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

        4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mineral element concentrations of acorns i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seed orchard, so that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these species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different clones from plus trees. The acorns were collected from ten clones of each species grown in the same clonal seed orchard. The nutritional concentration of acor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lones and species.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for the whole acorn followed in this general sequence: P > K > Na > Mg > Ca > Mn > Fe > Zn > Cu . The mineral concentrations of acorns in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contained P (494 to 684 and 541 to 672 mg/100 g), K (114 to 569 and 140 to 251 mg/100 g), Na (57 to 121 and 49 to 85 mg/100 g), Mg (29 to 37 and 26 to 42 mg/100 g), Ca (10 to 53 and 26 to 68 mg/100 g), Mn (0.5 to 3.4 and 1.8 to 4.5 mg/100 g), Fe (0.7 to 1.1 and 0.0 to 2.2 mg/100 g), Zn (0.34 to 0.81 and 0.38 to 0.84 mg/100 g), and Cu (0.13 to 0.40 and 0.09 to 0.34 mg/100 g) respectively. Even though acorns of Q. serrata are smaller in size than Q. acutissima, acorns of Q. serrata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f phosphorus, calcium, iron and manganese than Q. acutissima. Based on the mineral composition of the acorn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have different ability to accumulate mineral nutrients which could indicate the variation of Quercus species in terms of mineral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4,000원
        4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풍나무류의 활력있는 종자의 공급량을 파악해 보고자, 2009년과 2010년의 초가을에 단풍속 6수종, 복장나무, 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당단풍 및 단풍나무 종자를 채취하여 종자특성과 종자활력을 조사하였다. 화서형태는 복장나무, 당단풍과 단풍나무는 산방화서(corymb),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는 위가 편평한 원추화서(flat-topped panicle), 부게꽃나무는 총상화서(raceme)였다. 화서당 종자?V의 개수는 부게꽃나무가 38.5개로 가장 많았고, 당단풍이 2.4개로 가장 적었다. 종자직경은 우산고로쇠가 13.5mm로 가장 크고, 당단풍이 4.7mm로 가장 작았다. 시과의 각도는 당단풍이 130.05˚로 가장 크고, 부게꽃나무가 48.60˚로 가장 작았다. 20 시과?V의 건조중량은 우산고로쇠가 3,900mg으로 가장 무거웠고, 부게꽃나무가 404mg으로 가장 가벼웠다. 채종한 단풍나무류 종자의 건전종자의 비율은 단풍나무는 50%, 다음으로 부게꽃나무는 43.2%로 나타났다. 나머지 4 수종은 8.6~22.2% 정도로 나타나, 낙하종자에 대한 설치류의 피식량, 건조의 피해, 낙엽층의 발아방해 등을 고려하면 고로쇠, 우산고로쇠 복장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건전종자의 공급량 부족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로쇠,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및 당단풍나무의 종피에서 벌레에 의한 천공피해가 관찰되었으며,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의 종자에서는 검정긴꽃바구미(Bradybatus sharpi)가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4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나리 하계 고온기 고품질 절화생산 및 경 영비 절감을 위한 도입 소구의 비대증식에 유리한 환경 조건을 찾아내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구비 절감을 위해 소구를 도입하여 양구하는데 효과적인 환경조건을 찾 아내고자 재배형태를 비가림, 망실, 무피복으로 나누고 다시 절화 재배시 많이 사용하는 30% 차광처리와 무처 리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비가림 재배 가 우수하였고 차광의 효과도 다소 있었다. 특히 양구에 있어서는 대관령 등의 고랭지에서 주간과 야간온도의 차이가 커서 동화산물의 전류 및 축적이 많아 평지에 비해 구비대가 유리하여 시비 및 관수방법에 따라 보통 3년 정도인 양구 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4,000원
        4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낙엽수림 지역에 혼재하고 있는 제비꽃 속 중 고깔제비꽃, 왜제비꽃, 남산제비꽃의 생육기간 중 개화 시기와 생식 방법에 따른 종자의 생산량 등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종 모두 수관이 폐쇄되기 전의 짧은 기간 동안 개화 시기에 미세한 차이를 두고 개방화를 생성하였고, 폐쇄화는 수관이 폐쇄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성되었다. 삭과 한 개당 종자 수는 고깔제비꽃<남산제비꽃남산제비꽃>왜제비꽃 순서로 종간과 생식 방법에 따라 유의적으로
        4,000원
        4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수국의 종자번식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수행하였다. 종자를 11월 15일, 12월 30일, 그리 고 1월 23일 채취하여 파종한 결과 최종발아율이 각 각 90.0±4.16%, 84.4±5.52%, 그리고 88.9±2.40%로 휴 면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광, 온도조건에 따른 발아실험 결과 최적의 발아조건은 온도는 25oC이고, 광 은 명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초장, 엽장, 줄기직경, 근 장, 근수, 생체중, 건물중, T/R율 공히 25/20oC의 주야 변온조건에서 가장 크거나 많았으나 25oC 항온조건과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15oC와 20oC의 비교적 저온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는데, 특히 T/R율이 낮아 지상 부의 생육이 더 억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색광은 유묘의 초장과 절간장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청색광 처 리구에서 총엽록소, 엽록소 a/b 및 카로티노이드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색+청색광 조합처리가 그 다음 으로 높아 청색광이 포함된 광질 처리에서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플러그 셀 수(50, 72, 128, 162, 200cell)에 따른 유묘의 생육실험결과 지상부의 생육은 50공 트레이에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72, 128공 순 이었으며 162공과 200공 간에는 유의적인 경향이 일 정하지 않았다. 대체로 셀의 부피가 큰(재식밀도가 낮 은) 트레이에서 자란 유묘의 잎이 컸다.
        4,000원
        5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품종을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생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원소재 축산연구소에서 2001년 10월부터 2003년 5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사료용 보리의 내한성, 내병성 그리고 내도복성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산파 130 kg/ha와 조파 130 kg/ha에서
        4,000원
        5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unctional muffin in which grape seed extract(GSE) was added at 0, 0.5, 1 or 2% levels an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volume of muffin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cont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weight and height of muffin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content. The incorporation of GSE in the product lowered lightness (L value) and increased redness(a value). The mechanical texture parameters including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levels.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muffin prepared with 0.5% GSE was considered to be as acceptable as control, based on hedonic scale ratings given by untrained taste panel.
        4,000원
        5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자피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인 CFclear(CF), arabic gum(AG), cethylmethyl cellulose(UC), polyvinyl alcohol(PVA), polyvinyl pyrrolidone(PVP), hydroxy propyl cellulose(HPC), methyl cellulose(MC)와 고형물질로 bentonite(B), kaolin(K), calcium carbonate(CC), peatmoss(PM), tal
        4,000원
        55.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곰취를 비롯한 15종의 자생 초본류의 종자특성인 종자수득율, 천립중, 종자길이와 폭을 측정하였으며, 6종의 자생 초본류의 종자를 가을파종으로 임간 발아시험을 하였다. 참취를 비롯한 13종의 자생 초본류 종자가 7mm미만 의 길이와 3mm미만의 폭을 지닌 세립종자들이었다. 곰취를 비롯한 10종의 자생 초본류의 종자수득율이 5% 미만으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참나물을 비롯한 5종의 자생초본 발아율은 생육지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평균 발아율은 참당귀가 47.00%로 가장 높았고, 곰취가 38.25%, 참나물이 30.88% 독활이 15.75%, 고려엉겅퀴가 10.00% 였고, 참취가 9.32%로 가장 낮았다.
        4,000원
        5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lm with methylcellulose(MC) and grape seed extract(GSE) were prepared by casting their aqueous solution at 80oC and dryng at 23oC for 48 hrs. Effect of grape seed extract (GSE) on the barrier permeabilities and the thermomechanical property of methylcellulose(MC) film was studied. The barrier permeabilities and the thermomechanical property of MC films containing various contents of GSE were evaluated in terms of water vapor, oxygen permeabilities, and dynamic mechanical analysis(DMA). The rate of water vapor permeability of MC films decreased with GSE contents in the MC films. Also, the rate of oxygen permeability also decreased with GSE contents indicating higher oxygen barrier property of the MC film. The results showed that GSE had a good miscibility with MC and acted as a plasticizer for MC films resuling in lower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4,000원
        58.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ies of orchardgrass "Hwabsung 2 Ho" cultivated for seed production were examined in the NLRI from 2000 to 2002.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plots were th
        4,000원
        59.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차드그라스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되었다. 공시품종은 국내에서 육성한 오차드그라스 "합성2호"로 하였다. 처리내용은 파종시기로 8월 10, 20, 30일과 9월 10, 20, 30일에 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정착상태는 8월 10일 파종에서는 늦 장마로 인하여 유모의 정착이 불량하였다. 수량구성요소 중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