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41.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quiet fan development is one of important issues for comfort of railroad c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ibration and noise source of the line flow fan for reduction the noise level. For a vibration and noise source identification, experiments with microphone and acceleration were carefully carried out. The noise of line flow fan is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urbulent flow noise, blade passing frequence and unbalance. In order to reduce the fan noise, the blade shape, distance and angle of housing guide should be modified.
        4,000원
        45.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타이어와 포장노면과의 마찰음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를 통해 신뢰성 및 일관성이 검증된 NCPX(Noble Close Proximity)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교면포장형식에 대해 소음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번에 실시한 측정은 표면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였다. 서울시 내부순환도로의 교면포장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포장형식에 따라서 소음측정을 하였으며, 4개의 교면포장형식에 대한 소음특성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실험법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결과 소음관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측정을 통해 교면포장 표면조건 및 주행속도에 따라 타이어와 포장노면과의 마찰음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3 옥타브 밴드 해석을 실시한 결과에 있어 교면포장의 종류에 따라 시공전후로 소음특성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6.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utilize a basic data for setting up an allowable air noise with IMO standard in accommodation and working areas of 24m longer fishing vessels. The air noise in accommodation and working areas of 300 tons class squid-jigger were evaluated and the levels were compared to the allowable levels of IM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range of noise levels was estimated to be between 54.8dB (A) and 83.2dB,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main engine to measuring point and the maximum noise level of each point was shown to be y=-13.8log (r)+92.91 (r2=0.821). In addition, except the case of making an accommodation area near to the engine room in 24m longer jigging vessels, it was evaluated that the accommodation noise regulation of 1,600 tons international voyage vessels with 60dB (A) or an improved noise level with 65dB (A) could be properly applied.
        4,000원
        47.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속한 경제성장은 대규모 도로건설 및 물류에 필요한 차량의 대형화 및 고속화를 유도하였으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 및 자동차의 소음, 진동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층용 콘크리트 블록은 Helmholtz Resonators 이론을 접목시킴으로써 차량의 타이어 파열음과 차량음 등을 흡수하여 소음을 현저히 줄이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접속도로, 아파트 단지내 도로, 주택가 도로 등 소음발생이 높은 지역에 적용한다면 소음저감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layer 아스팔트포장과 기층용 콘크리트 블록의 복합식 공법으로 일반 콘크리트 블록과 기층용 콘크리트 블록의 흡음효과 시험을 실내 시험으로 실시하였다. 시험 조건으로는 홀 사이즈, 간격, 깊이가 결정된 시편에 각 차종별 초기소음을 다르게 주어 소음저감효과를 분석 하였다. 2-layer아스팔트 표층과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하여 차량소음크기, 시편크기, 측정거리, 홀의 형상 및 크기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소음저감효과는 탁월했으며 약 4dB에서 최대 9dB 정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도로 소음 측정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환경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공용 중인 도로 상에서도 측정 및 평가를 가능토록 하기 위해 타이어/포장 소음 측정용 Trailer 장비를 제작 개발하였다. 기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도로소음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외의 다양한 CPX Trailer 관련 연구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장비의 설계 및 제작 원리를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HEART CPX Trailer 관련 연구사례를 살펴보았으며, 반무향실 제작에 관한 적합성, 장비의 측정 정밀도 및 현장 적용성 등의 검증을 위해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HEART CPX Trailer 장비의 반무향실 제작에 대한 적합성 시험에서는 각 주파수 대역별에 따른 적합성 및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로 소음특성 평가용 장비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반복측정 시험에서는 각 속도별 및 마이크론폰의 위치별로 우수한 측정 정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용 중인 상태에서 수행한 도로소음 측정 결과는 2003년 중앙대학교에서 교통 개방 전에 동일구간에 대해 수행하였던 CPB 측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견인차량의 기계소음을 비롯한 공용 중인 도로 주변의 환경소음으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이라 판단되며, 본 장비를 활용한다면 공용 중에도 객관적인 소음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800원
        51.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2.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P 소형 선박의 선내소음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들에 대한 합리적인 허용기준 설정 및 저소음화 설계를 위해 FRP 4~11톤급 신조 소형 선박을 대상으로 시운전시에 선내소음을 측정하여 소형 선박의 선내 소음특성 및 소음과 진동과의 상관관계를 검토, 분석하고, 이들에 대해 IMO와 DNV의 허용기준상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형 선박의 선내 소음 최대 레벨 범위는 79~115dB(A)로 나타났다. 또한, IMO 및 DNV 규제치와 비교에서 주기관실 소음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상부, 하부 거주실의 소음은 각각 5~19dB(A), 18~22dB(A) 높고, 조타실의 소음은 14dB(A) 높았으며, 동형선 E와 G선의 소음비교에서 선박의 크기, 마력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E선 주기관이 G선의 주기관보다 진동 및 소음이 제작당시부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소음원 규명을 위한 진동과의 상관관계에서 주기관실, 상부 거주실, 하부 거주실, 조타실, 연통상부 모두 3차수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3차수가 각 선내소음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판단된다.
        4,000원
        5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말 형용사를 이용하여 각종 생활공간음에 대해 느끼는 사람들이 감성적 반응의 차원을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형용사 사전에서 추출된 어휘들에 대한 적합성 및 유사성 평가를 통해 14개의 형용사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이 형용사들의 유사성 점수에 대해 요인분석, 다차원 척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공간음에 대한 사람들의 감성적 반응은 크게 3가지 차원, 즉 쾌-불쾌, 민감-둔감 및 지각된 크기가 추출되었고, 소음에 대해 느끼는 감성은 이들 차원 상에서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차원들은 서로 직선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은 그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증을 일으키기 쉽지만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즈을 일으킨 사람이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차원간에 구체적인 통로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후속연구에서 밝혀질 것이다. 또한 실제 소음을 제시하여 각각의 소음을 평가하는 경험적 연구도 수행될 것이다.
        4,000원
        54.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to analyze the underwater ambient noise and biological noise of cultivating fishes in the fish farm cages at the seawater Tongyong-kun, KyongNam and lake of Chungju, Chech'on, ChungBuk from 10 to 19 Oct. 1997,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ois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mbient noise around the fish farm cages at lake of Chungju was 10~200Hz frequency range, 70~105dB spectrum level. The central frequency was 50~70Hz, changing of ambient noise was getting bigger than 10~200Hz in 200Hz~2kKz frequency by wind, water current. (2) The frequency of noise source around the fish farm cage at the seawater of Tongyong-kun was 20~200Hz, spectrum level was 80~100dB while feed factory was working around the fish farm cage. When feed factory did not work, noise source was 10~600Hz frequency range, 70~90dB spectrum level. It was 10dB less than that of while feed factory was working, and then the central frequency was 70Hz. (3) The vessel noise of excursion ship had changed largely at 100dB spectrum level in 10~500Hz frequency band, and the fishing boat had 20Hz~2kHz frequency range. (4) The biological noise in the fish farm cage at lake of Chungju, which was feeding of Cyprinus carpio, 2was 10~30Hz frequency, 70~104dB spectrum level. The central frequency was 75Hz. The biological noises in the fish farm cage at the seawater of Tongyong-kun, which were feeding and swimming noise, had very different spectrum pattern by species, and the frequency band was 10~800Hz.
        4,000원
        55.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선로구조물의 대부분은 준공된 지 상당한 시일이 경과되어 노후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이다. 특히 기존 철도교량 중 판형교는 상당수가 준공으로부터 40~60년 이상 경과된 노후교량이며 도상 없이 거더에 침목이 직결되어 있어서 차량의 주행하중이 교량에 직접 전달되므로 유도상 교량과 비교하여 교량에 가해지는 충격 및 소음이 클 뿐만 아니라 동적인 충격과 진동도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기존선 판형교에 대한 적절한 유지관리 및 보수, 보강기술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선 판형교의 성능개선과 소음, 진동 문제 해결을 위해 기개발된 레일매립궤도 시스템의 특징을 소개하고, 레일매립궤도의 진동 및 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길이 5m 침목이 설치되어 있는 무도상 판형교와 레일매립궤도를 적용한 판형교를 제작하여 동일한 가진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응답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에서 얻은 진동응답 데이터를 음향해석 모델의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방사소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및 해석 결과 레일매립궤도를 적용한 판형교가 무도상 판형교 보다 진동에서는 15.0~18.8dB정도 감소하고 소음의 경우 평균 7.7dB(A)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6.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provide the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the concern for the noise of concrete pile has increased at construction site. In this study,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non-noise pile driving method by scale model were compared when the noise breaker was applied. From the test results, the noise characteristics are affected by the noise breaker
        57.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가선 저상트램은 친환경 고효율 교통수단으로서 저렴한 건설비, 도시 미관의 개선, 도시 주변 지역 활성화 및 승객 편의성 확보 등의 장점을 보유한 신교통 수단으로 10개 이상의 지역단체에서 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이에 따라 무가선 저상트램 차량과 노면선로 및 도로교통과 복합된 신호시스템의의 개발, 인프라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무가선 저상트램 노면선로 중 도심지 구간에서는 레일이 노면에 매립되는 매립형궤도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매립형궤도 시스템은 소음 진동의 저감, 공기 단축 및 유지보수 최소화 등의 장점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시공사례가 전무한 매립형궤도 시스템을 설계하여 시험시공을 수행하였고 시공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시험선 완공 후 진동과 소음을 일반 자갈도상궤도와 비교 측정하여 매립형궤도 시스템의 소음 진동 저감 성능을 정략적으로 분석하였다.
        58.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동차 경주대회(특히 F1 경주대회)시 소음 발생정도를 분석하여 이론적인 거리감쇠 특성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자동차 경주시 소음발생 정도는 경주장 내부에서 최고 소음이 발생되며, 경주시 평균 120~125dB(A)의 소음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리별 소음도를 분석한 결과는 소음이 발생되는 서킷(Circuit, 경주용 트랙)으로부터 50m 지점에서 99~106dB(A), 100m 지점에서 94~106dB(A), 200m 지점 89~100dB(A), 400m 지점 82~86dB(A), 800m 지점 74~84dB(A) 및 1,600m 지점에서 66~76dB(A)의 소음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측 소음도는 음의 거리감쇠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경주용 차의 특성상 소음도의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나며 여러 대의 경주용 차의 동시 주행에 따른 음의 간섭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1 대회시 발생되는 소음은 비록 단기간이긴 하나 높은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9.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represents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ources and receptors for road traffic noise in apartment complex. Also we suggested that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in the complex apartment have been derived using a different analysis for evaluating levels of Leq1h by the apartment floor at a given distance from a road in terms of the flow rate, the mean speed of the traffic, and the percentage of the type vehicles in the day and night periods. As a result, the contribution orders of traffic quantity by the type of vehicles showed as followed: light vehicle>medium vehicle>heavy vehicle>motorcycle. Especially, the mixing ratio of entering the road on the heavy vehicle in the daytime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in the night. The speed in all types of vehicle is in the range of 41 and 81 km/hr and nois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ay and night-time. The sources of road traffic noise had different variations and uncertainties using a random variable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sound distribution to receptors by the apartment floor showed S curve between 1st floor and 15th floor With the normality test, the normal distributions using Anderson-Darling Test followed 1st, 3th, 13th and 15th floor in the daytime and all floors except 7th floor in the night (p>0.05). And also, the value of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 obtained in this study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range of floor.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evels of Leq1h on the sources and receptors of road traffic noise in apartment complex must be improved and developed on the guideline of regulation of road traffic noise.
        60.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내 음 환경 개선을 주목적으로 식물의 실내소음저감에 관한 연구로, 챔버 내 상록 피침형 관엽수종인 아라우카리아를 배치한 후 실내음향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향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Fig 2, 3, 4). 아라우카리아 식재에 의해 실내 잔향시간, 흡음률에 있어서 뚜렷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고, 흡음성이 높은 종이 재질 구조물의 흡음률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특히 고주파 대역으로 갈수록 그 효과가 좋았던 결과에 따라 실내 식물배치에 의한 주파수 대역별로 부분적인 소음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의 배치방법을 달리하여 잔향시간, EDT(sec)와 D50(%)값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배치 방법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던 결과로 식재 위치에 따른 소음저감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식물을 통한 실내환경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향후 다양한 실내음향 파라메타간의 상호 영향성에 관한 실험 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며, 세부적인 실험을 위해 식물의 잎모양과 식물높이, 토양의 흡음 등에 대한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