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7

        402.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Spodoptera litura nuclear polyhedroses virus: SINPV) 미생물살충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기주식물, 온도 보관조건 및 태양광선에 의한 병원성 및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콩잎에 살포한 SlNPV의 담배거세미나방 3령과 5령 유충에 대한 은 각각 와 였으며 에 대한 은 3령과 5령에 대하여 각각 7.3일파 8.9일이었다. SINPV는 에서 4시간, 에서 1 10분 처리하였을 때 활성이 저하되었으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한 활성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SINPV는 동결보관이 나 보관보다 안정적인 활성을 유지하였다. 콩잎표변에 살포한 SINPV는 콩잎표변에 살포한 경우 3일 후에 불활화하였으나 콩잎 이면살포에서는 10일간 활성이 지속되었다.
        4,000원
        403.
        198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chemical composition, TDN yield of corn-soybean intercropping and corn monocropping forage plants at different harvesting time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both cropping systems, the content of chemi
        4,000원
        404.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per unit area of two cropping systems, corn monoculture and 'wrnsoybean intercropping, were compared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two cultivation syste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leaf leng
        4,000원
        405.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소원(窒素源)을 달리한 비료시용(肥料施用)이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수량(收量), 영양성분(營養成分) 및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 등(等)에 미치는 비효(肥效)는 다음과 같다. 대두(大豆)의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유사(類似)하였으나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있어서 절수(節數)가 적었다. 근류수(根瘤數)와 무게는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낮았고 그 밖의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근류수(根瘤數) 당(當)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생육초기(生育初期)와 개화기(開花期)에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pod 신장기(伸長期)에서는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비교적 높았다. 대두(大豆)의 100립중(粒重) 및 10a 당(當) 수량(收量)은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높았고 무질소구(無窒素區)는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보다 대체로 낮았다. 또한 대두(大豆)의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비해 높았고 조지방(粗脂肪) 함량은 오히려 낮았다. 조회분(粗灰分) 함량은 시용구간(施用區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조섬유(粗纖維) 함량은 기존복비구(旣存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에 비해 높았다. Ca, P, Na, K, Mg, Zn, Mn 및 Cu 함량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Fe 함량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에 비(比)해 월등히 낮았으며,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은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407.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dicarb와 carbofuran 두 가지 살선충제의 콩시스트 선충초기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하여 각약제의 선충의 생존, 침입 및 생식에 대한 결과를 온실보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Ajdicarb은 선충의 생존(활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carbofuran은 선충의 활력에 결과가 없었다. 선충의 침입저지결과는 두 약제 모두 우수하였다. 약제처리에 의한 선충의 침입률은 대조구에 비해 aldicarb의 경우는 0.4%, carbofuran의 경우는 1.7%였다. 선충출입후 콩뿌리내의 선충생장에 미치는 영향, 즉 살선충제의 침투성결과는 두 약제 모두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aldicarb이 carbofuran 보다 그 결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선충에 오염된 토괴에 유묘이식시 살선충제를 처리한 결과, 각약제 처리구에서 cyst 형성율은 저 하되 었으나(p=0.05), 선충의 生存, 침입 및 생식에 미치는 살선충제 영향의 합계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08.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oybean cultivation originated from Wang-Gong (B.C. 685-643) of China who brought it from northeast Asia, for the first time. FUKUDA, of Japan divided soybean into three species-the wild, the cultivated and the intermediate. From the result of that study, he concluded that the soybean originated in northeast Asia. But Wang Kum Rung of China insisted that soybean originated in Hwa-Nam, because the soybean is a shortday plant and the agricultural history of Hwa-Nam, south of China, is older than that of northeast Asia. However, agriculture in northeast Asia had been already begun about B.C. 4000-6000 and the origin of culture cannot be decided only by photosensitivity. It has been proved that soybeans found in Korea were same as the ones of B.C. 2000. The soybeans of northeast Asia meet the conditions of the probable place of origin of cultivated crops established by Vabilov. Accordingly it is concluded that soybean has been originated from northeast Asia.
        4,000원
        409.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씨스트선충(線蟲)의 race를 판별(判別)하고 그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콩씨스트선충(線蟲)은 race 1과 race 3, 경기도(京畿道)에서 race 3, race 5, race c 그리고 충청남도(忠淸南道)에서 race 1과 race 5가 각각(各各) 판별(判別)되었다. 2. 같은 지역(地域), 적어도 같은 면지역(面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콩씨스트선충(線蟲)의 race는 동일(同一)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3. 각(各) race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race 1이 52.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race 5가 28.6%, race 3이 14.3% 그리고 race c가 4.8%의 순(順)이었다. 4. 판별(判別)된 4개(個) race 중(中)에서 race 3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판별(判別)된 race였다.
        4,000원
        410.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hizobium의 Nitrogenase 생성요인(生成要因)과 감염기작(感染機作)을 구명(究明)하고 배양세포(培養細胞)와 Rhizobia의 혼합배양(混合培養)에서 질양고정계(窒養固定係)를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황금(黃金), 남천(南川), D68-0099등(等) 세 품종(品種)을 조직배양(組織培養)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형성능(形成能)은 배(胚)와 유근(幼根)에서는 양호(良好)하나 배축(胚軸)에서는 전혀 없었으며 2mg/ 2,4-D, 4mg/ NAA에서 가장 양호(良好)하고 2,4-D/Kinetin 조합농도(組合濃度)에서는 0.2mg(2,4-D)/과 0.05mg(Kinetin)/에서 가장 이상적(理想的)이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에는 2,4-D 2mg/와 2,4-D (0.2mg/)/Kinetin(0.05mg/)일 때가 가장 양호(良好)하며 R. japonicum 019, 011을 접종(接種)하였을때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은 상당히 둔화되었다. 단일(單一) 아미노산은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을 저해(沮害) 하였는데 황금(黃金)의 경우 Methionine, Leucine에서 저해(沮害)가 가장 컷으며 다른 아미노산의 첨가(添加)로 저해작용(沮害作用)이 상당히 회복되었다. 부정근(不定根)의 생성(生成)은 2,4-D 2.0mg/에서나 0.2mg/ 2, 4-D/0.05mg/ Kinetin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세포(培養細胞)-Rhizobium의 친화(親和)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25개(個) 사용(使用) 균주중(菌株中)에서 황금(黃金)에서는 10개(個) 균주(菌株), 남천(南川)에서는 7개(個) 균주(菌株)에서 나타났으며 D68-0099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황금(黃金)의 경우(境遇) 85-HG-1 019, 007, 남천(南川)에서는 007, 119등(等)이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4,000원
        411.
        198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ositional and quantitative changes of 4-desmethylsterols in soybean (Glycine max. cv. Gangrim) seed and pod at six stages of development from flowering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4-desmethyl-, 4-monomethyl- and 4,4-dimethylsterols in developing soybean seed and pod was found to vary between 0.16-0.35, 0.04-0.12 and 0.04-0.06%, respectively. The predominating 4-desmethylsterols were sitosterol, campesterol and stigmasterol. The proportion of sitosterol in seed decreased to 57.0% with maturation, while in pod increased up to 88.7%. △7,22,25 Stigmastatrienol estimated 7.5% was detected in the fully mature seed.
        4,000원
        412.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ybean and mungbean sprouts are vegetables indigenous to Korea which have been grown throughout the year from the most remote age. They had been called interchangeably as duchaeah or duah. Control method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oybean or mungbean sprouts growing had been already appreciated from long time ago. A growing method once developed might have been handed over considerable period. Siroo (시루) and yongsoo (용수) had been the most common containers and the watering skill is of the utmost importance for soybean sprouts growing. As the demand of soybean sprouts in the market increased, a pit has been used for bean sprouts growing, and transformed into regular soybean sprouts factory. Now bean sprouts are international food and the demand of bean sprouts seems permanent in Korea. Accordingly the long-term policy concerned with the production of soybean sprouts should be prepared, placing emphasis on improved quality and safety.
        3,000원
        413.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모자이크바이러스병(病)의 방제(防除)를 위(爲)하여 본(本) 바이러스병(病)의 몇가지 발생요인조사(發生要因調査) 및 저항성(抵抗性) 검정(檢定)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각지역(各地域)에서 재배(栽培)되는 대두(大豆)의 콩모자이크바이러스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영주외(榮州外) 14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가 30%이상(以上), 남해외(南海外) 22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 완도외(莞島外) 43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이었고 연기용호에는 종자전염주(種子傳染株)가 없었다. 포장(圃場)에서 진딧물발생밀도(發生密度)의 증감(增減) 1개월후(個月後)부터 발병율(發病率)에 차이(差異)가 나타났다. 엽모(葉毛)의 길이가 짧고 조밀(稠密)한 품종(品種)에 가장 매개(媒介)진딧물의 부착(附着) 및 흡즙충수가 적었고, 엽모(葉毛)가 길고 조밀(稠密)한 것에는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부착충수가 적었으며, 엽모(葉毛)가 길고 엉성한 것에 부착(附着) 및 흡즙충수가 가장 많았다. 감염시기(感染時期)에 따른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6월(月) 20일(日)에 감염(感染)된 대두(大豆)에서 높았고, 7월(月) 20일(日)과 8월(月) 20일(日)에 감염(感染)된 대두(大豆)에서는 아주 낮았다. 대두종자부분(大豆種子部分)의 부위별(部位別) 바이러스전염(傳染) 조사(調査)에서는 배(胚)와 배유(胚乳)에서 바이러스소재(所在)가 확인(確認)되었고, 미숙종자(未熟種子)가 완숙종자(完熟種子)보다는 감염율(感染率)이 높았다. 반문(斑紋)이 있는 종자(種子)는 반문(斑紋)이 없는 종자(種子)보다 다소(多少) 높은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을 보였으나 반문(斑紋)이 심(甚)하여도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높지 않았다. 그리고 발아율(發芽率)에서는 반문(斑紋)의 영향(影響)이 없었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 검정(檢定)에서 Columbus외(外) 14품종(品種)이 이병성(罹病性), Chief외(外) 14품종(品種)이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 장백(長白)콩외(外) 17품종(品種)이 저항성(抵抗性)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14.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씨스트선충(線蟲)에 대(對)한 저항성품종육성(抵抗性品種育成)을 위하여 경북, 충북, 전남 3 개도 13지역(地域)에서 콩씨스트선충(線蟲)의 race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Race 1 이 1계통(系統) Race c가 1계통(系統) 그리고 Race 5가 11계통(系統)으로 우리나라에서는 Race 5가 우점 race임을 알 수 있었다. 콩씨스트선충(線蟲) Race 5에 대(對)한 재래종(在來種)콩 203계통(系統)에 대(對)하여 포장저항성검정결과(圃場抵抗性檢定結果) 재래종(在來種)은 계통번호(系統番號) 18, 21, 36, 38, 41, 42, 43, 45, 55, 59, 68, 72, 75, 79, 93, 94, 95, 98, 123, 131, 136, 146, 170, 174, 187, 190, 191 등 27 계통(系統)이 한뿌리당 씨스트의 수(數)가 10 개미만으로써 다른 계통(系統)에 비(比)하여 적게 증식(增植)되었고, 나머지 176계통(系統)은 많이 증식(增殖)되었다. 포장실험(圃場實驗)에서 비교적(比較的) 선충(線蟲)의 증식(增殖)이 적게된 27 계통(系統)을 선발(選拔)하여 Pot에서 재검사(再檢査)를 한 결과(結果) 계통번호(系統番號) 170(음성군, 조촌리(陰城那, 助村里)) 번이 한 주(株)당 씨스트의 수(數)가 10개로 중정도(中程度)의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냈고 계통번호(系統番號) 55(영풍군, 내림리(榮豊那, 內林里))번은 다른 계통(系統)에 비(比)하여 다소 선충(線蟲)의 증식(增殖)이 적게 되었으나 나머지 25계통(系統)은 모두 30개이상(個以上)으로 많이 증식(增植)되어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다. 그리고 도입품종(導入品種) 25종중(種中)에서는 Peking, IIlsoy, PI90763 등 3품종(品種)은 포장(圃場)과 Pot실험(實驗)에서 다같이 선충(線蟲)의 증식(增殖)이 전혀 되지않는 저항성(抵抗性)으로 나타났고 Custer. Delmar, Dyer, Jackson 등 4품종(品種)은 씨스트의 수가 10개미만으로 비교(比較的) 적게 증식(增殖)되어 중정도(中程度)의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냈으나 나머지 18품종(品種)은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다. 수량성(收量性)을 검사(檢査)한 재래종중(在來種中)에서는 계통번호(系統番號) 170번이 역시 주당분지수, 주당협수 주당협중, 100립에 있어서 무감염구(無感染區)에 비(比)하여 감수율(減收率)이 각각(各各) 0%, 1.8%, 1.2%, 1.7% 로서 외국(外國)에서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으로 알려진 Peking, PI90763 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계통번호(系統番號) 55, 75, 187번은 다른 계통(系統)에 비(比)하여 다소 낮은 감소율(減少率)을 나타냈다. 도입종중(導入種中)에는 Peking 과 PI90763 이 주당분지수 주당협수, 주당협중 및 100립중에서 모두 1.6% 이하의 낮은 감소율(減少率)을 나타냈으나 Illsoy 는 주당협수와 주당협중에서 3.8% 및 3.4%의 다소 높은 감소율(減少率)을 나타낸 한편 Custer, Delmar, Dyer, Jackson 등은 비교적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15.
        198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acid, peroxide, iodine, thiobarbituric acid values, and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s of some vegetable oils added to soybean milk. A storage temperature of 100℃ was used for the oxidation of the oils, and to determine of variation of the chem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all the samples were carried out in every 8 hours for 40 hours. Th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vegetable oil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The acid values of the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0.05, 0.12, and 0.06,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0.08, 0.18, and 0.09, respectively. 2. The peroxide values of the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0.3, 1.0, and 0.3,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1.1, 1.1, and 0.9, respectively. 3. The iodine values of the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132.7, 124.1, and 57.0,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127.3 108.3, and 52.0, respectively. 4.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0.18, 0.05, and 0.02,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0.25, 0.19, and 0.07, respectively. 5. The percent content of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soybean, corn, and palm oils freshly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2.3%,2.5%,and 25.2%for palmitic acid, 3.2%,3.2%,and 4.8%for stearic acid, 39.7%, 40.7%, and 59.3% for oleic acid, 49.9%, 53.0%, and 10.5% for linoleic acid, and 4.7%, 0.4%, and 0.7% for linolenic acid, respectively.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2.9%, 4,5%, and 36.7% for palmitic acid, 8.5%, 6.8%, and 7.0% for stearic acid, 37.8%, 38.8%, and 49.2% for oleic acid, 46.2%, 49.5%, and 5.8% for linoleic acid, and 4.2%, 0.1%, and 0.1% for linolenic acid, respectively. The fatty acid compositions changed significantly: the amounts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considerably. The r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greater stability of the palm oil as compared with the stability of soybean oil and corn oil added to the soybean milk.
        4,000원
        416.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大豆)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의 포장검정(圃場檢定)에 적합한 생육시기(生育時期)를 결정하고 수집재래종(蒐集在來種)으로부터 저항성인자원(抵抗性因子源)을 찾기 위 하여 본실험(本實驗)을 수행하였던 바, 1.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현저하였으며 수직감염율(垂直感染率)과 병반면적율간(病斑面積率間)에는 상관(相關)이 있었다. 2. 병반면적율(病斑面積率)과 병진전곡선면적(病進展曲線面積)과의 상관도(相關度)는 대두(大豆) 생육기중(生育期中) 개화기(開花期)에서 가장 높아 포장에서의 저항성 검정시기는 개화기(開花期)가 적당한 것으로 보였다. 3. 수집재래종(蒐集在來種) 1,428계통의 저항성(抵抗性) 검정결과(檢定結果) 고도저항성(高度抵抗性) 계통(系統)은 발견할 수 없었고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인 4 계통(系統)을 선발할 수 있었다.
        3,000원
        417.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계통 SMV-G7의 감염에 의하여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는 함안 품종과 괴저병징이 나타나는 광교를 공시하여 (99평)의 포장 중앙 (1평)에 함안을 파종, 접종한 후 주변 시험구(1평씩 99구)에는 광교를 파종하여 SMV의 발생생태를 조사하였다. 광교에서 SMV 이병주율은 7월 13일에 가장 심하였고 황색수반으로 채집한 진딧물 밀도는 6월 22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함안과 인접한 시험구의 SMV 이병주율은 평균 , 포장전체의 이병주율은 평균 로 나타났다. 풍향과 바이러스 이병율을 분석한 결과 SMV의 전파는 바람부는 쪽으로 일정한 gradient를 형성하여 SMV 전파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000원
        418.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에 기생하는 선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북 및 충북의 15개시군 총 71개포장에서 재료를 채집하여 선충을 분리 동정한 결과, Aphelenchus avenue,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ipsaci Helicotylenchus pseudorbustus, Heterodera glycines, Hischmanniella imamuri,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Paratylenchus panadus, Pratylenchus thornei, Pratylenchus vulmus, Psilenchus hilarulus, Rotylenchus sp. Tylenchu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 Tylenchorynchus, Tylenchorhynchus, Xiphinema americanm 등 총 8과 14속 18종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 Heterodera glycines가 가장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선충의 검출율에 있어서 콩 Cyst선충은 충북이 , 지이 로 충북이 높았고 반면에 뿌리혹선충은 경북 , 충북이 로 경북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포장에 있어서 Cyst선충의 절대밀도는 토양 100l당 200.4이며 상대밀도는 로 가장높게 나타났고, 뿌리혹 선충은 절대밀도가 107.1이며 상대밀도는 로 다음이였으며, Rotylenchus, Tylenchorhynchus, Tylenchus, Pratylenchus, Xiphinema, Aphelenchus등의 순이였다. 피해가 심한 포장에는 콩 Cyst의 밀도가 토양 100ml 당 평균 155개이고 경한 포장에서는 평균 35개로 밀도가 높았으며 수확량은 평균 64.2kg/10a로 209.5kg/10a에 비하여 가 감소되었다. 전피해조사포장에 있어서 콩 Cyst선충수는 수확량, 협중, 협수간에는 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200원
        419.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씨스트선충의 방제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공씨스트선충(Heteropera glycines)의 race를 검정하고 콩 장려 16품종들의 콩씨스트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들 중에서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race 5에 대하여 저항성 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황금콩, 힐콩, 단엽콩 등이 비교적 선충의 증식이 적게되는 품종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일본에서 공씨스트선출에 저항성 품종으로 육성된 "동북태"(Kaiden)는 아주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며, 기국에서 감수성 판별품종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엽콩" (Essex)과 "힐공"(Hill)은 다른 품종보다 선충의 증식이 적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콩씨스트선충은 지역에 따라서 race가 다르게 나타났나. 전남 화순에서는 race 1, 경남 염산과 경기도 수원에서는 race 5 그리고 경북 선산에서는 새로운 "race c" 등 3개의 race가 검정되었다. 이 실험에서 우리나라에도 공씨스트선충의 race 1, race 5 및 race c가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밟혀졌다.
        4,000원
        420.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 콩 종자의 모자이크 바이러스(Soybean mosaic virus, SMV) 감염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8개 품종을 공시해서 Lima와 Purcifull의 면역이중확산법으로 SMV 검정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7개 품종 중 6개 품종에서 SMV가 검출됨으로서, 우리 나라의 콩 품종에서 SMV의 종자전염성이 혈청학적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SMV가 검출된 종자의 종자감염성율은 최저 에서 최고 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는 총검정립수 336립 중 18립에서 SMV가 검출됨으로서 약 의 감염율을 보였다. 2. 이병주에서 채집한 갈반립과 무갈반립수의 SMV 감염율은 북해 1호 품종의 경우 각각 와 Clark 품종의 경우 각각 와 , Woodworth 품종의 경우는 갈반립과 무갈반립 모두 의 감염율을 나타냄으로써, 공시한 콩 품종의 갈반립과 무갈반립간엔 SMV 감염율에서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SMV에 감염된 광교품종 중 괴저병징을 나타내는 개체에서 채종한 종자에서는 전혀 SMV가 검출되지 않아 광교품종에서는 SMV-N가 종자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