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4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광릉 숲의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광릉 숲의 장기생태조사지에서 2007-2008년도에 이루어졌고, 졸참나무(Quercus serrata)와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는 우화트랩을 사용하여 채집되었다. 조사결과, 총 47과 184종 1,407개체가 채집되었다. 졸참나무에서는 45과 165종 1,099개체가 채집되었고, 서어나무에서는 25과 80종 308개체가 채집되어, 졸참나무 고사목을 더 많은 딱정벌레가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다양도(H’)도 서어나무(5.56)보다 졸참나무(6.02)가 더 높았다. NMS분석에서 졸참나무와 서어나무를 이용하는 딱정벌레군집이 뚜렷하게 달랐으며 서어나무를 이용하는 딱정벌레군집이 부후등급에 따라 보다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4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9월 하순경 전남 영광과 충남 서천의 벼 포장에서 백수피해가 보이는 벼 줄기 속에서 나방류 유충 각각 8마리와 113마리가 채집되었다. 유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영광의 8마리 중 3마리는 밝은 갈색 바탕에 5개의 줄무늬가 있었으나 나머지 5마리와 서천의 113마리는 모두 밝은 갈색 바탕이지만 머리가 어두운 갈색이고 몸에는 줄무늬가 없었다. 우리나라에서 벼 줄기 속을 가해하는 주요 나방류 해충으로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과 벼밤나방(Sesamia inferens)이 보고되어 있으며 유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전자는 이화명나방, 후자는 벼밤나방 유충 또는 유사종으로 추정이 되었다. 종 추정을 위한 증거를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DNA 바코딩 영역인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옥시다아제 I & II (mtCOI & II) DNA 부분영역의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그리고 미국생물공학정보센터(NCBI)의 Database에서 BLAST 한 결과 이화명나방과 벼밤나방의 mtCOI & II의 염기서열과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개체 변이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영광의 벼 포장에서는 벼밤나방과 이화명나방 유충이 혼재하고 있었으며 서천에서는 벼밤나방이 우점적으로 분포하여 피해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최근 전북 군산 등 서해안 남부지역에서 이들 나방에 의한 피해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앞으로 품종선호성, 피해(분포, 밀도 등), 생리/생태 및 방제 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4.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obtain the effective sampling estuarine fauna by a passive net in the West Sea of Korea occurring strong tide, catch were collected by bag nets with various sampling trials off Ganghwa Island in November 2009.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community structures (on spring tide vs. neap tide, total sample vs. subsample and 4 nets vs. 1 net) with each species composition as a sampling unit by the Pearson chi-square test. Number of individual at the spring tide was more abundant than that at the neap tide (p<0.0001) although number of species at the spring ti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at at the neap tide (p=0.174). Both number of species (p=0.138) and number of individual (p=0.096)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otal sample and random subsample. Number of spec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ubsample by 1 net and the subsample by 4 nets (p=0.515), but number of individual was a little different on both samples (p=0.024). In conclusion, we suggest the subsample by 1 net at spring tide as the effective sampling estuarine fauna by a passive net in the West Sea occurring strong tide.
        4,000원
        4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쯔쯔가무시증의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채집을 위해 야생설치류를 포획하는 대체 방법으로 고안된 진드기 접착채집기를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경상북도 고령군 및 경기도 화성시에서 계절적 발생밀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고령군에서 1,354개체, 화성시에서 153개체, 총 1,507개체의 털진드기 가 채집되었으며, 개체군의 환경별 발생밀도는 각 조사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고령군에서는 논두렁에서 581개체(42.8%)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그 다음으로 밭(356개체, 26.3%), 냇가(318개체, 23.5%), 산(99개체, 7.3%)순이었으며, 화성시 에서는 밭에서 135개체(88.2%)로 가장 많았고, 수로(11개체, 7.2%), 산(6개체, 3.9%), 밤나무숲(1개체, 0.7%)순이었다. 털진드기 개체군의 계절적 발생양상을 보면 연 중 2개의 정점(peak)을 보이는데 4월에 작은 정점을 보인 후 여름에는 채집되지 않 았다가 11월에 큰 정점을 나타냈다. 본 조사를 통해 주목할 만한 점으로 가을철 발 생 이후 털진드기가 겨울을 지나 봄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채집기를 이용한 진드기 발생밀도조사는 설치류 채집을 통한 밀도조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보균율 검사와 종합하여 쯔쯔가무시증의 유행예측에 적 용할 수 있을 것이다.
        4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동성 애멸구와 국내 월동 애멸구 개체군과의 약제에 대한 저항성 발현 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에서 이른 봄 2월에서 3월에 걸쳐 애멸구월동 개체군을 채집하였으며(월동계통), 같은 지역을 중심으로 8월과 9월에 걸쳐 애멸구를 논에 서 채집하였다(본답계통). 각 계통 별 애멸구의 약제에 대한 반응 특성은 멸구류 방제에 사용되는 10개의 약제 (carbofuran, carbosulfan, ethofenprox, thiamethoxam, diazinon, dinotefuran, BPMC, fipronil, clothianidin, imidacloprid)를 선발하여, 채집된 애멸구를 실내에서 사육하여 충분한 개체수를 확보 후, 미량국소처리법으 로 선발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파악하였다. 월동 계통과 본 답 계통을 약제에 대한 감수성으로 Paired t-test를 실시한 결과 밀양 계통은 통계 적으로도 유의하게 월동 계통이 본답 계통에 비해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낮았다. 일반적으로 본답에서 채집한 계통이 월동계통에 비해 시험 약제에 대해 높은 감수 성을 보였다. 시험 약제 각각에 대한 두 계통 간 비교에서 본답 계통은 carbofuran, BPMC, imidacloprid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월동 계통은 carbosulfan, ethofenprox, diazinon, fipronil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그러나 두 계통의 약제 감수성 차이는 통계적 유의하지는 않았다. dinotefuran, clothianidin, fipronil 은 지역 간에 전혀 차이가 없었다.
        4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growing interest in biodiversity in rice paddies, efficient sampling method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aquatic macroinvertebrates are needed because of their important role in rice paddies’ food webs. For this reason, we sought a proper sampling method through comparing data collected by using aquatic net, quadrat, and core in rice paddies located in Chuncheon-si, Kangwon-do, Hongseong-gun, and Chungcheongnam-do. Because the frame of the net was rectangular and had a flat bottom, the area, sampledwith the aquatic net,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et width by the sweeping length, All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pace between the rows of rice plants. Twenty four taxa of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in Chuncheon and 28 taxa in Hongseong. In Chuncheon, the number of taxa was similar among three sampling methods (17-18 taxa), but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different (aquatic net, 1,317/㎡, quadrat, 1,368/㎡, core, 1,810/㎡). In Hongseong, the number of taxa sampled by aquatic net was the highest (aquatic net, 25 taxa, quadrat, 21 taxa, core, 16 taxa), but the core was the highest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quatic net, 1,586/㎡, quadrat, 2,595/㎡, core, 3,704/㎡). The efficiency of samplers differed among taxa. Most of aquatic insect taxa were more abundant in the aquatic net, while those living on or in the paddy substratum such as Oligochaeta and Chironomidae were collected more in the quadrat sampler.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for aquatic insects as well as to produce inventory of rare taxa, we suggest, based on samplers used in this study, to take quantitative samples of 6 replications from each of the edge and inner zones of a rice paddy by using an aquatic net, and to take qualitative samples both from sides of levees and the inner zone of rice paddy by using an aquatic net.
        4,300원
        4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17개 감귤원에서 귤응애 (Panonychus citri MCGREGOR)를 채집하여 9 종의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을 leaf spray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지효성 또는 지속기간이긴 살비제인 spirodiclofen, dicofol, spiromesifen, etoxazole, propargite, cyhexatin, fenothiocarb은 약제처리 7일후에 살아남은 개체수가 전체개체수의 5% 이상일 경우 감수성이 저하한 것으로 보았으며 속효성 살비제인 bifenazate, dimethoate는 약제처리 5일후에 살아남은 개체수가 5%가 넘는 경우 감수성이 저 하한 것으로 보았다. spirodiclofen은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 이들 지역 에 대한 귤응애의 효과적인 방제가 기대되어진다. dicofol은 노지 감귤원 한 곳에 서 7.57%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spiromesifen은 상대 적으로 살비제의 사용이 많은 하우스 감귤원 두 곳에서 각각 6.74% 그리고 20%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으며 etoxazole은 하우스 감귤원 한 곳과 노 지감귤원 한 곳에서 각각 6.06% 그리고 8.33%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 를 보였다. propargite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yhexatin은 노지 감귤원 한 곳과 하우스 감귤원 한 곳에서 살아남은 개체가 각각 6.25% 그리고 15.37%로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다. bifenazate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 였다. dimethoate는 노지 감귤원 한 곳에서 11.96%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다. fenothiocarb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spirodiclofen, propargite, bifenazate, fenothicarb가 귤응애에 대하여 약제감수성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을 포함한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 효과가 있는 spirodiclofen, bifenazate, fenothicarb가 이후 제주도 감귤원에서 귤응애 방제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spirodiclofen은 유용 동물 및 천적에 비교적 안전한 약제이 므로 병해충종합관리 (IPM)에도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bifenazate, fenothicarb는 spirodiclofen과는 다르게 속효성으로 귤응애에 대한 빠른 약효를 원하는 농가에게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50.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논은 우리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중요한 공간인 동시에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다. 그동안 벼 재배에서 문제가 되는 병해충은 농약에 의해 방제되어 왔으나 요즘에는 생산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친환경․ 유기재배로의 전환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논의 생물다양성, 특히 수생동물의 다양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아직까지는 논의 수생동물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한 효율적인 조사법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춘천과 홍성의 유기재배 논 각 1필지에서 (1) 채집망(폭 18cm, 망목 0.5mm, 10반복)으로 논바닥을 30-45cm 끌거나, (2) 플라스틱 방형구(20 x 28.5cm, 10반복)를 논에 설치한 후 내부의 논물과 2-3cm 깊이의 토양을 채집하거나, 또는 (3) 파이프형 채집기(직경 6cm, 10반복)를 논토양의 3-4cm정도를 떠서 그 속에 있는 수생동물을 채집하고, 조사 방법 간 총 분류군수, Shannon 다양도 지수(H') 등을 비교하였다. 춘천의 유기재배 논에서 총 분류군수는 조사방법에 따라 19, 20, 15분류군이, 홍성에서는 24, 25, 14 분류군이 채집되었고, Shannon 다양도 지수(H')는 춘천에서 1.7, 1.7, 1.9, 홍성에서 1.8, 1.8, 1.5로 채집망과 플라스틱 방형구가 파이프형 채집기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 조사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지만 채집 과정과 채집 후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고려할 때 논에 서식하는 수생동물을 조사하는 데는 채집망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5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ue bugs were surveyed at the forest, bank of rice fields, and sweet persimmon orchard near Jinju city, Korea in 2006 and 2007. Number of species (individuals) collected at the forest, bank of rice fields and persimmon orchard are 24 (817), 21 (425) and 15 (193) species, respectively. A dominant species was Nysius plebeius at the forest, and Cletus punctiger at the bank of rice fields and persimmon orchard. In all the three sites N. plebeius, C. punctiger, and Pachygrontha antennata were more abundant than other species, consisting 77.8% of the total collections. N. plebeius was mainly collected on July at the bank of paddy field, and on August and after October at the forest. Most number of C. punctiger was collected from early July to early September at three sites. P. antennata was mainly collected after October at the forest. Body sizes of the stink bugs were measured.
        4,000원
        5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렵과 채집은 구석기시대부터 존재하였던 생계 형태로 농경의 비중이 높아진 청동기시대에도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동기시대 수렵의 종류로는 활수렵과 창수렵, 함정수렵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함정수렵의 비중이 높아졌던 것이 신석기시대와 구별되는 청동기시대 수렵의 특징이다. 함정수렵은 수렵에서 손실되는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수렵의 시점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고려하면 청동기시대에 농경의 비중이 높아짐과 동시에 수렵활동에 투입할 수 있는 노동력의 비율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함정수렵을 채택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동기시대 채집의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는 없지만, 수렵처럼 노동력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즉, 농경활동을 통해 구축된 협업체계를 통해 단시간에 많은 사람이 채집활동을 실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노동력을 절감하는 형태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청동기시대에 수렵과 채집에서 변화가 발생한 시점은 청동기시대 후기로 판단되는데, 이 시점은 수도작이 확산되는 시기에 해당한다. 수렵과 채집에서 확인되는 변화가 노동력의 효율적 사용이라는 점에서 전작보다 수도작의 확산으로 발생한 사회변화가 보다 컸던 것으로 생각한다.
        5,200원
        5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장 폐수로 인한 오염이 심한 경기 시화호에서 오염정도가 다른 두 지역으로부터 풀망둑을 채집하여 이들의 해독효소계 또는 항산화효소계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해독효소계에서 I상효소로는 CYP, P450R, b5R, EROD를, II상효소로는 GST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항산화효소계로는 CAT, GR, CPx의 활성 그리고 GSH및 CSSG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염정도가 심한 지역에서 잡은 어류가 간장 중 P450R, b5R, GST의 활성이 높았으
        4,000원
        5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로 심하게 오염된 낙동강 하구역에서 오염정도가 다른 두 지역으로부터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을 채집하여 이들의 간중량지수(HSI), 생식선중량지수(GSI), 해독효소계 및 성 호르몬 수준을 비교하였다. 해독효소계로는 cytochrome P450 (CYP),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P450R), NADH-cytochrome b5 reductase (b5
        4,000원
        5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ind out the affection of the sampling techniques to the result of a faunistic study, we surveyed the insect fauna of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our different sites) for a year, from spring to fall. For each site, four different collecting methods: light trap, net sweeping, pitfall trap, and window trap, were applied and the collecting was done every other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A total of 14 orders and 672 species were collected. 501 species were collected by the light trap, which covers about 75%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urn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while other methods could only cover 18% or less. On average, only about 30% of the species collected at a given time of collecting were re-collected at the next collecting, which means about 70% of the species collected from the first collecting remains not collected in the next collecting if you collect insects every other week. The result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applying diverse collecting methods, frequent sampling, or narrow sample window, is another very important factor for a good representation of species diversity in an insect faunistic study.
        4,000원
        5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개월 동안,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의 출현상을 채집방법에 따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Sweeping에 총35과 151종 690개체가 나타났고, light trap에 30과 148종 68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그리고 pitfall trap에는 총18과 112종 1674개체가 채집되었다. 채집방법별 건중량은 pitfall trap (181.46 g), light trap (39.85 g), 그리고 sw
        4,000원
        59.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e out the handling characteristics of the FMT(Frame Mideater Trawl)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using a trawler "DONGBAEK" belongs to Yosu National University. The realtionship between the net depth D(m) and the warp length L(m) at the towing speeds of 2.5k't and 3.5k't werw as follows ; D(m) = 0.30L - 1.3(2.5k't), D(m) = 0.16L - 1.5(3.5k't). Therefore, the net depth was 3.0m deeper when the warp length was 10m longer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1.6m deeper for 10m longer at the speed of 3.5k't, respectively. The sinking speed of FMT was 6.5m/min when the warp releasing speed was 24m/min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3.8m/min for 25m/min at the towing speed of 3.5k't, respectively. The rising speed of FMT was 6.9m/min when the warp rewinding speed was 28m/min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5.3m/min for 25m/min at the towing speed of 3.5k't, respectively. The mean elapsed time getting to the stable towing condition was 104sec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105sec at the towing speed of 3.5k't,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time difference for the towing speed variation. During the towing, the net depth was comparatively stable on the condition of no change for the warp length and the towing speed.
        4,000원
        6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사과원에서 꿀벌 대신에 화분매개곤충으로 유망한 뿔가위벌류의 활용을 목적으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각각 전국 66, 52, 60개소 산지에 내경 6-8mm인 대나무대롱을 설치하여, 자생하고 있는 뿔가위벌류의 종별 분포와 채집량을 조사하였다. 머리뿔가위벌, 뿔가위벌, 붉은뿔가위벌, 외뿔가위벌, 꼬마민뿔가위벌의 5종이 채집되었으며, 각종별 점유율은 각기 39.9-51.7, 28.3-53.7, 5.5-19.1, 0.8-0.9, 0-0.1%였다. 매년 머리뿔가위벌과 뿔가위벌 2종이 전체 채집량의 80%내외였으며, 채집량이 많은 5개지역중 원주지역에서 머리뿔가위벌이 우점종이었고, 나머지 4개지역(안성, 괴산, 봉화, 구미)에서는 뿔가위벌이 우점종이었다. 암컷의 비율은 머리뿔가위벌 29-43, 뿔가위벌 10-12, 붉은뿔가위벌 22-43%로 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3종 뿔가위벌류는 채집지역의 해발을 200m 이하, 300-400m, 500m 이상으로 구분하였을 때,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서 채집수가 많았고, 3종 뿔가위벌류중 머리뿔가위벌의 점유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3년간 동일장소에서 연속 채집할 경우 머리뿔가위벌과 붉은뿔가위벌은 연도가 경과할수록 채집량이 점차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뿔가위벌은 반대로 크게 감소하였다. 3종 뿔가위벌류가 대나무 대롱에 영소하는 시기는 3월 하순-4월 중순에 시작하여 5월 하순-6월 중순에 종료하였으며, 영소 최성기는 4월 하순-5월 중순이었다. 한편. 뿔가위벌류의 경쟁종인 구멍벌은 5월 하순-6월 중순에 시작하여 6월 하순-7월 중순에 가장 많이 영소하였고, 감탕벌은 4월 하순5월 중순에 시작하여 7월 하순8월 중순에 가장 많이 영소하였다. 차이가 없었으며 EP2군에서는 오히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작약씨에는 체내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상태를 저하시키는 물질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HDL-콜레스테롤 대사를 활성화시켜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이 주요기전으로 판단된다. 이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작약씨에 존재하는 monomer형태의 resveratrol이 일익을 담당하지만 추출물속에 함유된 resveratrol oligomer 및 비 resveratrol 화합물도 작용하였으리라고 사료되어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작약씨에 함유된 물질들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이미 보고된 항산화기능과 함께 동맥경화 예방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능성 식품에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lopectin, which playa leading role in protein interaction, with the oxidation of starch.으며 엽산을 공급시킨 군에서는 에탄올 급여군과 pair-fed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에탄올 급여시 혈장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엽산 섭취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지질과산화물과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영양소의 변화에 대하여 엽산결핍이 에탄올 섭취에 의해 변화된 항산화계의 손상을 더욱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순환이 뇌대사 및 수술 후 신경학적 결과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3) to alleviate farmers' heat strain, clothing manufacturers must consider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extil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