에 필요한 온도를 이용하여 발생 시기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발생세대수나 발생 시기 등을 비교하였다. 벼 해충 6종(벼물바구미, 벼잎벌레, 흰등멸구, 벼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에 대해 유효적산 온도를 이용하여 발생 시기를 추정한 결과 월동해충은 지역에 따라 발생 시기에 차이가 있었으며, 동북방향으로 갈수록 발생시기가 늦어져, 북부 고산이나 동해안북부에서는 발생시기가 가장 늦었다. 또한 해충의 발생시기가 6월부터 8월 사이에는 비래해충 1세대 성충 발생시기와 같이 지역 간 발생 시기에 차이가 적어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였으며, 기온이 낮아지는 8월부터 9월에 발생시기가 되면 지역 간 차이가 커서 벼멸구의 2세대 성충이 발생하지 못하거나, 흰등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 등의 2~3세대 성충의 발생이 안 되는 지역이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북방지역의 동북지역, 동해안북부, 북부내륙, 북부고산지역에서의 벼해충 발생은 적을 것으로 추정되며, 중부산간의 평강, 양덕을 제외한 동해안남부, 수양산 이남, 이북지역은 국내 경기, 강원북부지역과 비슷한 발생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4,200원
        3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17권의 한·중 현대소설 텍스트의 차등 비교문에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정도부사 표현에 있어서의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인지 언어학 연구 방법론의 하나인 원형이론에서 Langacker의 연결망 모형을 바탕으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 정도부사의 의미 연결망 모형 그리고 수평 차원에서의 원형이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차등 비교문 안의 한국어 정도부사 사용에는 정도상의 표현 되는 크기에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도부사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차등 비교문 안의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을 살펴보면서 정도부사 간의 양(量)의 격차 즉, 거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거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비문이 되어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을 뿐 아니라 두 대상 간의 비교 정도치를 극대화 하거나 반대로 극소화 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이 차등 비교문 안에서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선 반드시 양(量)의 격차를 고려해야 하며, 그중 본고의 연구를 통해 ‘중량(中量) 부사’ > ‘소량(小量) 부사’ 그리고 양(量)의 격차가 ‘0’ 일 때의 동일 선상에서 연이은 정도부사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100원
        3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고관절 MRI 검사 중 대퇴비구 충돌을 일으키는 원인을 확인하고 진단하는 영상인 FAI MRI에서 다리를 내측으로 15° 회전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자체 개발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검사의 정확도를 유지하여 진단능력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2018년 3월부터 11월까지 고관절 충돌 증후군으로 의심되어 MRI를 검사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장비는 SIEMENS사의 Magnetom Skyra 3.0T를 사용하였다. 보조기구 사용 전, 후의 지방 소거 Proton Density 경사축 방향 영상과 보조기구 사용 후 3D Trufi영상을 얻은 후 clock- face의 3시 방향 재구성 영상 선택 후 알파 각을 측정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정형외과 고관절 전문의 1명과 영상의학과 근골격 전문의 1명이 보조기구 사용 전, 후의 지방 소거 Proton Density 영상으로 Anterior acetabular labrum, Posterior acetabular labrum, Anterior articular cartilage, Posterior articular cartilage를 관찰한 후 리커트(Likert scale)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측정을 통해 얻은 자료는 대응표 본 T 검정으로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평가자 간 신뢰도 검증은 Cohen's weighted Kappa 검증을 통해 일치도를 검증 하였다. 결과:영상의 정량적 분석결과 보조기구 사용 전, 후 영상에서 각각 측정된 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은 53.43±8.32로 나타났고 보조기구 사용 후 값은 52.09±8.34로 나타났다. 3D Trufi영상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정성적 평가를 위한 리커트 척도 결과 Anterior acetabular labrum 관찰 여부는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은 2.78±0.74 보조기구 사용 후 평균값은 3.68±0.9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24) Anterior articular cartilage 관찰 여부는 두 평가자 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은 4.53±0.51, 보조기구 사용 후 평균값은 4.39±0.8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03) Posterior articular cartilage 관찰 여부 역시 두 평가자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은 4.37±0.47, 보조기구 사용 후 평균값은 4.36±0.7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32) Posterior acetabular labrum 관찰 여부는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은 3.56±0.94 보조기구 사용 후 평균값은 4.51±0.63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5) 평가 항목의 일치도 검증결과 높은 결과로 두 평가자 간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결론:고관절 MRI 검사에서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발의 내전 15°를 유지하여 검사함으로써 대퇴비구 충돌 증후군 진단능력을 향상하고 향후 추적 관찰 검사에서도 정확하고 일관된 진단가치가 높은 영상을 제공함을 기대할 수 있고 긴 검사시간 동안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 감소 및 환자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어 향후 보조 신발의 필요성과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000원
        4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강도를 조절한 마이크로겔을 사용하여 다양한 점탄성을 갖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의 화학적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팽윤비는 2.0×104%에서 6.0×103%까지 감소하였고, 강도는 22.2 kPa에서 99.7 kPa까지 증가하였다. 이를 100 μm 크기로 분쇄하여 마이크로겔을 제작하였고 이온성 가교결합을 유도하는 분산액과 혼합하여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가교제의 가교도와 분산액에 따라 10-1rad/s의 진동수에서 1.679 kPa.s에서 86.485 kPa.s까지 점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의 물성을 제어하기 위해 하이드로겔의 가교도를 조절 또는 분산액의 종류와 함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유변학적 거동을 갖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조하였다. 물성을 제어할 수 있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사용하여 향후 콜로이드 현탁액 및 유화를 제조하는 화장품, 제약, 페인트 및 식품 산업에서 목적에 따라 적합한 물성을 갖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