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

        4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성이 메말라 가는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지능 중 하나인 감성지능을 키워 안정된 인간관계를 가지고, 안정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진행하게 되었다. 초등학생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두어 ‘EQ연극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EQ연극놀이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간접 체험을 해 볼 수 있는 교육연극에 감성지능을 키울 수 있는 요소를 강화시킨 프로그램으로 교육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연극놀이를 도입하여 수시로 감성지능을 키울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그 결과 ‘EQ연극놀이 프로그램’은 미래 사회의 중요한 인재가 될 아이들에게 자기 인식 및 자기표현,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 조절 및 대인관계능력에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4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증진을 돕는 새로운 방법을 제본 연구는 만2세 영아에게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영아의 인지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Y시에 소재한 4개 어린이 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6개반 42명을 대상으로 3-6월까지 12주 동안 실외놀이시간에 실험집단 은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실외놀이터 놀이를 실시하 였다. 인지발달 검사도구는 이영자 외(2002)의 교사용 1, 2세 영아발달 평가도구 척도를 이용 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으로 통계처 리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시함으로써 추후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첫째,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영아들이 인지발달의 하 위요소 중 물체영속성, 모방상징, 패턴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교사, 부모의 인터뷰에서 나타난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는 영아의 모험놀이가 증가하였고, 스스로의 놀이 선택 및 또래끼리의 놀이가 증가하였으며, 자신의 경험을 말로 표 현하는 태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의 활발한 운영의 시사점과 영아 대상 숲산책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6,000원
        43.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ng, Nayoung. 2015. “A sociolinguistic study on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sociocultural meaning of pun and speech play in Korean young children’s peer talk”.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1). 1~30.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pun in a Korean preschool classroo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inguistic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and analyze how Korean young children learn and speak their peer talk and cultural theme in regard to forms and meaning of pun and speech play. For this study, I conducted ethnographic fieldwork for one year at a Korean preschool, focusing on intensive participant observation of teachers’ and children’s interactions, supplemen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children.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s in classroom, I argue that 1)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pun(sound patterns, lexicon, syntax, and pragmatics) and 2) sociocultural and interactional meaning(performance, pun in class, taboo as sexuality and curse) in various forms of everyday talk.
        7,000원
        4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및 양육태도 증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K 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참가를 원하는 어머니 30명에 대한 동질성을 고려하여 15명은 실험집단, 다음 15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박성현(2006)의 마음챙김 척도,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 (Psychology well-being Scale : PWBS)를 김명소 및 차경호(2001)가 번안하여 서현주(2006)가 재구성한 척도, 김은경(2007)이 사용한 양육태도 척도이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아어머니의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 양육태도를 실험 전후에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마음챙김의 현재자각과 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과 탈중심주의가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둘째,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머니의 긍정적 대인관계와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과 삶의 목적을 찾게 되는 등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셋째, 놀이명상 프로그램 이 권위주의적 통제, 과잉 보호적 태도로부터 벗어나, 성취적이며 적극적인 참여, 일관성 있는 규제 등의 바람직한 양육태도 증진에 효과적임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론은 유아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통하여 마음챙김 수준이 향상되고 심리적 안녕감이 증진되었으며, 양육태도가 부분 증진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건강한 아동발달과 행복한 가족관계, 어머니 역할의 지원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6,100원
        4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ldren’s play facilities have changed over a decade from the traditional play facilities in the front yard to the new type of commercial play facilities which install more exciting and enjoyable facilities, such as Kids Park. The more diversified in the type of facilities, the more difficult in the safety management by the existing system.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of MOSPA(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has provided the safety information uni-directly by government sector to the private communities. Recently, multi-directional information sharing methods, such as community mapping are adopted actively in the social activities which have common purpose for making the better community by information sharing with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On the purpose of citizen’s participation for safe play facilities and preventing acci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child accidents and safety standards, especially focused on the children’s play facilities. And the way for sharing safety information among the communities with the GIS mapping skills is suggested in the respect of more easily monitoring and practically inputting the comments on the status of management of play facilities by real users based on their experiences. It is expected that more activities from the private sector would participate to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by realizing the suggested system.
        4,000원
        4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duk, a classical game in the Orient, came to be recognized as a part of wholesome entertainment culture in modern society. Also, it has been us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the infant since some researches showed that Baduk is effective in cognitive development, emotional stability, and all-round education. Currently, a wide range of children participate in Baduk education at about 300 Baduk academies and around 1,600 after-school Baduk classes. However, the infant are difficult to learn Baduk because of difficult jargon and complicated technique embedded in Baduk. To respond to this challenge, this study aims to develop ‘educational Baduk play program’ which comprises elements of interest and fun as well as education.
        4,000원
        4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y is the basics of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especially pretend play is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that it enhances imagination and expression of infants by drawing making up free imaginative story and physical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on the effect of structural reality of toys used in pretend play on pretend play of infants, it is predominant that as the structure of the toy becomes higher, the pretend play is promoted. When it is connected to the environmental aspect of play of infants, it can be inferred that infants may be easily immersed in imaginative world using the fact that they are placed in play environment that provides detailed symbols about certain subjects. Also, as a technique to provide such environment, chroma key that realizes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may be used. Chroma key, one of image composition technologies, can be an effective means of enhancing curiosity, immersion, and expression skills of play activities by providing infants with realistic spatial background. Furthermore, sense of space is an essential basic ability to understand, interpret, and evaluate surrounding world, and virtual reality may help infants overcome physical and economic constraints of the existing child education institutes and raise their sense of space in safe environment.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chroma key technology effectively, it’s necessary to make infants understand about the chroma key and specialize teaching methods along with appropriate education plan.
        4,000원
        4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changes of creative play characteristics occur when having education experience using multimedia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15 infants at H day care center and 15 infants at S day care center, both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e program processing was composed of extension activities using multimedia after listening to fairy tales using multimedia. For study instrument, the behavior test for creative play developed by Hwang Yoon Sae (2008) was used. This instrument consisted of total 5 subfactors: intrinsic motivation – imagination; sensitivity – curiosity; durability – immersion; various interests – challenge; and initiative – independence.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17.0 was used, and t-test was used for the statistic proces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cluded that the education experience using multimedia has positive effect on overall characteristics of creative behavior of infants; in detai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 the aspects of intrinsic motivation – imagination, sensitivity – curiosity, and durability – immersion were remarkably improved, whereas the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s of interests – challenge and initiative-independence did not show any particular changes. In other words, the infants who receive a lot of multimedia materials have more creative thinking than those who do not receive a lot of multimedia materials, and this thinking ability is also reflected in play activities.
        4,000원
        5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children are suffering from many psychological issues from complex and various stresses. To address this issue. child-centered play psychotherapy has been emerged as a social interest and the importance is arises. This thesis is for introducing developed game contents for Child-centered play psychotherapy considering features of children in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with this, application of child-centered play psychotherapy as a medium and realization of game contents where children can play on touch screen are introduced to induce better remedial performance. Furthermore, it will guide a measure for application of child education.
        4,000원
        5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활용하여 영유아를 위한 놀이 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영유아 프로그램 중 레지오 에밀리아접근법에 한국코칭학회에서 개발한 5단계 코칭모델을 매 세션마다 적용하여 8회기로 영아용, 유아용 프로그램을 구성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의 놀이에서 코칭대화법을 적용하였을 때 창의성, 주도성이 더욱 증진되었다. 둘째, 레지오 에밀리아접근법에서 강력한 질문과 공감하기, 코칭대화모델 등은 영유아-교사와의 상호작용증진 및 영유아의 문제해결력을 증진시켰다.셋째, 놀이코칭 프로그램은 영유아에게 과제가 주어 졌을 때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놀이 활동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높였다.
        6,600원
        5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children are suffering from many psychological issues from complex and various stresses. To address this issue. child-centered play psychotherapy has been emerged as a social interest and the importance is arises. This thesis is for introducing developed game contents for Child-centered play psychotherapy considering features of children in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with this, application of child-centered play psychotherapy as a medium and realization of game contents where children can play on touch screen are introduced to induce better remedial performance. Furthermore, it will guide a measure for application of child education.
        4,000원
        5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mainly discusses appreciation of interactive art work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lay attributes that make spectators glimpse the truth of things. The general studies of interactivity, as one of remarkable features in contemporary art, are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and interactivity as well as video games. From the preceding discussion, I analyze the effects of the appreciating interactive art works which are focused on new sensory systems, the methods to intuit the essence of the art works. Based on the concept, as I investigate the play attributes found in the interactive art works, this study give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that if the spectators can reach the inherent aspects of interactive art works, while interacting them. Thus to discuss the properties of the play, this article studies play concept of Johan Huizinga(1872-1945), psychologist and anthropologist and play theory of Hans Georg Gadamer(1900-2002) who considers play as a metaphor for art. As Huizinga thinks acting is the important attribute of play, Gadamer argues whenever the term 'play' is used, we should think about 'to-and tro movement' and the movement is absence of goal as well as endlessly renews through repetition. Then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seeing the essence of art and play as similar? That is, Gadamer claims, we can understand the truth of things through the play. To apply the play concept to the interactive art works, I research the works of Maurice Benayoun(1957 - ), French interactive artist. By employing interactivity, he attempts to extend and affect the experience of his art works to one of social phenomenon. Striving this, spectators can widen and deepen the breadth of their intuition and recognize the essence of art works. It is the interactive art works that can be the apex of the transformation of structure from the play to the art. The endless repetitive process of play, which is free creation-annihilation process, is similar with the interactive experience of spectators that is variable, de-centered, and multi-sensory. The pure action of the play lets us recognize, sense and accept the world and through the system of interactive art experience, we can expand the horizons of perception. Interactive art works with these play attributes are capable of playing the role that the spectators glimpse the truth of things and experience the world around them.
        6,600원
        5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MS사에서 Kinect를 출시하면서. 기존 고가의 RGB-D 카메라 센서를 대신하고 또한 MS의 SDK와 다른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쉽게 동작/공간 인식을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공간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서 삼차원 공간을 재구성하고 적합한 텍스쳐 컨텐츠를 제작하여 RGB-D 센서와 프로젝터가 합쳐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실제 객체에 텍스쳐를 투영하고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놀이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서 실제 객체의 고정된 텍스쳐를 확장하고 사용자와 반응하는 전시형 체험 공간에 활용가능 하다.
        4,000원
        56.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저 긴장성 뇌성마비 아동의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적 놀이 활동을 적용하여 작업수행과 감각통합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만 2세 10개월 남아로 감각 면담 검사(Sensory History Checklist)를 통해 감각처리에 문제를 지닌저 긴장성 뇌성마비 1명을 대상으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 영/유아 감각프로파일(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 ITSP)결과를 토대로 주 3회, 15회기 동안 치료적 놀이 활동을 적용한 뒤, 작업수행과 감각통합기능 향상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 결과 : 본 아동은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 영아/유아 감각프로파일 (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 ITSP), 평가 시 향상이 있었다.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에서 치료 전․후 평가에서는 수행도는 1.5점에서 6점, 만족도는 2점에서 7.5점으로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영아/유아 감각프로파일(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 ITSP)에서는 치료 전․후 평가에서 청각처리는 12점에서 14점, 시각처리는 9점에서 11점, 전정감각처리는 8점에서 10점, 구강감각처리는 9점에서 14점, 촉각처리는 17점에서 28점으로 5개 영역 모두 치료 전․후에 있어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놀이 활동이 저 긴장성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수행과 감각통합기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게임분야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재고하기 위해서 의료용 게임, 교육용 게임, 광고용 게임, 훈련용 시뮬레이션 게임등 기능성 게임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게임에 대한 개발 및 방법론은 다른 소프트웨어 개발에 비해서 덜 정규화되어 있고 연구가 미흡한 상태에 있다. 본 논문은 광고용 게임에서 은닉객체를 이용한 광고의 극대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여러 게임 중 전통놀이인 윷놀이게임에 적용하여 개발하고 그 유용성을 보인다.
        4,000원
        5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산박첨지놀이>는 충청남도 서산지방에 전승되어오는 인형극으로서 토박이 광대패들이 전승의 주체를 이룬다. 주인공 박첨지를 비롯해 박첨지 큰마누라와 작은마누라, 평안감사, 홍동지, 소경, 상제 그리고 만장꾼과 상여꾼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해 <서산박첨지놀이>를 이끌어간다. 이 인형극에서 박첨지는 등장인물이자 극의 해설자로서 기능하며 또한 막과 막 사이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박첨지놀이는 남사당 <꼭두각시놀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지만, 이후 서산지방 고유의 문화적 특질을 살린 민속극으로 재탄생되었다. 서산은 불교문화가 만개했던 지역으로 이러한 불교문화의 전통이 그대로 인형극에 반영되었다. 피조리거리의 생략과 절짓는 거리에서 공중사를 허물지 않고 그대로 존립시키는 것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상례문화의 전통이 놀이 속에 투영되어 화려하고도 풍성한 상여거리를 연출하고 있다. 공동체 의식을 중시여기는 풍조는 <서산박첨지놀이> 전막에 걸쳐 극을 지탱하는 주요 요소이다. 집단의 존속을 위해 조화가 강조되고,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 의식을 확장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서산박첨지놀이>는 현전 인형극 중, 유일한 마을단위 민속인형극이라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성과는 활발하지 못했다. <서산박첨지놀이>에 대한 다각적인 관심과 연구는 기존의 전승연희들을 새롭게 조망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해줄 것이며, 덧붙여 중요 문화재로 지정된 연희들의 질적 향상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여겨진다.
        6,600원
        6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iscusses the community of participants in new media-based art of Taeyoon Choi, Wafaa Bilal and Mushon Zer-Aviv in relation to current discourses on social functions of art by Nicolas Bourriaud and Jacques Rancière. Focusing on these artists' participatory projects which aim to provide alternative perspectives on wars between countries, to raise awareness about expanding surveillance systems in city spaces, or to create new public spaces on the web, this paper argues that their works hybridize entertainment culture and political activism to suggest a new model for political art.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