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Red Ginseng; RG)은 인삼보다 더 높은 생체 흡수율과 다양한 약리효과를 갖는 특이한 진세노사이드(Rg2, Rg3)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이용되어 왔다. 또한 발효는 유효한 생리활성을 갖는 저분자의 물질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을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로 7일 동안 발효하였다. HPLC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g1, Re 및 Rb2가 각각 0.24, 0.25, 0.16 mg/g에서 0.12, 0.1, 0.03 mg/g으로 함량 감소를 확인하였고, 홍삼 붉은덕다리 균사체배양액(Fermented Red Ginseng; FRG)의 항염, 세포 이동, 항산화, 콜라겐 타입 I 합성과 MMP-1 억제효능에 대한 생물학적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FRG는 RG보다 항염 및 cell migration 촉진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FRG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iNOS와 IL-6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억제하였다. 이 결과로 FRG는 새로운 항염소재로서 제안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24.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과 paraquat에 의해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홍삼추출물의 보호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ICR계 생쥐에게 X선의 5Gy조사와 paraquat투여 7일 전부터 홍삼추출물(200mg/kg/day)을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생리적 식염수를 투여하고 방사선조사군은 생리적 식염수를 투여하면서 5Gy를 조사하였다. 홍삼추출물 투여군은 7일 전부터 홍삼추출물(200mg/kg/day)을 투여하면서 5Gy를 조사하였다. Paraquat투여군은 7일 전부터 홍삼추출물(200mg/kg/day)을 투여하면서 paraquat(30mg/kg/day)를 투여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실험군에서 간조직의 H2O2, catalase, MD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조사군과 paraquat투여군보다 홍삼추출물 투여군에서 catalase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간의 보호효과가 있었으며 H2O2와 MDA함량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홍삼추출물은 간 조직에 대한 방사선조사 및 paraquat투여로부터 매우 우수한 방호제라고 할 수가 있다.
        27.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ntents of ginsenoside according the water extract conditions of red ginseng. In method A, red ginseng extract was prepared at 75℃ for 18 hours by 1 time extraction, and method B, the preparation was done at 85℃ for 18 hours by 1 time extraction. In method C, the primary extract prepared at 75℃ for 9 hours was blended with the secondary extract prepared by re-extracting the red ginseng residue obtained after the primary extraction, at 85℃ for 9 hours. Method D was the same procedure as method C but the extraction temperature for the primary extraction was 85℃ and that for the secondary extraction was 95℃. The contents of total and Rb1, Rg1 and Rg3 ginsenoside were highest in Method C. The content of prosapogenin (ginsenoside Rg2, Rg3, Rb1 and Rb2) was highest in Method B. There was no consistent tendency in Brix, pH, Hue value and absorbance among extraction methods.
        2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숙성된 인삼은 인간의 건강을 회복시키고 향상시키는 강장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백삼보다 더 많은 약리적인 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전이 가능한 종양, 림프구 증식과 쥐간의 지질과산화에 대한 숙성된 인삼의 효과도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3가지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하게 되었다. 시장에서 이미 만들어진 홍삼엑기스를 사용하였고, 그 외 수삼, 건삼을 구매하여 홍삼제조기로 만들어진 추출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숙성된 인삼의 3가지 추출물들은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섬유아세포에서 collagenase 억제와 collagen 합성의 효과를 연구했다. 숙성시켜 만든 수삼은 100 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뿐만 아니라 vitamin C보다 더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collagen 합성과 collagenase 억제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30.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형가속기의 고에너지 엑스선을 조사한 생쥐 간에 대한 백삼과 동충하초의 방사선방호효과를 연구하였다. ICR계 수컷생쥐 군에 7일 동안에 경구적으로 백삼(150 mg/kg/day)과 동충하초(200 mg/kg/day)를 각각 방사선조사 전에 투여했고 다른 생쥐 군에 5 Gy(1.01 Gy/min)의 방사선량으로 전신조사를 했고 대조군에 생리적 식염수 (0.1 ml)를 투여 한 후 간 조직에서 환원형 글루타치온(GSH)과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을 각각 검사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조사군(Rad)보다 동충하초투여군(EF+Rad)과 백삼투여군(WG+Rad)에서 환원형 글루타치온 (GSH)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했으나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총 환원형 글루타치온(total GSH)과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 비율은 방사선조사군(Rad)보다 동충하초투여군(EF+Rad)과백삼투여군(WG+Rad)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31.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삼 추출물에서 홍삼특이 사포닌 성분의 함량을 증대시키고자 추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사포닌 성분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삼을 85℃에서 48시간 추출 시 총 사포닌 함량이 23.5 mg/g(D.W.)로 가장 많았으며, 본 조건에서 추출한 인삼추출물의 항알러지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랫트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로 유도된 히스타민 유리 작용을 억제하는 인삼추출물의 효능을 분석하였다. 인삼추출물의 비만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 결과 각 추출물은 수시간 노출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이고 있었고 비교적 고농도인 0.5 mg/ml 처리군에서도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인삼추출물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랫트 비만세포에 대표적인 탈과립 유도제인 compound 48/80을 단독 또는 각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후 얻어진 상청액의 히스타민의 정량을 실시한 결과 비만세포는 compound 48/80의 처리 조건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30% 가량의 히스타민 유리량이 증가하였는데, 인삼추출물 처리 시 히스타민 유리 수준이 정상 수준에 가까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삼추출물의 항 알러지 목적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32.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삼배양근을 식품소재 첨가물로의 이용성을 알아보고자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물의 수율은 건물당 27.86%이었으며, 70% 에탄올추출물은 18.33%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7.90 mg/g 및 22.63 mg/g 이었다. Ginsenoside Rb1 및 Rg1의 함량은 각각 1.45 mg/g 및 0.96 mg/g 이었다. 1~20 mg/mL 농도에서 물
        33.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발모의 성장결여로부터 모내기의 천연성분에 의한 침투력, 침투면적, 모발성장속도, 모발의 수 및 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제모를 통한 모발의 성장 속도와 모내기의 피부 침투력, 약물도달 부위를 CLSM710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는데, 고삼, 단삼 및 인삼의 혼합물인 모내기를 10 μg/ml 농도로 처리한 그룹에서는 정상군과 대조군과 비교시 33 ± 4과 60 ± 6 (AFI: 인위적 형광강도)인데 반해, 약 6782 ± 67 AFI (인위적 형광강도)으로 약 205배와 113배의 침투능력을 나타내었고 면적은 정상군과 대조군은 각각 약 22 ± 3와 44 ± 6 AFI인데 반해 모내기군은 약 5602 ± 45 AFI였고 각각 255배와 127배 정도 침투면적의 확대되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confocal LSM700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군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collagen IV에서 아무런 녹색형광이 없는 반면 모내기군은 collagen IV이 함유한 진피층에서 강한 녹색형광이 관찰하였는데, 이는 모내기 주성분이 피부 진피층까지 도달한 것이라 사료되고 남자 15명과 여자 5명 중 20대 4명(20 %), 30대 10명(50 %), 그리고 40대 이상 6명(30 %)의 내원환자의탈모의 털 직경과 표면, 탈모의 수, 그리고 발모의 수를 조사하여 본 결과 평균 약 75 % 개선효과를 나타내므로 모내기의 천연성분이 발모인자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모낭 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유도하리라 사료된다.
        34.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뇌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흑삼추출물을 첨가한 배추김치를 제조한 후 에 30일간 저장하면서 경시적으로 김치의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관능적 품질을 측정하였다. 0.5~5% 흑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보다 L 값은 감소하고 a 값과 b 값은 증가하여 김치의 색은 암갈색~흑색을 나타내었다. 1~5%의 흑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는 대조구보다 pH 감소 및 산도 증가가 늦게 나
        35.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알칼리수를 이용한 홍삼추출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칼리수의 미네랄 함량은 칼슘이 로 가장 높았으며, 이온화 무기염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알칼리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KRGE 3, 6 및 9의 pH는 , 당도 , 가용성 고형분 , 갈색도 3.0으로 나타났으며 RGE와 큰 차이는 없었다. AKRGE 6과 AKRGE 9의 칼슘함량은 107.80 mg% 및 171.81 mg%로, RGE와 시판 홍삼 파우치 제품 5종에 비해서
        36.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취녹즙 : 당근즙액 : 인삼즙액의 혼합비율을 66.5 : 28.5 : 5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참취녹즙이 사염화탄소 투여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식이군(NC군), 혼합 참취녹즙 식이군(BA군), 정상식이 4주 후 를 투여하는 정상식이 사염화탄소 대조군(군) 및 혼합 참취녹즙 식이 4주 후 를 투여하는 혼합 참취녹즙 사염화탄소 대조군(군)의 4군이었다. 식이섭취량은 모든 처리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
        3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재배지 180지점으로부터 토양을 채취하여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및 유효인산함량을 측정한 결과 재배년수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채취한 토양의 메탄올추출액으로 상추종자 발아실험을 실시한 결과 5~6년 재배지의 토양에서 종자발아나 유묘생장을 강하게 억제하는 토양추출액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토양 추출액중 발아와 유묘생장을 억제하였던 추출액은 인삼배양세포의 활력을 최대 90%까지 억제하였으나 전해물질의 누출은 증가하지 않았다. 토양추출액으로 세가지 종류의 항산화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superoxide dismutase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상추유묘의 생체중억제형 토양추출액을 처리한 인삼배양세포의 peroxidase의 활성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catalase의 활성은 발아억제형 및 생체중억제형 토양추출액 모두에서 유의한 억제를 보였다.
        38.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residual solvents and mineral components(11 kinds) in ginseng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ng conditions(5 types) and commercial ginseng extract products(domestic, imported). Fine root was extracted with solution having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after hexane treatment. Among 5 type extracts, residual solvent(hexane) was detected ginseng extracts treated ethanol mixed with hexane. But extracts that dried after soaked in hexane wasn't detected hexane. Mineral components(Al, Mn, Fe, Cu and Zn) were detected in fine root and 5 types of extracts. The contents of mineral components between fine root and extracts with various extracting conditions were similar, however, extracts that dried after soaked in hexane showed the lower amount in Al, Fe, Pb than the others. In comparison with commercial ginseng extract products(domestic, import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ineral was similar but the contents were a little different.
        39.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백삼으로부터 온도 및 에탄올 함유 비율을 달리하여 조제된 추출물들에 대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검정하고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가지 조건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인삼분말에 대한 수율과 총 페놀함량은 85℃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했을 때 42.25% 및 0.82%로 가장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가온조건이 상온조건보다 높았다. 상온 50% 에탄을 추출물로부터 조제된 분획물의 수율은 물 분획이 72.08%로 가장 높았고, 총 페놀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6.59%로 가장 높았다. 2. 10가지 추출물의 ACE 저해활성을 실험한 결과 4000μg/ml의 농도에서 상온 50% 에탄올 추출물이 93.8%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이 값은 시판 ACE inhibitor의 85.2%보다도 월등하게 높은 수치였으며 분획물은 핵산(201%) 〉 에텔 (105%) 〉 에틸아세테이트 (67%) 〉 부탄올 (46%) 〈 물 분획 (19%)의 순으로 효과가 높았다. 3. 사람 LDL에 대한 산화저해효과 실험에서는 85℃에서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이 200μg/ml의 농도에서 78.2%로 가장 효과적으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모든 추출물들이 60%이상의 높은 산화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에 대한 LDL산화저해효과 검정 실험에서는 에텔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10~200 μg/ml의 농도에서 34.38%~78.13%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4. 각 에탄올 추출물의 linoleic acid 과산화저해 및 DPPH라디칼 소거효과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비교 실험된 시판 천연 항산화제인 α-tocopherol보다 매우 낮았다. 5 상관분석의 결과 총 페놀함량과 ACE 저해활성은 P〈0.05의 수준에서 0.6353의 유의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인삼이 ACE 저해 및 LDL산화 저해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총 페놀함량이 많이 추출될 수 있으며 수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조건은 상온 혹은 가온의 50% 에탄올 추출조건이었으며 인삼은 이러한 활성에 의해 항고혈압 및 동맥경화예방의 효과를 발휘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40.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panax ginseng C.A. Meyer) 추출물 단독의 항산화 활성과 홍삼추출물에 삼백초(Saururus chinensis(Lour.) Baill.)와 복분자(Rubus coreanus Miq.) 추출물을 농도별로 보충 급여 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rague Dawley rat에 이들 추출물을 8주간 섭취시킨 후 희생시켜 간장 cytosol중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T 등의 항상화 효소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급여군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의 효소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높았다. 특히 홍삼 단독보다는 삼백초와 복분자를 보충급여시 상승효과가 높았으며 급여기간이 길수록 그 효과가 높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