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5

        38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influence ha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nvironmental awareness in time of teaching environmental problem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and from non-animistic viewpoi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its research targeting 126 students in fourth grade at 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suggested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re-edifying the already suggested environmental problem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to 62 students for two classes which were classified as an experimental group after sampling 10 cases of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ight derive from the earth system, and conducted the class on 10 main topics relevant to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environment with an animistic viewpoint excluded targeting the remaining 64 students forming a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an ex-ante ex-p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an environmental clas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However, there didn't appea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mparison group. This study interprets this result to mean that elementary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 because they think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associating them with a problem of life when the students receive the environmental clas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Second, there appeared an ex-ante ex-p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an environmental class from an animistic viewpoint. However, there didn't appea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mparison group. Regarding this aspect,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uch higher willingness to environmental act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be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of inanimate objects as living things.
        38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에 관한 유치원의 유아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국민건강자료를 제공하 는데 의의가 있으며, 2011년 7월 G광역시 H유치원 학부모 101명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아 54명 총 15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학부모 97명 만5세아(남27명, 여23명) 50명 총 147명의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였 다. 결론적으로 일본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 피해에 대해 언론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며, 유치원에서도 구체적이고 실 제적인 교육과정으로 유아와 학부모에게 교육, 홍보해야만 국민복지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384.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평가의 목적 및 방법, 평가의 영역 및 지표, 평가의 만족도 및 결과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교원 중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원 14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유치원 평가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 제고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 평가는 3년 주기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며, 평가의 절차는 자체평가와 현장평가로 실시되어야 하며, 유치원 평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가 절차 및 서류의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유치원 평가 영역 및 지표의 내용이 많고 광범위한 것은 부적절하며 평가 영역에 따른 지표의 범위 축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국가공통지표 외에 자체지표가 필요하며, 교육과정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유치원 평가제도의 만족도는 보통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평가결과는 해당 유치원에게만 공개하고 평가영역별 우수 유치원의 사례를 선정하여 교육청 홈페이지에 탑재하는 것이 적절하며, 각 유치원의 교육과정 및 운영을 위한 피드백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385.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nse of crisis on seriousness of earth environment is gradually getting greater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education followed by this trend is being highlighted. As an environment friendly New Environmental Paradigm opposed to the human Dominant Social Paradigm on the existing environment is on the rise, the environment education considers not only the perceptive field, but the definitive field and behavioral pattern to follow as important values. Accordingly, the basic awareness of students on environment was found out in order to perform a proper environment education and tried to find out the behavior pattern that the students have on environment on this basis . For th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the one that has revised the Revised NE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Geum, Ji Hun․Kim, Jin Mo have validated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while the test paper was prepared by dividing into recycling behavior, energy preservation behavior and source of informat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600 students in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iding in Kimhae, Gyeongsangnamdo while the mean,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5.0 statistics program for a total of 462 copies including 235 copies from male students and 227 copies from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ryone had high pro-NEP tendencies on the environmental problem with 4.14. On the other hand, the anti-NEP did not have high awareness standard with 2.98. Second, the awareness level on resource recycling was shown as being quite high with 4.05. Between NEP and resource recycling, a positive correlation of r=.155 was shown so that the awareness level on resource recycling was getting quite high as the awareness on environment problem was getting higher. Third, the awareness level on energy saving activity was shown as being very high with 3.0. Between NEP and resource recycling, a positive correlation of r=.210 so that the awareness level on energy saving was getting quite high as the awareness on environment problem was getting higher. Fourth, for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problems of region, our country and global village, the television and internet were shown as main sources of information while the ratio of positive answers on teachers and region as sources of information was shown as quite low.
        38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생활원예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서울과 수도권 도시민들의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생각과 태도와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적 분석(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286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생활원예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시민들에게서 생활원예에 참여한 기간은 그들의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 인식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다시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교육과 정책에 대한 요구인식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로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기간과 생활원예 경험 및 원예 관련용어 인지 경험에 따른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과 관련된 인식의 차이는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경험을 갖고 있거나 생활원예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에 비하여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통계를 통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중앙정부 및 교육 당국자와 지방정부에서는 도시 생활원예의 보급과 확산을 위한 적절한 원예교육과 정책수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덧붙여, 도시 생활원예 관련 학계에서는 시민들에게 도시 생활원예를 보급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이다.
        38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년대 이후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의 급증으로 인해 한국 사회도 점점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 가고 있으나 한국사회의 순혈주의와 단일 민족주의로 인해 이들을 같은 한국 국민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갈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알아보고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배경변인으로는 다문화 교육 경험, 비형식적인 다문화 경험, 어머니의 양육태도, 개인 배경이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F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 교육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 요인 중 미디어 요인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남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성적이 높을수록, 외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성별, 다문화 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다문화 교육은 비형식적인 경험과 개인적인 배경요인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일반 학생들이 다문화적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38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bots need to understand as much as possible about their environmental situation and react appropriately to any event that provokes changes in their behavior. In this paper, we pay attention to topological relations between spatial objects and propose a model of robotic cognition that represents and infers temporal relations. Specifically, the proposed model extracts specified features of the co-occurrence matrix represents from disparity images of the stereo vision system. More importantly, a habituation model is used to infer intrinsic spatial relations between objects. A preliminary experimental investigation is carried ou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under real test condition.
        390.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태국에서 이문화인식과 학습동기를 통한 한국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일련의 방안을 강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화적 측면을 고려함은 문화 상호간 무슨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가 문화간 의사소통에 어떤 문제를 야기시키는지, 또 문화차이가 존재하게 되는 이유 등을 규명하게 한다. 언어문화통합교육은 학습자 중심 교육은 물론 실제 자료의 사용으로 효과적인 과제 중심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언어학습에 있어서 이문화인식은 양국 문화의 특징을 상대성과 다양성의 측면에서 충분히 이해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학습자와 교사들은 의사소통적 기능뿐만 아니라 문화간 인식에도 많은 관심과 지식을 가져야 한다. 한국어학습자의 학습동기 유발과 이문화인식은 학습자들이 무엇을 배우기를 원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에 우선 전략적 바탕을 두어야 한다, 더불어 한국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양국 정부, 대학교 및 기업의 역할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91.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awareness synthetically with the drawing activity fo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writing test that cannot measure emotional aspect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have negative viewpoints on reasonable judgement for the present and future environment of the earth, while they show hope to live in better environment in their mind. Furthermore, it found that the drawing activity can be adopted as a complement for the traditional measuring method of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hrough which this middle school students' sensibility to the environment can be shown. It also inferred that the drawing activity can be used as a way of education during school classes for environment and it can increase the sensibility to the environment in mind.
        392.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가 학력,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와 관련 지식은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현장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은 그다지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정도와 실시 방법 면에서는 ‘필요시마다 실시한다’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교수 방법을 알아본 결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과 대․소집단 활동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편견 교육 활동 시 참고 자료는 교육부 지도 자료집을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다고 나타났고, 교수 매체는 ‘시각매체(도서자료 등)’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의 교사 연수에 관한 참여 정도는 전체적으로 2년에 1회 정도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학력이 높고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반편견 교육의 연수 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가정 통신문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에 가장 높은 반응이 나타났고, 반편견 교육의 문제점으로 워크숍 또는 연수 기회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 된다고 분석되었고,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반편견 교육자료 개발과 반편견 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계발이 시급히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