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개발사업 규모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간접비 금액도 증가하 고 있다. 간접비는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에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도 높아 지고 있다. 현재 국가 연구개발과제의 실제 간접비율이 고시비율보다 현저하게 낮다는 주장 들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제 간접비율의 계산에 고시된 간접비율을 적용하지 않는 간접비 예외사업이 포함되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 간접비 예외사업은 고시간 접비율의 적용이 곤란한 사업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업에 한정하여야 하는데, 이에 대한 검토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간접비 고시비율 예외 적용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당해 사업에서 간접비 발생 원인을 탐색하여 적정한 간접비 지급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간접비 고시비율 예외사업을 조사하고, 정률 예외사업의 원가동인을 탐색하여 적정한 간접비 지급기준을 설정함으로써 합리적인 사업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원가동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우선 정률예외사업에 대한 특성과 비목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정률예외사업별로 각각 비목 구성의 고유한 특성이 도출되었다. 기반구축사업에서는 연구장비재료비의 비중이 50%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인력양성사업에서는 학생인건비의 비중이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제공동예산사업 에서는 국제활동비를 식별할 수 없었으나, 연구장비재료비의 비중이 50%로 가장 높으며, 연구활동비가 3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평가조정사업은 내부인건비(37%), 연구 과제추진비(21%), 연구활동비(19%)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관별로 큰 차이가 없어서 예 외적용사업이 아닌 일반사업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각 사업별로 비목 구성비율의 특성에 따른 원가동인을 고려하여 조 정간접비율을 산정하는 식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 정률예외사업에 적용될 고시 간접비율 설정방안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1) 사업 특성별로 거액 비목은 간접 비율 계산에서 제외하고 고시비율 적용한다. 2) 정률예외사업을 분리하여 별도의 고정간접비율 적용한다. 3) 고시사업과 통합하되 특정 거액 비목은 제한을 설정하여 고시비율 적용한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 정률예외사업에 대하여 처음으로 원가구조를 분석하고, 합리적인 간접비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간접비는 직접비와 함께 국가연구개 발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기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간접비 고시비율 예외적용 기준안을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연구기관에 실소요 간접비를 지원함으로써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세계 각국은 국가 안보, 국민 삶의 질 향상 등 국가 발전을 위한 중점 분야로 우주개발을 추진하는 신() 우주개발 경쟁시대에 돌입하였다. 각국 정부는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우주활동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고, 또한 많은 민간 산업체는 유용한 우주 제품과 서비스 분야에 대한 상업적인 활동을 증가시키고 있다. 우주발사체는 우주공간으로의 접근을 위한 유일한 운송 수단으로서 우주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시스템(체계)이다. 우주발사체는 고성능, 고신뢰성, 극저온·초고온, 초고압, 고청정 등 극한 기술의 적용과 십만 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대표적인 대형복합 체계이다. 이러한 우주발사체 개발을 위한 사업은 개발 기간 동안 예상할 수 없는 많은 기술적 불확실성이 잠재되어 있어 매우 도전적인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우주발사체 개발 사업에서 계획된 일정과 예산 범위 내에서 기술적 임무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발사체 핵심 기술과 함께 성숙된 체계 관리 기술의 적용이 필요하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가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라 한국형 우주발사체를 첫 독자 개발하 기 위한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강연은 발사체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활동과 더불어 체계관리 기술의 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형 우주발사체 개발 사업에 맞는 실제적인 체계관리 체계를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는 현황을 소개하고 점진적인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For the asset management of a water pipe network, it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xtent of the maintenance cost required for the water pipe network for the future. This study would develop a method to draw the optimum cost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pipe network in waterworks facilities to maintain the aim revenue water ratio and to achieve the target revenue water ratio, considering the water service providers’ waterworks condition and revenue water ratio comprehensivel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96 water service providers as of the early 2015 and developed models to estimate the optimum maintenance cost of the water pipe networ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ervice providers. Si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all the developed models was higher than 0.95, it turned out that it had significant reliabilit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models to the actual water service providers, it was drawn that increasing revenue water ratio to more than a certain level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water pipe network by a great deal.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the most efficien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waterworks management by increasing the short-term revenue water ratio to more than a certain level and gradually increase the revenue water ratio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planning the maintenance of water pipe network or establishing a plan for waterworks facilities asset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 is a tool for smooth operation during a full cycle from the design to normal operation including the schedule, document, and budget management, and document management is an important work for big projects such as the JRTR (Jordan Research and Training Reactor). To manage the various large documents for a research reactor, a project management system was resolved, a project procedure manual was prepared, and a document control system was established. The ANSIM (Advanced Nuclear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a document management folder, document container folder, project management folder, organization management folder, and EPC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document folder. First, the system composition is a computerized version of the Inter-office Correspondence (IOC), the Document Distribution for Agreement (DDA), Design Documents, and Project Manager Memorandum (PM Memo) works prepared for the research reactor design. Second, it reviews, distributes, and approves design documents in the system and approves those documents to register and supply them to the research reactor user. Third, it integrates the information of the document system-using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as well as users’ rights regarding the ANSIM document system. Throughout these functions, the ANSIM system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vitalization of united research. Not only did the ANSIM system realize a design document input, data load, and search system and manage KAERI’s long-period experience and knowledge information properties using a management strategy, but in doing so, it also contributed to research activation and will actively help in the construction of other nuclear facilities and exports abroad.
본 연구는 ‘주택재건축사업에서 부패가 왜 발생하는가? 에 대한 근본적이고 원론적인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입된 공공관리제도를 포함하여 주택 재건축사업제도의 일반론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사업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관계자의 역할과 책임을 통하여 재건축사업 추진과정에서 각 사업참여자들 사이에 발생하는 부패의 문제를 공공의 참여와 감독을 통하여 개선 가능성을 조망하고자 한다. 주택재건축사업과정 에서 발생하는 부패의 근본원인을 찾고 이를 유형화해보고 그 통제방안을 공공관리제도 제 도의 틀 안에서 제도적 개선사항과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Korea's modern waterworks began with construction of DDukdo water treatment plant in 1908 and has been growing rapidly along with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water supply rates have reached 98.5% based on 2013. Despite multilateral efforts for high-quality water supply, such as introduction of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expansion of waterworks infrastructure and so on, distrust for drinking tap water has been continuing and domestic consumption rate of tap water is in around 5% level and extremely poor comparing to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56%), Japan(52%), etc. Recently, the water management has been facing the new phase due to water environmental degrad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aging facilities, etc. Therefore, K-water has converted water management paradigm from the "clean and safe water" to the "healthy water“ and been pushing the Smart Water City(SWC) Pilot Project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new water supply models for consumers to believe and drink tap water through systematic water quality and quantity management combining ICT in the whole water supply process. The SWC pilot projects in Pa-ju city and Go-ryeong county were an opportunity to check the likelihood of the "smart water management" as the answer to future water management. It is needed to examine the necessity of smart water management introduction and nationwide SWC expansion in order to improve water welfare for people and resolve domestic & foreign water problems.
『Act on Facilitation of Purchas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 Manufactured Products and Support for Development of Their Markets』 was created and implemented. The act states that the materials designated by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re directly purchased from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provided to the construction companies so that the materials can be provided as GFGI (Government Furnished and Government Installed) in the case of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This thesis is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n the problems of each project party and understand their improvement requests so that mutually beneficial plans can be sought and improved process is presented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direct construction material purchase system as well as successful construction projects. And This thesis summarized the purpose of the institutions and their change histories, and related law as well as code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the purchase system and the analyses as well as the improved process on the difficulties in complying with the current institutions.
현대사회가 발전 할수록 대량산업화와 도시화가 심화되어 건축물의 초고층화 및 대형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안전적인 건축물 보다는 건물 및 제조사업장의 시각적인 디자인에 치우쳐 화재하중이 높은 건축자재의 내·외장재 및 고급스러운 장식물을 사용함으로써 그 위험뿐 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대규모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제조사업장화재는 화재로 인한 직접적인 손실 즉 물적 손실은 물론 생산중단으로 인한 간접적인 손실은 실로 측정하기가 어렵다. 지금까지 발생한 제조사업장화재의 발화요인별 분석은 부주의, 전기적, 미상 순으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고 발화열원은 작동기기, 담뱃불(라이터), 마찰․전도․복사등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고 대형화제 취약시설로는 공장 및 창고로 나타나고 있다.
소방방재청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2012년 화재 발생현황 중 발화요인에 대한 화재별 장소 건수를 검토 한 결과 비주거의 화재발생 16,009건 중 5,758건으로 (36%)부주의이고, 주거에도 화재발생 10,715건 중 5,560건으로 51.9%의 부주의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제조사업장의 사소한 부주의로 발생하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처우개선과 기업활동규제완화의 겸직 허용을 재검토 하여야 하며 , 소방안전관라자의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소방안전관리 실무교육과정을 이론적 교육 보다는 현장 실습위주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소방안전관리자에 대한 법정 실무교육 횟수를 확대하여 현행 2년에 1회 에서 1년에 1회로 하고, 실무교육에 있어서도 우수송방안전관리 업체를 선정하여 화재예방에 대한 구체적인 업무를 활성화 하고, 문제 발생요소들을 분석하여 실습을 통한 소방안전관리자의 실무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문 소방안전관리자로 소방대상물의 소방교육 및 훈련을 성실히 수행 해야 할 것 이다.
한순간의 부주의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수백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수백억원대의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역량을 넓히고 화재예방 업무를 최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화재예방을 위해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개선 및 전문교육을 활성화 하여 업무능력을 향상 시켜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적인 화재예방 대책 일 것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작물 병해충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농가피해를 최소 화할 목적으로 ‘10년도부터 웹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 로 한 국가농작물병해충 관리시스템(National Crop Pest Management System, NCPMS)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http://ncpms.rda.go.kr)은 크게 병해충 예찰, 예 측, 진단, 동아시아병해충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12∼‘13년도 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통하여 예찰작목을 16개에서 24개 작목으로 확대하였고, 이동·돌발성 7종 해충 발생 시 인접 행정구역의 시군농업기술센터에 발생경보 발송 및 발생조사자 료 입력·관리가 가능한 해충조기경보시스템을 신규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주요 농 작물 해충의 천적 30종에 대한 생태, 이미지, 이용방법 등 시험연구사업의 결과물 을 도감으로 구축하여 종합적인 해충 방제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 FTA대응 농축산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병해충 예측모형 개발연구사업에서 개발된 15개 병· 해충 예측모형을 추가로 시스템에 탑재하였고, 중국에서 비래하는 장거리 이동성 벼 해충의 국내 비래시기 및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사전에 국내에서 대응책을 수립 할 수 있도록 해충이동경로 예측모델(Blayer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중국, 일본, 베트남 등 13개국의 벼 해충 발생밀도를 집계하고 공유하는 동아시아병해충네트 워크의 회원국 관리 기능 등을 추가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이러한 NCPMS의 예찰, 예측, 진단정보를 병해충 방제의사결정에 활용함으로써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고 농가소득에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Steel industry in Korea is a key national industry that has led economic growth for a long time. And accidents occurred from a variety of causes has endlessly made as much as remarkable achievements of steel industry. It is a fact that research achievements of disaster prevention in steel industry has not been significantly, compared to production technique achievements. And the level of interest on safety management in the steel industry is conspicuously low. Although support activity for a various safety management are provided reasonably to prevent disasters occurring with subcontractors. A method capable of quantitative evaluation, applied to subcontractors in most business places are relatively rare except parent firms-leading places. This study is to make and show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o purcue in advance in conjunction with a parent firm through development of a more systematic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for disaster prevention with steel industry subcontractors, and to contribute to disaster prevention in domestic steel industry through advanced safety management method, by applying a proposed evaluation model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subcontractors in steel industry.
HANARO(High Flux Advanced Neutron Application Reactor) design was started from 1985 and was constructed in 1995 by KAERI(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he document control book was written by hand and hard-copy was kept at that time. JRTR(Jordan Research and Training Reactor) was contracted for export to Jordan March 2010 by KAERI Consortium. This contract is a matter for congratulation of export of first made-in-Korea nuclear system. NRR(New Research Reactor) officially launched in April 2012. The document control system is controlled by PPM (Project Procedure Manual) and QAP(Quality Assurance Procedure) and ANSIM(KAERI Advanced Nuclear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was built for JRTR. ANSIM system consists of the document management holder, document container holder and organization management holder. This system was registered about 2,000 design output like DDA(Document Distribution for Agreement), design documents, design drawings and project manger memorandum. The system design for JRTR was smoothly performed using ANSIM. NRR set to separated exclusive system that was based on JRTR ANSIM. Folder of nuclear laws, codes and standards was added to that system and those will be useful during designing. The project and quality assurance plans and procedures has been managed from design documents separately. Above all things, independent review and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review were operated for nuclear safety at ANSIM. And cover and body of design document were combined and backup system was established. After then, system upgrade and operation pursue the effect analysis by design change for accomplishment of the research reactor project.
Risk Assessment, a basis of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s an calamity prevention activity which regularly measure the level of a risk to passively improve potential hazard. A problem, the assessment not being improved to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work site where requires diversity and complexity, causes the assessment to be inefficient to bring quality results. A study on the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surveyed degree of recognitions of workers who works in companies executing the risk assessment By the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it is expected to bring the better solution for early and efficient application for those companies which are not taking the risk assessment.
본 연구는 모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주기적(life-cycle) 과정을 합목적적이며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사업의 타당성과 중복성을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서 미션(mission)개념을 구체화하고, 구조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션이란 공공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함에 있어 근본적인 존재근거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아직까지 개념이 모호하고, 구체적이지 못하여 그 역할이 간과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문헌의 고찰을 통해서 이제까지 조직단위, 특히 기업차원에서 연구되어온 미션을 공공사업단위로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 이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 맥락에 적합한 미션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를 발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미션구성체는 존재근거, 사업정의, 사업확인 그리고 사업목표 등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며, 각 차원별로 복수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된다.
The Project of Jordan Research and Training Reactor (JRTR) officially launched in Aug. 2010. JRTR is the first made-in-Korea nuclear system to be built abroad by year 2015, and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is responsible for the design o
Depending on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industrial accident preventive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 focus for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had been changed from part of the hardware to behavior and consciousness of worke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focus, Korea's industrial accident preventive measures also has been adjusted to voluntary safety and health considering the safety culture and such attempts of preventive measures has contributed for reducing the accident rate. Safety culture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the fact that factors that make up the safety culture are comprehensive and varied and there are many of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o the safety culture. Moreover, there is a limit for applying specific preventive measures. Because, management culture or value of enterprises is various depending on each country or region. Nevertheless,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f advanced countries, they are presenting the fact that safety leadership has greater influence to formation of the safety culture. As a result, we study the Influence of manager's safety leadership that effect on safety culture. we want to propose the way to activate safety culture in workplace and to contribute for safety culture research.
재고관리는 기업 경영과 자산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재고를 관리하는 창고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생산의 원활한 지원을 위한 기존 창고 인프라의 구조를 분석하고, 신기술 도입 및 창고 효율화/최적화를 위한 회사의 전반적인 조직분석과 과제의 도출을 목표로 창고관리 구조혁신을 위한 추진 과제를 정립하였고, 입고부터 출고까지 창고관리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 및 설계/개발 체계 프로세스를 구현하였다. 기업환경 분석은 각 부서별 인터뷰를 중심으로 업무현황 및 업무 Process분석을 중심으로 추진과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관리 수준 분석, 조직 분석 및 운영안 제시, 창고 기능 최적화 방안 수립, 중단기 추진 과제를 정립하였다. As-Is Flow와 To-Be Modeling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과제 우선순위를 정립하여 각 과제별 중장기적인 종합추진일정계획을 수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