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6

        21.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w carbazole derivatives including coumarin moiety, 7-(3-Carbazol-9-yl-phenyl)-chromen-2-one (C-PCa), 7-(9-Phenyl-9H-carbazol-3-yl)-chromen-2-one (PCa-C), 7-[9-(3-Carbazol-9-yl-phenyl)-9H-carbazol-3-yl]-chromen-2-one (PDCa-C) were synthesized by Suzuki reaction. In film state, maximum UV-Vis absorption of three synthesized compounds appeared in the range 331 to 345 nm. PL spectrum of C-PCa, PCa-C and PDCa-C showed miximum emission wavelength of 449, 467 and 467 nm, respectively. C-PCa showed white emission of current efficiency of 1.16 cd/A, power efficiency of 0.59 lm/W and C.I.E of (0.26, 0.33). PCa-C showed current efficiency of 1.13 cd/A, power efficiency of 0.62 lm/W and C.I.E of (0.19, 0.27). PDCa-C showed the highest current efficiency of 1.34 cd/A, power efficiency of 0.62 lm/W and C.I.E of (0.18, 0.23).
        22.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4-methyl-7-(10-(pyren-1-yl)anthracen-9-yl)-2H-chromen-2-one (PAC), 7,7’-(anthracene-9,10-diyl)bis(4- methyl-2H-chromen-2-one) (CAC), 7-Anthracen-9-yl-4-methyl-chromen-2-one(AC), and 7-(naphthalen-1-yl)-2Hchromen-2-one (NC) were synthesized through Suzuki aryl-aryl coupling reaction. Optical and electroluminescence (E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UV-visible absorption, photoluminescence (PL) spectra, and EL devices. Synthesized compounds were used as an emitting layer (EML) in non-doped device with the following structures: ITO/2-TNATA (60 nm)/NPB (15 nm)/synthesized compounds (35 nm)/Alq3 (20 nm)/LiF (1 nm)/Al (200 nm). Non-doped devices showed luminance efficiency (L.E.) of 1.38, 1.03, 1.12, and 0.39 cd/A at a current density of 10 mA/cm2.
        23.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4-([1,1-biphenyl]-4-yl(9,9-dimethyl-9H-fluoren-2-yl)amino)phenyl)-4-methyl-2H-chromen-2-one (BPFA-C) including coumarin moiety was synthesized through Suzuki aryl-aryl coupling reaction.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by UV-visible absorption spectra, PL spectra, and AC-2. UV-visible spectrum of BPFA-C in a film state showed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367 nm. PL spectrum of BPFA-C show maximum emission wavelength of 511 nm. BPFA-C showed highly efficient luminescence property. EL spectrum of BPFA-C exhibited a maximum value of 504 nm and BPFA-C device provided luminescence efficiency of 4.59 cd/A, power efficiency of 3.17 lm/W, and CIE (x,y) of (0.25, 0.53) at a current density of 10 mA/cm².
        24.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s between starch and starch - derived materials and fluorescent materials. Many researchers have used fluorescent materials to monitor the internal structure of starch,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ternal structure of starch by using fluorescent material and to check how much fluorescent material could be loaded inside the starch. For this, a standard curve of the fluorescent material was obtained and a linear graph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ation was obtained. Next, the incorporation of the fluorescent material into the starch was confirmed by CLSM in the infusion experiment. Infus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quantify the amount of fluorescent substance in starch, but the error was confirmed in this experiment. The error was caused by the action of starch and the fluorescent substances FD4 and NaFl, resulting in an increase or decrease in fluorescence intensity. To find the cause, dextrin, amylose and amylopectin, which are starch-derived substances, and α, β, γ-cyclodextrin, which can form inclusion compounds, were used. The fluorescent materials were merbromin, NaFl, and FITC. As a result,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fluorescent materia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amylose and amylopecti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analysis of the phenomenon or observation of the starch using the fluorescent substance. We still do not know exactly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25.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최고경영자(Chief Executive Officer, CEO)의 특성이 기업의 위험관리 의사결정에 어떤 영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고경영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나이와 취득전공을 선정하여 2008년 금융위기 전후로 파생상품을 이용한 제조기업들을 대상으로 구조화파생상품을 이용한 기업들만의 차별화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CEO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보수적 이고 안정적인 의사결정을 한다는 첫 번째 가설을 검증한 결과, CEO의 나이는 복잡한 구조화파생상품을 이용하는데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경관련 전공자가 파생상품을 더 잘 이해하고 복잡한 구조화파생상품이 위험관리용으로 적절하지 않기에 더 적게 사용할 것이라는 두 번째 가설을 검증한 결과, 비상경계 CEO의 파생상품 이용정도가 상경계 CEO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26.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strodia elata Blume often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headaches, convulsions, hypertens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 main active constituents are gastrodin, 4-hydroxybenzyl alcohol, vanillyl alcohol, 4-hydroxybenzylaldehyde and parishin A, B, C and E. Because Gastrodia elata has also unacceptable off-odor (swine barnyard-like) for food, there is a need to reduce it as well as allow for greater utilization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s. In this study, a major off-odor producing substance of Gastrodia elata was fractiona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substance was identified as p-cresol(4-methyl phenol) by GC-MS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retention time with that of an authentic compound in GC. The content of p-cresol in fermented Gastrodia elata was decreased. A fermented sample of Latobacillus sakei for 2 days was reduced to 54.7%, when compared with a unfermented sample. The five parishin derivatives in Gastrodia elata were identified by HPLC-MS analyses, and a comparison of HPLC retention times with those of authentic compounds. When compared with parishin derivatives of an unfermented Gastrodia elata, those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by L. sakei, increased to 18.3% for 2 days. Increases of about 14.0~38.4%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57.4~77.3% total flavonoids were found in fermented extracts, by 3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They were compared with 97.1±2.9 μg/g and 40.9±2.0 μg/g in the unfermented control, respectively. The extracts of Gastrodia elata Blume that wer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had highe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reducing power than the unfermented control.
        4,000원
        27.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re fabricated with six anthracene derivatives containing simple substituents such as phenyl or naphthyl group. The device structure is as in the following: Indium tin oxide (ITO) (180 nm)/4,4-4,4`,4``-tris[N-(1-naphthyl)-Nphenylamino] triphenylamine (2-TNATA) (30 nm)/4,4`-bis[N-(1-naphthyl)-N-phenyl-1-amino] biphenyl (NPB) (20 nm)/Emitting compound (30 nm)/2,2′,2"- (1,3,5-Benzinetriyl)-tris (1-phenyl-1-H–benz-imidazole) TPBi (40 nm)/lithium quinolate (Liq) (2 nm)/Al (100 nm). In the emitting layer the anthracene derivatives are used without any dopant. All the six devices show blue emissions. Among the tested diodes, the one with 9-(2-naphthyl)-10-(p-tolyl) anthracene (2-NTA) exhibited luminous efficiency, power and external quantum efficiencies of 3.26 cd/A, 0.98 lm/A, 2.8 % at 20 mA/cm .
        4,000원
        28.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고차미분 연속성을 가지는 형상함수에 기초하여 오일러-베르누이 보 유한요소모델을 정식화하였으며, 다 양한 경계조건들에 대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유한요소 모델들은 새로이 개발되는 고차 보 이론들과 논로컬 탄 성이론에 기초한 보 이론들의 유한요소해석에 필요하다. 그러나 고차 연속성을 가지는 유한요소에 대한 성능평가는 문헌에 서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2 및 C3 두 종류의 고차 유한요소들을 정식화하여 외팔보, 단순지지, 고정-힌 지 등의 경계조건들을 적용하고 정적해석을 수행하였다. 고전적인 경계조건들 이외에도 고차 경계조건들이 보의 거동에 미 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경계조건에 따라서는 처짐의 미분 값들이 경계주변에서 진동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기하학적 경계조건들에 대하여 뚜렷이 나타난다. 특히 고정단과 같은 경계에서의 변위의 고차미분 조건은 이러한 불안정한 현상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고차 미분 연속성을 가지는 유한요소 이용에 가이드라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9.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구조물은 여러 부구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자유도 또한 무수히 많다. 높은 복잡성을 가지 는 구조물의 해석 및 계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해석 모델의 단순화 및 자유도 축소가 요구된다. 지난 50여 년 동안 규 모가 큰 공학적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다양한 부분구조화 기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부분구조화 기법들은 Newton-Raphson 알고리즘 등과 같은 반복계산을 동반하는 비선형 구조해석 문제 해석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비선형 부분구조화 기법 중의 하나인 모드미분(modal derivatives)을 이용하여 기하비선형 보의 모델 축소에 적용 하고자 한다. 모드미분은 모드 기반 축소 기저의 2차항의 형태로, 선형모드의 조합으로 근사 가능한 변위벡터를 미소변위에 대한 Taylor 급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고유치 문제를 모드 좌표로 미분을 함으로써 얻어진다. 모드미분에는 비선형 접선 강성행렬의 미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유한차분법 등의 근사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론은 기하 학적 비선형 문제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동시회전 유한요소법에 적용하였다. 수치예제를 통해 보의 경계가 수평으로 움직 일 수 있는 문제에서는 기존의 모드축소기법이 매우 비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모드미분을 이용한 축소기법은 다양 한 경계조건에 대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30.
        2017.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21-activated kinases (PAKs) are a family of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s and activated by binding with activated Rho GTPases such as Rac or Cdc42. PAKs regulate actin cytoskeletal remodeling, cell motility, cell survival, and apoptosis. Also, PAKs are involved in several diseases such as cancer, virus infectious diseases, mental retardation, Alzheimer and Parkinson's diseases. Therefore, the substances that are able to inhibit PAK activation can be used as powerful tools and medicines for PAK relative diseases or specific inhibitors for study of PAK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characterized the 5 compounds of 4-benzene-1, 2-naphthoquinone (NQ) family as candidate substances to inhibit the PAK1 activation in vitro and in cells. Binding between p21-binding domain (PBD) of PAK1 and Cdc42 was blocked by 5 NQ-compounds in ELISA assay. Myelin basic protein (MBP) phosphorylation was dramatically reduced by treatment of these compounds in vitro kinase assay for Cdc42-induced or constitutive active PAK1 mutant. Also, phosphorylation at Thr 423 of transfected PAK1 was inhibited by treatment of 5 NQ-compounds in 293T cells, respectively. Finally, NQ-5 inhibited strongly the PAK1 activation by PDGF stimulation and cell motility in PDGF-induced wound migration assay in NIH 3T3 cells. Therefore, these NQ compounds will be good candidates as target molecules to regulate PAK1-related diseases or inhibitors to study PAK1 signaling pathway.
        4,000원
        3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광 변색 콘택트렌즈 제조에 필요한 spiropyran을 합성하여 캐스트몰드공법과 샌드위치 공법으로 광 변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고, 각각의 특성을 비교하여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가능성을 확인하 고자 한다. 방 법: 캐스트몰드공법은 spiropyran과 HEMA, EGDMA, NVP, MMA와 함께 공중합 하여 제조하였고, 샌드위치공법으로는 HEMA, EGDMA, NVP, MMA를 1차 공중합 하여 제조한 콘택트렌즈 표면에 spiropyran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흐름 코팅 후 그 위에 HEMA, EGDMA, NVP, MMA를 2차 공중합 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각각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자외 선에 의해 광 변색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자외선을 1분간 조사 후 색상 변화 및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후 암실에서 10분 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결 과: 캐스트몰드공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접촉각은 35.21%와 70.80°이었으며, 자외선 에 의한 광 변색 기능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샌드위치공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접촉각은 40.35%와 47.85°이었으며, 자외선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색되었고 암실에서 투명해지는 광 변색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캐스트몰드공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변화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샌드위치공법에 의해 제조된 광 변색 콘택 트렌즈는 함수율과 접촉각 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빠른 광 변색 특성을 나타내어 광 변색 콘택트렌즈 의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기능성 소득 작물로서의 가치 향상과 재배기술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을 울금의 curcumin 유도체 분리 및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지표물질에 대한 정량과 정성분석을 하였다. 가을 울금의 근경을 추출하고 column chromatography을 통하여 5종의 물질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 물은 1H-NMR과 13C-NMR 분석을 행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HPLC로 정량분석한 결과 주요 화합물은 HPLC에서 화합물 1(curcumin): 13.8분, 화합물 2(demethoxycurcumin): 13.1분, 화합 물 3(bisdemethoxycurcumin): 12.6분, 화합물 4(1-hydroxy-1,7-bis(4-hydroxy-3-methoxypheny1) -6-heptene-3,5 -dione): 8.7분, 화합물 5(dihydrocurcumin): 12.1분에서 각각 나타났다.
        4,000원
        3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2 learners tend to encounter and use morphological derivatives more frequently as their L2 skills develop. To pronounce the morphological derivatives correctly, L2 learners have to be aware of the phon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derivatives with affixation. The four phonological rules (stress shift, vowel laxing, consonant coalescence, and vowel reduction) in English, applying to morphological derivatives, a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entities that the rules affect (stress, vowels, and consonants); the number of rules (only one and more than one rule); and rule interaction (interacting and non-interacting) in L2 phonological acquis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1) the accuracy of consonant coalescence is highest although its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the accuracy of stress shift and vowel laxing va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ules; 2) stress shift and vowel laxing show different order in accuracy depending on the number of rules; 3) the three rules (stress shift, vowel laxing, and consonant coalescence) exhibit distinct behavior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ules; 4) in the interacting rules, the accuracy of the fed rule (vowel reduc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feeding rule (stress shift) while in the non-interacting rules, the accuracy of one rule appears to have no influence on that of the other rul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eaching pronunciation of the derivatives are suggested.
        6,400원
        34.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ysene 및 Pyrene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열적 안정성은 phenanthrene기를 도입한 BC6이 mp: 406oC 이었다. 용액상태에서 Host-Dopant 시스템으로 각각의 분광특성을 측정하여 NP5-BC1, NP5-BC5 system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들의 밴드갭은 3.04, 2.66, 2.67eV 이었다.
        4,300원
        3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hraquinone 구조의 1,5- 위치와 1,8- 위치에 aromatic amino기의 변화에 따른 최대흡수파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5-dichloroanthraquinone, 1,8-dichloroanthraquinone에 각각 aniline, 2-aminobenzothiazole, 1-aminonaphthalene을 도입한 화합물 a1, b1, a2, b2, a3, b3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aromatic diaminoanthraquinone 화합물의 분광특성 뿐만 아니라 용해도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최대흡수파장을 비교하면 a1, b1에 비해 a2, b2는 파장의 변화가 없었고, a3, b3은 10 nm 이하의 장파장 이동을 보인다. 이것으로 amino기의 변화에 따른 최대흡수파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000원
        3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레벨셋 기법과 위상민감도를 이용하여 선형 탄성 구조물에 대하여, 초기 설계형상에 의존성이 없는 위상 및 형상 최적설계 기법을 개발하였다. 레벨셋 기법에서는 복잡한 위상 형상변화를 쉽게 다루기 위해 초기 영역은 고정한 채 레벨셋 함수로 표현되는 암시적 이동경계로 경계를 표현한다. 해밀턴-자코비(H-J) 방정식과 수치적으로 강건한 기법인 ‘up-wind scheme’은 컴플라이언스 목적함수를 최소화시키고 허용체적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초기 암시적 경계를 법선 속도장에 따라 최적의 형상으로 이끌어 낸다. 점근적인 정규화 개념에 근거하여, 구멍의 반지름을 0으로 접근시켜 형상 미분의 극한을 취한 위상민감도를 고려하였다. 최적조건으로부터 유도된 라그란지안의 감소 방향을 이용하여 H-J 방정식을 갱신하기 위한 속도장을 결정하였다. 개발한 방법에서는 위상민감도로부터 얻어지는 지표를 이용하여 구멍을 언제든지 어디에서나 생성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구멍이 최적 형상을 얻기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최적화 과정을 위해서는 구멍 생성을 위한 조정변수의 적절한 선택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3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킬렌디아미노 기능기를 분자 내에 갖는 4종의 새로운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그들의 연기밀도를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알킬렌디아민 및 알데히드에 인산을 첨가하여 한 단계로 반응시켜 2개의 인산에 2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76~97.3%의 수율을 얻었다. 이들의 연기밀도 시험은 ASTM E 662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시험결과 연기밀도(Ds)값이 234.7~437.9으로 측정되었고, 2개의 인산을 갖는 화합물이 1개의 인산구조를 갖는 화합물보다 연기밀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산에 결합된 아마노기의 질소수와 연기밀도 사이에는 관련이 있었다.
        4,000원
        3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evel set based topological shape optimization method for nonlinear structure considering hyper-elastic problems is developed. To relieve significant convergence difficulty in topology optimization of nonlinear structure due to inaccurate tangent stiffness which comes from material penalization of whole domain, explicit boundary for exact tangent stiffness is used by taking advantage of level set function for arbitrary boundary shape. For given arbitrary boundary which is represented by level set function, a Delaunay triangulation scheme is used for current structure discretization instead of using implicit fixed grid. The required velocity field in the actual domain to update the level set equation is determined from the descent direction of Lagrangian derived from optimality conditions. The velocity field outside the actual domain is determined through a velocity extension scheme based on the method suggested by Adalsteinsson and Sethian(1999). The topological derivatives are incorporated into the level set based framework to enable to create holes whenever and wherever necessary during the optimization.
        4,000원
        3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탱자에는 여러 종류의 monoterpenes, limonoids, flavonoids과 coumarins 등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탱자의 구성 성분중에 7-제라닐옥시쿠마린는 7개의 탄소로 구성된 제라닐옥시기의 곁사슬을 가진 물질이다. 그리고 7-제라닐옥시쿠마린은 여러 약리적인 효과들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탱자의 구성성분인 7-제라닐옥시쿠마린과 이들의 다양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항염증에 대한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일산화질소 억제 cytokine을 측정한 결과는 6-제라닐옥시쿠마린의 성분이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6가 1μm농도에서 68.9% 를, 10μM에서 72.6% 의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4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CCl4 존재하에서 Cl2(g) and ultra violet(200~300nm) 파장으로 maleic anhydride 와 Cl2(g)을 반응시켜 α,β-dichlorosuccinic acid 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반응은 N-(α,β-dichloro)succinic acid 함유 glucosamine 유도체(I)를 합성하는 것으로 methanol 함유 2% acetic acid 용매 하에서 glucosamine과 과량의 α,β-dichlorosuccinic anhydride을 넣은 후 온도를 70℃로 올리면서 반응시켰다. 우리는 합성한 유기산 유도체들이 해태 김 재배와 피부미용에 주로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본다.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