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41.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or Sterptococcus thermophilus on the fermentation of yoghurt containing 5% (w/v) buckwheat sprou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fter 12 hours of fermentation the appropriate pH, titratable acidity and number of viable cells were attained. At that time, the rutin content of the buckwheat sprout-added yoghurt prepared by the mixed culture method was not changed, but the quercetin content increased greatly. Conversely, the rutin content of yoghurt that only contained Streptococcus thermophilus was decreased while the quercetin content was increased. The total phenol contents as well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both the mixed culture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yoghur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aken togeth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use of a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during the preparation of buchwheat sprout-added yoghurt was desirable due to the decrease in pH and increase in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s that occurred after 12 hr of fermentation. Moreover, phytochemicals in buckwheat sprouts such as rutin, quercetin and phenol compounds were comparative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influe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in buckwheat sprout-added yoghurt.
        4,000원
        4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점진적혁신에 미치는 효과와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창의성과 A형성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접점종업원 306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을 바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중 친화적문화와 진취적문환는 프로세스혁신, 운영혁신, 서비스혁신 모두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존적문화와 합리적문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매우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4,800원
        4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mkang’ a new variety of oyster mushroom, fitting for the bottle culture, was bred and by mating between monokaryons isolated from MT05433 and AE1-1. I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the pilei were thick and dark-gray and the pileistripes were thick and long with softness. It was great in elasticity and cohesivness of tissue as compare to chunchu-1h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around 26~28℃ and that for the pinheading and growth of fruitbody was around 14~16℃. In the bottle culture, it was required around 26 days in incubation period and 4 days in primordia formation. The fruit body was grew vital and uniform. The yield were shown by 136.5g/bottle.
        4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 시 재배시기별로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야채다업시험장 표준액을 1/4S, 1/2S, 2/3S, 1S로 하여 펄라이트와 입상 암면을 4:6 부피비로 섞은 고형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온기재배의 경우 1/2S 처리구에서, 저온기의 경우 2/3S 처리구에서 광합성 속도, 절화 품질 및 생육이 우수하였다. 이를 토대로 1/2S(고온기), 2/3S(저온기) 처리구의 양수분 흡수율을 기준으로 새로운 배양액을 조성하였다. 이온의 조성은 고온기의 경우 NO3-N 6.8, NH4-N 0.7, PO4-P 2.0, K 3.8, Ca 3.0, Mg 1.2, SO4-S 1.2me·L-1, 저온기의 경우 NO3-N 6.8, NH4-N 0.7, PO4-P 2.0, K 3.8, Ca 3.0, Mg 1.2, SO4-S 1.2me·L-1 이었다. 개발한 배양액의 적합성 평가실험 결과 UOS 배양액은 Ca, P 등의 이온이 장미의 양분흡수율보다 많이 함유된 기존의 배양액과 비교하여 근권 내 EC 변화가 안정적이었다. 또한 절화수량이 재배기간에 관계없이 기존 배양액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저온기 재배시 아이찌현 배양액 처리구에 비하여 수확량이 140%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형배지를 이용한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시 새로 개발된 배양액을 사용할 경우 기존 배양액에 비해 비료절감의 효과와 함께 안정적인 생육 및 수량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4,000원
        4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까지 보급된 느타리버섯류 81개 품종을 URP를 이용하여 PCR에 의한 DNA 패턴으로 유연관계 분석과 자실체 특성조사로 품종간의 유사성을 결정하였고, 계절별로 상자재배 하여 온도 적응성에 대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배품종의 DNA 패턴과 자실체 특성분석으로 품종의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원형느타리는 1, 수한은 15, 왕흑평은 4, 춘추2호는 6, 신농11호는 1, 삼구01호는 2품종과 유사하거나 구별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수한 근연종으로는 5품종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는 버섯 생육 시 산소공급을 위하여 환기가 필수적이므로 재배사내에서 외부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알맞은 품종을 선택하여야 에너지 절감과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봄~여름 재배 시 높은 온도(16℃ 이상)에 적응성이 강한 품종(내서성이 강함) 으로는 사철느타리종, 여름느타리종, 분홍느타리종의 8개 품종들이 속하였다. 봄~여름 재배 시 높은 온도에 적응성이 다소 강한 품종(내서성이 다소 강함)으로는 느타리종 51개 품종으로 나타났다. 가을~겨울 재배시 낮은 온도(11℃ 이하)에 적응성이 다소 강한 품종으로는 느타리종 64품종으로 나타났다. 사계절 재배 시 적응성이 다소 강한 품종으로는 49개 품종으로 나타났다. 큰느타리, 아위느타리, 전복느타리종은 균사생장이 느려 오염이 심하여 상자재배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품종 특성 구명은 품종의 계절별 올바른 선택으로 에너지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의한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농가와 종균배양소간의 분쟁해소, 품종육성자의 본인 개발 품종에 대한 상대적 위치, 육종모본 선택, 농가지도 사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 pH, 탄소원, 질소원 그리고 기질에 따른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의 균사 생장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아위버섯의 균사생장에는 MEA(malt extract agar)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균사생장에 최적 온도 범위는 25~30℃, 최적 pH는 6.0~8.0 이지만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아위버섯 균사 생장에 효과적인 탄소원으로는 arabinose, 질소원으로는 arginine 이었다. 그리고 균사생장에 효과적인 기질은 참나무 톱밥과 면실피를 8: 2의 비율로 섞은 배지였다.
        4,000원
        4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매향' 등 6품종을 대상으로 유기재배 방법으로 촉성 및 반촉성 작형에서 재배하여 생육, 수량, 과실 품질 및 병해충 발생 양상 등을 조사하여 유기농 재배에 적합한 딸기 품종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년에 걸친 시험 결과 두작형 모두에서 '설향'의 수확량이 타품종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높았다. '설향'의 재배기간 전체 평균 당도는 12.0˚Bx로 타품종과 비교하여 낮은 경향이었으며 특히 고온기에 당도저하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촉성 재배의 주요 출하시기인 2월 하순까지는 타품종과 비슷한 당도 변화를 보였다. '설향'의 경도는 평균 279g/Φ5mm로서 기존 촉성재배 대비 품종인 '아키히메'보다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매향'(0.69%)에서 가장 높았다. 촉성 재배시 '선홍'에서 생체중 및 근중이 타 품종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엽면적은 '설향'이 유의성있게 높았다. 반촉성재배시 품종간 생육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설향'의 잿빛곰팡이병 발병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배 및 육묘기 모두 '설향'이 흰가루병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목화진딧물 발생량도 타품종과 비교하여 낮은 경향이었다. 점박이응애 발생량은 '레드펄'에서 낮은 밀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생육 및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설향'이 촉성 유기 재배에 가장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되었으며 반촉성 재배시에는 고온기 '설향'의 경도 및 당도가 저하되어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njung', a new variety of oyster mushroom was bred in Mushroom Research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in 2006. This oyster mushroom was bred and cultivated one after mating with monokaryon collected from KME20064 and KME20066.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about 26∼28 and that for the primordia and growth of fruitbody was about 18∼23℃. Compared to the control which took 25 days of incubation period, Sunjung required 21∼ 22days. It grew primordia after developed a lump of mycelium. In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pileus was infundibuliform of yellow-color and stripe was slender/long shape of white color. The yield was 112.9g/850cc bottle and 275.5g/2kg P.P bag.
        51.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루재배에서의 효율적인 급액관리법을 규명하기 위해서, 배액 전극법, Timer법 및 적산일사량법으로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를 하였다. 배지의 무게변화는 배액 전극법의 경우 일사량이나 생육단계에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반면에 일사량법과 Timer법에서는 일사량과 생육단계 등에 따라 매우 변동이 심해서 안정적인 급액관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수량은 배액 전극법에서 가장 많았으나, 상품수량은 일사량법 이외에는 차이가 없었고, 당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생육은 배액전극법이 가장 좋았고, 일사량법과 Timer법에서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사량법은 적절한 Timer 제어를 병행하고, 부단히 보정을 해주어야 안정적인 급액이 가능한 반면 식물의 요구에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배액전극법은 급액횟수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급액방법으로 나타났다.
        4,000원
        5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ajoa oyster mushroom was bred in Mushroom Research Institute in 2004. This oyster mushroom was bred and cultivated one after mating single spores collected from Boonli 89-1 and ASI 2018-249.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mushroom were showing a lot of pinheadings, the gray-colored and infundibuliform pileu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around 26∼28℃ and that for the pinheading and growth of fruitbody was around 15∼18℃. Incubation period were required around 24 days with bottle culture and about 21days in P.Pvinyl bag culture. The yields was shown high by 140.7g/bottle and 260.3g/P.P vinyl bag.
        5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다조아느타리버섯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6∼28℃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5∼18℃이다. 나. 갓색은 회색이고 얕은 깔대기형이며 발이수가 많다. 다. 병재배시 배양일수는 20℃에서 24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4일이며 대형태는 굵고 짧은형으로 농가실증시험에서 병당수량은 140.7g으로 높은 편이었다. 라. 봉지재배시 배양일수는 20℃에서 21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4.2일이며 대형태는 굵고 짧은형이었고 농가실증 시험에서 봉지당 수량은 260.3g을 나타냈다. 마.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고, 균사생장량 및 종균배양기간에서도 지역간 균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바. 세균성 갈변병 중 Pseudomonas agarici와 푸른곰팡이병 Trichoderma virens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실증재배시 과습한 환경관리 농가에서는 갈변병이 2∼4%발생되었다. 사. 다조아느타리버섯은 균사활력이 강하고 병, 봉지재배 적응성이 높은편이나 발이량이 많아 초기 환기량이 많이 요구되고 후기에는 환기량을 줄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
        4,000원
        58.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송이는 약산성인 pH 5에서 생장이 가장 빠르다. 꽃송이는 MEF배지에서 가장 잘 자란다. 다음은 MES, MEI, YMF, YMM, YMT, YMB, YMI, MEA, PDA순으로 잘 자랐다. 꽃송이버섯은 종합미네랄을 0.2% 첨가하였을때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고, 0.2%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균사생장이 약해진다. 꽃송이버섯의 생육에는 무기염류(minerals)로서 P, K, N, S등이 비교적 다량(약 100~500mg/)으로 요구되며 그외에도 미량원소로서 Fe, Zn, Cu, Mo, Co, Mn, Cl등이 필요하다. 꽃송이버섯은 비오틴을 0.1% 첨가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고 이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균사생장이 약해진다. 꽃송이버섯은 티아민을 0.1% 첨가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고 이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균사생장이 약해진다. 꽃송이버섯은 Fructose을 2% 첨가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고 이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균사생장이 약해진다.
        4,000원
        6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il condition that previous crop cultivated after [TO: Soil of corn cultivated, T1 : Soil of rye monoculture cultivated(l50kg/ha), T2 : Soil of mixedculture cultivated(Rye : Red clover = 120 : 3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