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41.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성마비아동에게 촉각 및 전정감각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균형 및 시각 주의 집중 행동에 변화를 보이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인 ABA 반전 설계법이며, 검사 도구는 감각력 검사와 임상관찰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2005년 7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3개월간 총 34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I과 기초선 II 단계는 각각 2주간 5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중재프로그램은 8주간 주 3회씩 총 24회기 동안 연구자가 구안한 촉각훈련 프로그램과 전정감각 프로그램을 40분간 실시하였다. 결과 : 뇌성마비아동에게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손집기 행동, 시선 회피 행동 및 눈 깜박거림 행동이 감소하였다. 특히 눈 깜박거림 행동이 가장 많이 감소를 하였으며 이는 촉각과 전정감각을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눈 깜박거림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론 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촉각과 전정감각을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균형 및 시각 주의 집중 행동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4,000원
        42.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 무시를 보이는 뇌졸중환자들을 대상으로 시각적 단서(visual cue)를 이용한 조건화된 방법이 편측 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해 좌측 편마비 진단을 받은 3명을 대상으로 약 3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조건화된 학습을 위한 시각적 단서로는 대상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건을 선정하였다. 연구 디자인은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에서 ABA 연구 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건화된 학습 훈련 전, 후의 편측 무시 정도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Albert Test, Baking Tray Task를 사용하였고, 치료 후에 일상생활에도 편측 무시 치료의 향상이일반화가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상생활 과제들을 실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 모두 기초 선 보다 치료 기간 동안에 편측 무시 감소와 일상생활 과제 수행 성공률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료 중지 후에도 지속되었으며 시각적 단서가 없는 경우보다 시각적 단서를 제공한 경우에 더 효과적이었다. 결론 :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조건화된 학습은 편마비 환자의 편측 무시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편측 무시 치료에 있어서 기존의 시각적 단서에 조건화된 학습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이러한 연구의 효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적합한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4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시성 약시에서 가림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방볍으로 안경 교정만으로 약시 치 료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근시성 약시 환자 14 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 나이, 치료 전 시력, 치료 기간, 굴절이상 정도, 난시와의 관계륜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자 는 조절마비하 꿀절검사를 실시하였고, 안경교정에 의한 약시 치료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4 나타내 약시 환자에 대해서도 치료 효 l. 근시성 약시의 굴절이상 교정 후 초기 시 력 (Mean :t SD) 은 0.46 :t 0 .1 1을 였고, 최종 교정시 력 (Mean :t S D)은 0.84 士0 .1 3을 나타내었다. 2. 치료 시작 나이 (Mean :t SD) 는 6.6 :t 1.5 세였으며 치료 기간은 23.2 :t 6.57ß 월이었다. 3. 근시성 약시 모두에게서 뚜렷한 시략 변화를 보였으며 치료 전 시력이 좋으면 치료 후 시력도 좋았다 (p < 0.05). 4 안경렌즈의 도수 조정에 의한 치료는 8 세 이후의 과가 있었다 (p < 0.05)
        4,300원
        4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 visual analysis scale and functional visual analysis scale regarding functional capacity. A total of 7 consecutive patients with the complaint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ho received this diagnosis from a sports medicine physician were recruited to asses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on Visual Analog Scale (VAS) and Functional Visual Analog Scale (FVAS), functional capacity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The exercise rehabilitation consisted of a complex training program requiring five treatments a week for eight week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four phases, and each lasted for two weeks. Statistical analyses were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S and FVAS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1).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capacity during 8-weeks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05). In conclusion, at the end of the eight weeks of this rehabilitation program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 significant reduction was found in VAS and FV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capacity at the end of the treatment.
        4,000원
        46.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내 M시의 S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대상자 선정검사를 하고, 대상자 3명에 대해 기초선 검사 기간을 달리하여 다트게임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1이 기초선 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 중재단계로 들어가 상상연습을 실시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값의 평균을 구하였다. 대상자 1이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던 대상자 2도 상상연습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으며, 대상자 3도 대상자 2가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다가 상상연습을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의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인 평균값을 통해 거리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직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둘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1시간 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상상연습이 학습과 치료에 앞서 시연(demo)이 왜 필요한지를 밝히는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방법에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4,600원
        47.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visual block (eyes open or closed), mental task type, and participation in an exercise program on static balance in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34 elderly (>65 years old) residents of a social welfare institute in Gyeonggi-do. We measured the following variables. Berg balance scal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balance performance monitor (sway area, path, and maximal sway velocity), age, weight, height and wheth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Scores for the Berg balance scale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evaluated to assess static balance ability either alone (single task paradigm) or while performing a mental task (dual task paradigm). Static balance variables that were measured included sway area, path, and maximal sway velocity. Each test was repeated three times.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static balance ability. For the dual task paradigm, static balance was affected by wheth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The Berg balance scale score for subjects with their eyes open was affected by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while this variable in addition to the height and weight of subjects were determining variables in subjects with their eyes closed. As a result, whether subjects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affected their static balance irrespective of whether their eyes open or closed. Therefore, regular exercise is recommended for elderly peopl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c and dynamic balance while performing mental tasks such as cognition and attention.
        4,800원
        49.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on eye-hand coordination in a child with cerebral pals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ye-hand coordina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oing without pretreatment with the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with time-dependent fashion with a cerebral palsy child 2) A most increased part of eye-hand coordination activities was a large heavy objects and a least increased part of those was a writ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is a most useful therapy for a child with cerebral palsy having incomplete eye-hand coordination activity functionally.
        4,000원
        50.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more effective balance training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7 males, 7 females) being treated at Seran Pediatric Developmental Research Center in Taegu. Two group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veryday trained group, every-other-day trained group) were evaluated with visual & auditory feedback. Evaluation and training device was Balance Performance Monitor (BPM) Dataprint Software Version 5.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balance score between the pre-and the post-training in both group (p<.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balance score between two groups (p<.05). In conclusion, it is likely that the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anding balanc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veryday trained group and every-other-day trained group.
        4,000원
        5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mprove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visual feedback is usually used. During the training process there are some factors which decrease the effect. Neurophysiologically, the main negative factor is thought to be synaptic fatigue which decreases the sensitivity of synap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more effective balance training method. In this study, a total of 60 normal subjects-19~30 years old young males and females(M=30, F=30)-participated, and they were randomized as A, B, and C group, each group containing 20 subjects. First, all groups had a pre-test of sway balance. One minute later, A group was trained in sway balance by continuous visual feedback for 2 minutes, B group by intermittent visual feedback which had 4 sessions of 30 seconds each and a one minute rest break. C group was not trained at all. All groups had a post-test. Only B group had improved balance compared with C group by ANOVA. On the other hand, intermittent visual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continuous visual feedback in sway balance training with normal subjects.ㅂ
        4,000원
        52.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ight bearing training on the involved leg is impotant for ambul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mbulatory hemiplegic patients. Traditionally, physical therapists have relied on exercise therapy and subjective evaluation. The goal for this study was to measure lower extremity weight distribution in standing with ten hemiplegic pations(M:8, F:2) and to determine the traing effect on symmetrical standing posture using a "Limloader". The Limloader is a machine designed for training symmetrical weight bearing pos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bility to keep the center of gravity within the limits for bala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but the ability to adjust weight bearing on the involved leg was not (p<0.05). This study demostrated that hemiplegics can improved their symmetrical weight bearing ability using sensory biofeedback.
        4,000원
        5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visual cues can improve the motor performance of Parkinsonian patients. Previous laboratory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visual cueing to the floor.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using a visual cue above eye level on the gait of a Parkinsonian man. It was found that cueing the patient to a target above eye level while waking not only improved the kinematic parameters of the gait cycle but also facilitated a more functional gait pattern with re-intergration of arm swing, rhythm, heel strike and a more erect posture. Visual targeting above eye level may serve as an important clinical tool for physiotherapists treating Parkinsonian patients.
        4,000원
        54.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feedback device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to improve head control and symmetrical walking in cerebral palsied children. Biofeedback of postural sway was investigated as a therapeutic technique to reduce postural abnormality in 24 select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ubjects were evaluated their weight distribution of both sides during their standing before and after the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training. The effectiveness of biofeedback was compared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practices in reestabilishing symmetrical standing in cerebral palsied children. Our study found biofeedback was effective in training symmetrical standing posture.
        4,000원
        5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인 인구의 증가는 치매와 같은 노인성 만성질환을 초래한다(Kim & Jung, 2005). 치매는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진행성질환으로 인지기능 감소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 등이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린다(Lee, 2011). 또한 치매는 특성상 비가역적이고, 명확한 병인이 밝 혀져 있지 않아 원인적 치료가 어려우므로 종합적인 치료접근이 필요하다(Lee, 1997). 이에 본 연구는 지정된 공간 속에 꽃을 꽂는 작업이 치매노인의 시지각 운동 협응 능력의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D시 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25명 (실험군 13명, 대조군12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주 2회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매회기마다 지정 된 공간에 지정하는 꽃을 꽂게 하는 작업으로 실시하였다. 지정된 공간은 플로랄 폼(9.5×7.5×6cm)을 6등분하여 6개의 빨대(지름 1cm, 높 이 6cm)를 꽂아 제한공간을 만들었으며 그 공간에 화색별 지정 소재를 꽂도록 하였다. 평가도구는 미네소타 맨손 기민성 테스트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와 핀치검사(Pinch gauge)를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평가자료는 IBM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비모수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측정값은 시지각 협응(P=.120), 핀치(오른손 P=.062, 왼손 P=.073) 모두 동질하였다. 사전사후변화에서 대조군은 시지각협응(P=.533), 핀치(오른손 P=.765, 왼손 P=.254)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실험군은 핀치(오른손 P=.472, 왼손 P=.365)의 변화는 없었지만 시지각 협응은 원예활동 실시 전 28.5±12.9점에서 실시 후 31.5±15.1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37) 지정된 공간속에 꽃꽂이를 실시한 결과 꽃꽂 이는 다양한 작업으로 상지의 움직임과 손의 정교한 작업 및 눈-손 협응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재활적인 측면에서 매우 휼륭한 치료 수단 (Lee, 2006)이라는 내용과 일치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치료목적에 적합한 꽃꽂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적용한다면 전문적 인 재활치료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5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치는 사람의 구강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균이 초기 충치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는 대표적인 구취 유발균으로 구취 형성에 중요한 휘발성 황화합물을 생성하는데 관여한다. 치주질환은 치은결체조직과 치조골의 파괴를 유발하여 치아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Prevotella intermedia (P. intermedia)가 원인균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sodium fluoride (NaF), 녹차 추출액, 솔잎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마우스워시 제품을 사용하여 S. mutans 균을 포함, 구강질환 균으로 널리 알려진 P. gingivalis, P. intermedia 대해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험군의 경우 S. mutans, P. gingivalis 에 대해 30 s 내에 4.00 Log, 4.68 Log의 사멸력을 확인하였고, P. intermedia의 경우 30 s 2.40 Log, 60 s 2.70 Log 사멸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Dentocult SM Strip mutans (SM Strip) 염색방법을 적용하여 S. mutans 균의 감소여부를 시각적 자료로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CPC, NaF, 녹차 추출액,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마우스워시 제품은 구강균 사멸을 통해 충치 및 구취와 같은 구강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7.
        2014.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mall number of fusion research that addresses fear-appeal and self-efficacy in the effectiveness of warning labels cause the label is not clear, th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the message. With the experimental method, a total of 240 participants were smokers consist of Indonesi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age range 18-23 years. Data obtained then processed with ANOVA statistical methods and Test T.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the visual warning labels more effective than the textual warning labels alone. Results also suggest that a warning label should be both visual and textual messages combined with self-efficacy. Limitations, this study does not differentiate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in addition to the images are used only one type of disease, so that the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distinguish these factors.
        58.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뮬러-라이어 착시 도형을 이용하여 지각과 동작 수행 간에 나타나는 정보획득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조준과제와 잡기과제에서 나타난 행동학적 특성을 통해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 1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지각판단 과제, 잡는 잡기 과제, 조준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안구 움직임 추적장치(EMR-9), 3차원 동작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변인에 대한 지각과 동작 수행의 정보획득과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뮬러-라이어 착시 도형에서는 실제 크기와 다르게 지각 하였을 때 잡기 과제에서 다르게 지각한 것이 동작 수행에 영향을 끼쳤고, 최대그립크기와 같은 요인에서도 다르게 지각한 요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지각과 동작 제어 기전에서 연합성과 분리성의 개념이 아닌 복측흐름과 배측흐름에서 서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59.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권총 조준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자세 흔들림에 대해 시각정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있었다. 열 명씩의 같은 연령대의 오른손잡이 여대생들과 사격 선수들은 시각정보의 조건이 서로 다른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되었다. 첫 번째 과제는 표적을 향해 측면으로 서서 10m 거리에 위치한 표적을 주시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 과제는 동일한 자세로 같은 위치의 표적을 향해권총으로 조준선 정렬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세 번째 과제는 레이저 빔이 분출되는 권총으로 동일한 표적을 조준하는 것이었다. 과제의 수행 동안 피험자가 나타낸 전후와 좌우 방향의 자세 흔들림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압력판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일반 대학생들이 나타낸 전후와 좌우 방향의 자세흔들림의 크기는 모든 과제의 수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사격선수의 경우 좌우 방향의 자세 흔들림에 대한 과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전후 방향의 자세 흔들림은 과제의 차이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레이저 빔이 분출되는 권총으로 조준을 하였을 때 전후 방향의 자세 흔들림은 가장 작았다. 또한 사격자세로 서서 표적을 주시할 때와 비교해 권총으로 조준선 정렬을 수해하였을 때 전후 방향의 자세 흔들림은 더 작았다. 현재의 결과는 조준을 수행하는 동안 사격선수와 일반인은 서로 다르게 시각정보를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시각정보 사용의 차이는 자세 흔들림의 정확도유지 기능과 연관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레이저 빔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정보는 권총 조준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그 효과는 시각정보를 사용하는 능력의 차이로 인해 숙련자에게만 유효하다.
        60.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내식물의 시각적 이미지가 주는 심리적 효과와 식물에 대한 관심도와의 관계, 식불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히였다. 9종의 실내 식물에 대한 14쌍의 이미지 감성형용사 어휘는 평가적인, 활동적인 그리고 정서적인 요인의 세 가지 주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세 가지 이미지 감성요인 중 활동적인 요인보디는 평가적인 요인이, 평가적인 요인보다는 정서적인 요인이 실내 식물의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대상자들의 실내식물을 키우는 것에 대한 관심도는 충성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 연간 구입 개수,구입 비용,실내 식물을 키우는 형태와 같은 행동적 요소는 경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식물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에 있어서 실내식물에 대한 22항목의 중요도는 6가지 주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 종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서이완성”,“심미성”의 개념에 해당하는 항목들의 경우 다른 요인에 비해 충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5가지 충성도의 항목 중 “실내 식물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할 용의가 있다"는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식물의 시각적 이미지가 주는 심리적 효과, 실내식물에 대한 관심도,그리고 중요성 인식은 거주자의 정서적 건강 증진과 실내 식물의 소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실내식물에 대한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