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7

        4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사회의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향상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따라 정부도 최근 다양한 방식의 농촌개발과 예산지원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지원 시 시설의 종류 및 입지 선정이 적절하지 않아 시설의 중복투자, 이용부족으로 인한 시설방치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공간 및 시설의 분포를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농촌마을의 유형별 중요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100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설문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 개의 농촌마을 유형 즉 거점면, 권역, 마을단위의 유형별로 주요 공공시설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50개 마을을 분석한 결과 농촌마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공공시설은 마을회관, 쉼터, 체험센터, 마을진입부, 안내시설로 나타났다. AHP는 세 단계의 비교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마을유형별간의 쌍대비교에서는 거점면, 권역, 마을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농촌 공공공간과 마을유형간의 쌍대비교에서는 모든 마을유형에서 기초생활시설, 문화 복지시설, 농촌관광시설, 소득시설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마을유형과 공공공간, 공공시설 등 각각의 가중치를 종 합한 중요도에서는 거점면의 경우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공동화장실, 마을회관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에서는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체험센터, 마을회관 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을단위에서는 버스정류장이 가장 중요한 시설로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저수지, 하수처리장, 체 험센터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록 마을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공공시설의 중요도 평가에는 한계를 안고 있으나 농촌마을에서의 공공시설 계획 시 마을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의 상대적 중요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 로 적절한 시설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지 포도재배는 강우에 직접 노출되어 열과와 병 발생이 많아진다. 그래서 도입된 것이 간이 비가림 재배이지만, 이것 역시 열과와 병 발생을 예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간이비가림 시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완전하게 강우를 차단하면서 자연적인 환기가 가능한 비가림 시설을 개발하여 적설하중과 풍하중을 내재해 규격에 맞추었다. 개선된 비가림 시설의 특성을 검증 하기 위해서 100m2 규모의 시설을 설치한 다음 관행 비 가림 시설과 시설 내외부 온도 분포와 그에 따른 포도 캠벨얼리의 품질, 갈반병 발생 및 열과율 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관행 비가림 시설과 개선된 비가림 시설의 온도 조사 결과 외기온이 34oC 이상일 경우 시설 내부온도가 관행 최대 40.7oC, 개선 시설은 37.4oC로 측정되어 개선 시설이 3정도 낮았고, 32oC 이하에서는 관행과 개선 시설 간에 온도 차이가 없었다. 과실 품질은 개선된 비가림 시설이 관행 비가림 시설보다 당도와 상품과율이 높았다. 개선된 비가림 시설이 관행에 비해 열과율과 갈반병 발병율이 현저히 낮았다.
        4,000원
        4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물 부족 국가인 우리나라는 수처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으며, 특히 정수처리의 제반 환경은 끊임없이 변화 및 개선되고 있다. 막여과 고도정수처리공정은 지금까지 개발된 어떠한 정수처리공정보다도 수질의 신뢰성이 높고, 자동화운전의 가능, 부지면적과 화학약품을 줄일 수 있어 21C형 환경 친화적인 공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시설은 일일 2.5만톤 생산수량으로 2010년 9월부터 시운전을 실시하여 운영조건별(생산수량별, 에너지 최소화, 약품 사용량 절감 등) 최적화 및 운영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설계 및 시공 및 운영기술에 이르기까지 순수 국산 기술을 이용해 엔지니어링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간 장기운영 자료를 분석 및 평가하고자 한다.
        4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in public facilities in Korea. We investigated 201 public facilitie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in 2009. PACM were collected according to EPA AHERA rules, and analyzed using the US EPA method 600/R/116. The air samples from public facilities were analyzed by PCM. For the survey on ACM risk assessment, we used both the ASTM rules and Korea ACM risk assessment(developed by the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ublic facilities showed that ceiling textiles contained chrysolite/amosite(2 and 25%) and cement flat boards contained chrysolite(5 and 26%). Also, gaskets contained chrysolite(3 and 95%) and Floor tile & carpet contained chrysolite(less than 1 and 6%). PCM analysis was performed on all air samples,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fiber did not exceed the Korean guideline(0.01f/cc).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ccording to the ASTM rule of asbestos material, 70 materials were “Abatement” grade and 344 materials were “Q&M” grade when assessed by ASTM B-line. Furthermore, based on the adjusted Korea ACM risk assessment 22 materials rated as were “Fair” and 390 materials were “Good”.
        4,200원
        4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 Korea’s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mended in 2013, total organic carbon (TOC) is newly added as water quality parameter to assess organic pollution in the aquatic ecosystem. To meet the TOC requirement and improve quality of effluent discharged into public watershe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s for TOC in effluent from public sewage treatment works (PSTWs).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and removal efficiency of TOC in influent and effluent of PSTWs. The study found that phosphorus treatment process removed not only soluble phosphorus but also a portion of TOC remaining after the secondary treatment process. TOC concentration in effluent from PSTWs operated in tandem with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work was higher due to influx of insoluble substances from th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work.In order to lay a foundation for the management of TOC from PSTW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n TOC from different perspectives. For example, studies on the generation mechanism of TOC and the impact of TOC on drinking water resources, assessment of effluent qualities through monitoring, and development of measures to control TOC for the preservation of aquatic ecosystem are needed.
        4,300원
        4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참다래 비가림 시설재배에서 인공수분이 착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안정적인 착과를 위한 유효수분기간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참다래 재배농가들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는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공수분은 비가림 시설재배에서뿐 아니라 노지재배에서도 참다래의 착과량이 개선되었으며 중량증가와 당도향상의 과실품질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유효수분기간 확인을 위하여 만 개 후부터 매일 7일간 인공수분이 수행되었다. 과실의 착과율, 과실당 종자수, 그리고 과실생장량은 만개 후 4 일까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개 후 5일부터는 분명하게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참다래 비가림 시설재 배에서 유효수분기간은 만개 후 4일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은 석송자를 이용한 것과 착과량과 과실품질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화분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은 참다래 재배에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수분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door air quality in public facilities has been well maintained as consciousness of facility owners is improved.However, the risk of PM2.5 and heavy metals in particulate matters have not been highlighted until now. So weinvestigated the particulate matters on major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ubway, port and bus terminals.And we tri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groups by comparing the mass and metal concentrationbetween PM2.5 and PM10. As a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of indoor particulate matters andthat of outdoor particulate matters shows higher strength in the case of bus terminals and port platforms thansubway platforms. However the total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heavy metals were much higher insubway platforms than that of terminals and port platforms.
        4,000원
        5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study, public facilities in Korea covered by the law, including PC-rooms, child care facilities, bus terminalwaiting rooms, elderly nursing facilities, movie theaters, underground subway stations, super super markets andindoor parking lots (8 types of facility, for a total of 32 locations) were investigated for indoor gas phase PAHsand particulate phase PAHs. PAHs source profiles were investigated as well. Finally, public facilities PAHs wereestimated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and sources of indoor by factor analysis. Underground subway stations andPC-rooms tended to be higher the concentration than other facilities. It judged each the effects of car exhaust,smoking, and elderly nursing facilities, child care facilities, movie theaters, where the influence of the outdoor airis less relatively direct effect that car exhaust and incoming of ambient air, were showed low concentration. Supersuper markets displayed a large amount of different products and bus terminal waiting rooms influenced car exhaustis higher than those that. Sources of indoor PAHs in public facilities make out profiling(cooking process: broilingmeat and fish, incense, shampoo, decorative candles, tobacco) and on the effects of ambient on reported existingliterature(of diesel and gasoline engines, heating fuel, coke oven, a wood combustion) was referred for factor analysisto estimate emission sources. As a result of particulate PAHs phase, three major factors were showed that factor1: cooking, use of gas fuel and combustion devices, factor 2: smoking. Factor 3: car exhaust. Factor analysis resultsof gas PAHs phase are similar to particulate PAHs phase. Additionally, factors such as air fresheners was estimated.
        4,300원
        5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plantwas divided into four areas (boundary areas, sewage treatment processes, sludge treatment processes and odortreatment plants), and measured around 27 sampling points. Odor characteristics from each areas were evaluated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NH₃/SO₂/VOCs passive sampler, mainly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Themain odor emission sources were found out to be dewatering plant (S-4) of sludge, sludge transshipment place(S-5), and the outlet of odor treatment plant (B-2, B-3). The correlation between dilution number (OU) and ammoniaconcentration of passive sampler appeared to be low; correlation coefficient 0.49, but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results of sulfur dioxide and toluene were very high, 0.95 and 0.93,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dorcompounds form sewage treatment facility are mainly due to sulfur compound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4,000원
        5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제시를 위하여 2008년~2010년까지 28개소의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대하여 복합악취와 지정악취물질(22종)을 대상으로 악취실태조사 및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처리 공정과 슬러지 처리공정에서 주로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되고 있었으며,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 등의 황화합물류가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조사되었다.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유입수에서의 복합악취는 67배~66,943배, 황화수소는 ND~66.87 ppm으로 조사되었다. A 하수처리시설 유량 조정조에서의 복합악취와 황화수소는 교반시 각각 3,000배, 6.23 ppm, 비교반시 각각 300배, 0.20 ppm으로 조사되었다. 유입 분배조와 생슬러지 분배조는 하수와 슬러지 이송 파이프 라인의 낙차에 의해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므로 파이프 라인의 연장과 악취포집설비를 정상적으로 설치․운영하여 내부를 음(-)압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4,500원
        5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린이집 유아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수건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장독소 유전자 및 장독소 생산 특성을 분석하여 어린이집 유아 사용 수건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어린이가 손 씻은 후 공용으로 사용 하는 수건 22개 (사용 전 7개, 사용 중 15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6.2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고 진균수는 평균 4.1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 으며 대장균군은 사용 전 수건의 경우 7건 중 4건 (57.1%), 사용 중인 수건의 경우 15건 모두에서 (100%) 검출되었 다. 어린이 사용 수건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 수 건의 위생적인 살균 세탁 및 상대습도가 낮은 곳에 보관하는 등의 보관 방법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Salmonella spp.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모든 수건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Staph. aureus는 22건 중 5건 (22.7%), B. cereus는 11건 (50.0%)에서 검출되어 B. cereus 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Staph. aureus 장독소 유전 자와 독소 단백질은 모두 불검출 되었으나 분리 동정된 11균주의 B. cereus 장독소 유전자 실험 결과 hblC, hblD, hblA 유전자가 각각 72.7, 72.7, 54.5% 검출되고 nheA, nheB, nheC 유전자가 각각 81.8, 72.7, 54.5% 검출되었으며 cytK, entFM 장독소 유전자는 각각 45.5, 90.0% 검출 되었다. B. cereus 장독소 실험결과 HBL 장독소는 11균주 중 8균주 (72.7%), NHE 장독소는 5균주 (45.5%) 검출되었고 HBL과 NHE 장독소 중 하나 이상을 생산하는 B. cereus 균주는 10균주 (90.9%)로 나타났다. 수건에 오염된 B. cereus 균주의 교차오염에 따른 식중독 위험성이 상존 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별 수건 또는 종이 타올 사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4.
        2013.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in medical facility in Gyeonggi-do area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2, and to conduct the health risk assessment from obtained data. PM10, CO₂, formaldehyde, CO, and total bacteria count(TBC) did not exceed the maintained standards, but mean concentration of TVOC was 402.3 ㎍/㎥ and thirteen of them exceeded the recommended standard. I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ollutants for the monthly samples, CO₂, formaldehyde, TVOC, TBC were the highest level in August. From the factor analysis of indoor air pollution provided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seasonal factor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TBC and formaldehyde), the second factor was ventilation factor (CO₂, PM10 and CO), and the third factor was building(or interior) factor (TVOCs). In the health risk assessment results, the excess carcinogenesis of formaldehyde for resonable maximum exposure worker was 1.21×10-⁴ which means exceeding the cancer criteria(1.0×10-⁴). We confirmed the probability of health effect caused by TVOC. The lifetime excess cancer risk of carcinogens(benzene, formaldehyde) and hazard quotient of non-carcinogens(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and risk of regulation substances(PM10, CO₂) were safety level for inpatients and out patients.
        4,600원
        55.
        201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즈나미 지하처분연구시설 프로젝트는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가 결정질암 내의 심부 지하 환경에 관해 종 합적으로 연구하는 프로젝트이다. 미즈나미 프로젝트는 3개의 중첩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지표기반 조사단계 (단계 1), 건설단계 (단계 2), 운영단계 (단계 3)의 총 20년. 미즈나미 프로젝트의 1단계에서 3단계까지의 전체 목표는 1) 심부지질환경을 조사, 분석, 평가하기 위한 기술 정립, 2) 심부 지하 활용을 위한 일련의 공학적 기 술 개발이다. 전체 목표 1을 달성하기 위하여, 1단계 목표를 굴착 전에 지질환경을 모사하고 굴착거동을 예측 하는 모든 지표기반 조사결과로부터 지질환경 모델을 구축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전체 목표 2를 달성하기 위하여, 2단계 목표는 지하시설을 위한 상세 설계 개념과 건설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결정질암내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평가하기 위한 지질통합적 방법을 소개한다.
        5,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