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6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검역규제 선충인 클로버씨스트선충(Heterodera trifolii)이 국내 최초로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원동, 하사미동 일원의 배추 포장에서 2011년 7월에 검출되었다. 강원도 태백시 배추포장에서 발견된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암컷 선충의 크기는 평균 540㎛이었으며, 암컷의 외부 형태는 레몬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젊은 암컷의 몸색깔은 노란색을 띄고 있으며, 노숙 암컷의 몸색 깔은 짙은 갈색을 띄고 있었다. 유충의 크기는 길이가 466.9~593.63㎛ 이었으며, 꼬리의 길이는 69.0~82.8㎛이며, 구침의 길이는 26.68~33.35㎛이다. 클로버씨스트선충에 의한 배추의 피해는 배추뿌리혹병의 병징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데, 클로버씨스트선충에 의해 피해를 받은 배추는 정상적인 배추에 비해 생육이 부진하고, 크기가 작으며, 기온이 높고 토양의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배추의 겹잎들은 수분부족으로 시들음 증상을 보인다.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강원도지역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최초 발견지를 중심으로 강원도 태백, 평창, 삼척, 정선의 126개 배추포장의 토양과 배추의 뿌리를 채집한 후 fenwick 법으로 클로버씨스트선충의 cyst 감염유무를 조사한 결과 태백시 창죽동, 원동, 하사미동의 일부 배추포장에서만 클로버씨스트선충이 검출되었다.
        6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한국의 34개 지역에서 총 68점의 토양을 채집하여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지역에서 토양 샘플을 채집하여 미끼 곤충인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유충을 이용하여 곤충병원성 선충 유무를 확인하였다. 34곳의 토양 샘플 중 곤충병원성 선충이 검출된 지역은 5지역으로 Steinernema속 4종류와 Heterorhabditis속 1종이 발견되었으며 검출율은 14.7% 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신속한 분류를 위해 ITS영역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Steinernema속 4종류는 모두 S. monticolum으로, Heterorhabditis속 1종은 H. megidis로 판명되었다. S. monticolum은 인제군 인제읍, 봉화군 소천면, 봉화군 재산면, 태백시 혈동의 산림 지역에서, H. megidis는 봉화군 재산면의 산림 지역에서 각각 발견 되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이 발견된 지역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낙엽송(Larix kaempferi)이 서식하는 지역에서 검출되었다.
        6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물육종 프로그램에 선충저항성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이다. 세계적으로 선충에 의한 작물의 수량 감소는 약 10%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나 아시아 각국에서는 주요 작물별로 선충의 피해현황이나 저항성 작물 등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각국의 최근 선충저항성 관련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주요 경제작물 중 쌀, 콩, 고추, 오이, 참외 뿐만 아니라 장미, 카네이션, 국화 등 화훼작물에 대한 선충저항성 품종 선발 연구가 이루어졌다. 베트남에서 는 바나나, 커피, 쌀, 리치 등에 대한 선충저항성 검정연구와 식물 기생선충의 분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최근 파인애플에서 선충으로 인한 연작장해가 문제가 되고 있으나 저항성품종 개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아시아 각국에서 선충에 대한 연구가 부진한 이유는 방제전략의 부재, 경제적인 종합방제 대책의 부족, 선충에 대한 정보 부족, 살선충제 가격 부담 등이 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선충관리전략의 수립이 시급하다. 선충저항성 유전자원의 이용과 품종개발은 아시아 지역에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선충관리 대책의 하나가 될 수 있다.
        4,000원
        64.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5년 제주도 30지역에서 곤충병원성 선충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끼곤충 인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토양 내 곤충병원성 선충을 조사하였는데 1차 적으로 치사유충의 색깔 변화로 Steinernema속과 Heterorhabditis속을 구별하였 다. 30곳의 토양 시료들 중 곤충병원성 선충이 검출된 지역은 5지역으로 검출율은 16.7%였다. 분리 된 곤충병원성 선충은 모두 Steinernema spp.였는데 형태학적, 분 자학적, 생물학적 특징으로 분류, 동정 한 결과 Steinernema monticolum과 S. longicaudum으로 동정 되었다. Steinernema monticolum은 조천읍, 어리목, 성판 악, 1100도로 주위 산림에서 발견 되었고, S. longicaudum은 성산읍 한 곳에서 발견 되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서식처로는 산림에서 28.6%, 해안가에서 12.5% 발견 되었고, 토성은 모두 사양토였다. S. longicaudum은 공주와 논산지역에서 발견 된 바 있고, S. monticolum은 지리산에서 발견 되었었는데 제주도에서 발견 된 것은 처 음이다. 분리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계통과 접종 농도는 병원성에 영향을 주었다.
        6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 of inoculation level on pathogenicity,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arenarium was investigated using the last instar of great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Pathogenicity of S. arenarium was higher with increasing inoculation level representing 82% at the rate of 5 infective juveniles (IJs) while >98% at the rate of >10 IJs. The number of IJs penetrated into the host was 2.7, 5.0, 7.4, and 12.2 at the rate of 5, 10, 20, and 40 IJs, respectively while 24.3 at the rate of 80 IJs and 40.2 at the rate of 160 IJs. Inoculation level did not affect female adult size (4,616 to 6,444 ㎛) while affected male adult size (1,600 to 1,934 ㎛). The rate of stunted female adults was 70.2% at the inoculation level of 80 IJs and 63.7% at the inoculation level of 160 IJs. The number of progenies was 20,431, 26,696, 47,943, 50,516, 58,701, and 74,235 at the rate of 5, 10, 20, 40, 80, and 160 IJs, respectively. The body lengths of IJ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inoculation level ranging from 636 to 1,496 ㎛.
        4,000원
        6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new species of Tylenchorhynchus Cobb, 1913 from sugar cane fields in Sudan, T. sudanensis and T. elamini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T. sudanensis is characterized by rather medium body size female, L= 0.692 ㎜ long with rather medium stylet length of 20 – 23 ㎛. While T. elamini is characterized by medium body size female, L = 0.61 – 0.78 ㎜ long, medium stylet length of 16 –19 ㎛. Different characters of two new species are discussed. In addition, vital measurements and brief descriptions of two species are presented.
        3,000원
        6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lant-parasitic nematodes and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ematode species in citrus fruit orchards in Korea from April to August, 2008. Plant-parasitic nematodes were found in 139 among 178 soil samples. Tylenchulus semipenetrans was collected from 85 out of 94 Citrus unshiu orchards examined (90.4%). C. junos orchards infested with T. semipenetrans were 60 out of 84 (71.4%). However, proportion of dominant species between the two was different. At domestic Citrus orchards, it proved that T. semipenetrans was the most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 from this study. The overall frequency of the plant-parasitic nematod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ultivation years. More alkaline soils tended to harbor more T. semipenetrans.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was very low.
        4,000원
        68.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유용물질인 수박, 토마토, 참외 등의 각종 경제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환경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자생식물인 된장풀(Desmodium caudatum)을 이용하여 살선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X-plate에서 H2O, BuOH, Hexane, EtoAC로 추출한 된장풀을 고구마뿌리혹선충 2령충에 500 ppm으로 처리한 결과, Hexane과 H2O 추출물에서 48시간 후 100%의 치사율을 보였다. 그리고 BuOH와 EtoAC 추출물에서도 72시간 후 각각 92.5%와 89.4%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Hexane과 H2O 추출물의 농도별 효과 실험 결과, Hexane 추출물은 5,000 ppm에서 24h 후 100%의 치사율을 보였지만 1,000 ppm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살선충 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러나 H2O 추출물은 1,000 ppm과 5,000 ppm에서 24시간 후 100%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50 ppm의 농도에서도 72시간 후 100%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6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류 수체내 살선충제(아바멕틴 2.15% 유제)의 약제 잔류 및 지속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2월 하순경에 경남 진주시 금산면 월아시험림내 해 송을 대상으로 지상 50cm 높이에 천공(직경 6mm)을 한 후 흉고직경 cm당 1ml을 주입한 후 나무주사 처리일로부터 15, 30, 60, 100, 180일이 경과한 후 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채취는 주간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3-4cm 두께로 절단하고 가지는 수관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주 가지에서 3-5년생 가지 를 채취하였다. 아바멕틴은 약제 주입후 15일차에 가지에서 0.29-1.52mg/kg, 주간에는 0.65-2.26mg/kg가 검출되었고, 30일차에 가지에서 0.22-2.03mg/kg, 주간에는 0.87-1.84mg/kg이 검출되었지만 60일차에 가지에서 0-0.04mg/kg, 주간에서 0-0.06mg/kg으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약제 주입 후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 지에서 0-0.18mg/kg, 주간에서 0-0.11mg/kg 검출되었고, 180일이 경과한 후에는 0.14-0.18mg/kg, 주간에서 0-0.05mg/kg이 검출되었다 메소밀의 경우 주입 후 15일차에 가지에서 0.15-3.88mg/kg, 주간에는 0.76-22.81mg/kg가 검출되었고, 30일차에 가지에서 1.17-4.17mg/kg, 주간에는 1.51-2.64mg/kg이 검출되었지만 60일차에 가지에서 0.13-2.00mg/kg, 주간에서 0-0.81mg/kg으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약제 주입 후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 지에서 0-0.11mg/kg, 주간에서 0.05-0.15mg/kg 검출되었고, 180일이 경과한 후 에는 0.10-2.71mg/kg, 주간에서 0mg/kg이 검출되었다.
        7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류 수체내 살선충제(아바멕틴 2.15% 유제)의 약제 잔류 및 지속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2월 하순경에 경남 진주시 금산면 월아시험림내 해 송을 대상으로 지상 50cm 높이에 천공(직경 6mm)을 한 후 흉고직경 cm당 1ml 을 주입한 후 나무주사 처리일로부터 15, 30, 60, 100, 180일이 경과한 후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채취는 주간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3-4cm 두 께의 원판 disk를 채취하고 가지는 수관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주 가지에서 3~5년생 가지를 채취하였다. 아바멕틴은 약제 주입후 15일차에 가지에서 0.29-1.52mg/kg, 주간에는 0.65-2.26mg/kg 가 검출되었고, 30일차에 가지 0.22-2.03mg/kg, 주간 0.87-1.84mg/kg이 검출되었 지만 60일차에 가지 0-0.04mg/kg, 주간 0-0.06mg/kg으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약 제 주입 후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지 0-0.18mg/kg, 주간 0-0.11mg/kg 검출 되었고, 180일이 경과한 후에는 0.14-0.18mg/kg, 주간에서 0-0.05mg/kg이 검출 되어 약제 주입 후 30일 내외에 가장 높은 잔류량을 보이다 시간이 경과 할 수록 점차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소나무재선충은 약제에 대한 감수 성이 매우 높아 180일 후에도 약효지속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지속적인 경과 시기별 잔류량의 분석과 약효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메소밀의 경우 는 주입 후 15일차에 가지 0.15-3.88mg/kg, 주간 0.76-22.81mg/kg가 검출되었고, 30일차에 가지 1.17-4.17mg/kg, 주간 1.51-2.64mg/kg이 검출되었지만 60일차에 는 가지 0.13-2.00mg/kg, 주간 0-0.81mg/kg으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약제 주입 후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지에서 0-0.11mg/kg, 주간에서 0.05-0.15mg/kg 검 출되었고, 18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지와 주간에서 0.10-2.71mg/kg와 0mg/kg이 검출되었다. 항생제계인 아바멕틴은 유기인계인 메소밀에 비해 수체내 상승속도는 느리 나 약효지속기간은 긴 경향치를 보였다
        7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effective strains against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einernema sp. (GSNUS-10), Steinernema sp. (GSNUS-14),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HbH), and Heterorhabditis sp. (GSNUH-1) were selected among 14 isolates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 in laboratory tests. LC₅₀ values of above five strains against tobacco cutworm were various by different nematode strain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tobacco cutworm. LC₅₀ value of S. carpocapsae (GSN1) was the lowest by 4.0~8.3 infective juveniles (Ijs) and 2nd instars of tobacco cutworm was most susceptible. Pathogenicity of five effective strains against tobacco cutworm depends on nematode strain,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s. The most effective strain was determined as S. carpocapsae (GSN1). Two or three times of applications were effective regardless of nematode strain, or concentration. Efficacy of S. carpocapsae (GSN1), Steinernema (GSNUS-10), Steinernema (GSNUS-14), and Heterorhabditis (GSNUH-1) was variable depending on nematode strain, concentration, application times, and host variety. S. carpocapsae (GSN1) was the most effective and inoculation of 100,000 infective juveniles per ㎡ (720,000 Ijs/7.2 ㎡=1×10⁹ Ijs/㏊) resulted in higher efficacy. Three times of application of nematodes led to higher control efficacy than one or two applications. Efficacy of nematodes was higher on Chinese cabbage than cabbage or kale.
        4,000원
        7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뿌리혹선충에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식물체 정유(anise oil, caffeine,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hea sinensis oil, thyme oil, wintergreen oil, yucca)의 방제제로서 활용에 대비하여 유용곤충인 누에(Bombyx mori)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누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1000 ppm 농도로 희석한 후, 가정용 소형 분무기를 이용하여 잎이 10-15개 정도 붙어있는 뽕나무에 살포하여 음건하였다. 음건한 뽕잎은 따서 지퍼팩에 넣어 보관하면서 4령 1일째 누에를 이용하여 관행적 누에 사육법에 따라 급상하면서 매일 누에의 치사유무와 유충무게, 번데기 무게, 고치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처리 한 식물체 정유의 종류와 급상일수에 따라 누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었는데 처리 3일후와 5일후 까지는 누에의 치사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급상 7일째에는 neem oil 처리에서 53.3%의 치사율을 보였고 급상 10일후에는 100% 치사하였다. 5령 1일째 누에의 체중은 neem oil과 rotenone 처리에서 0.28 g으로 무처리구의 0.46 g과 차이가 있었다. Neem oil 처리구에서는 고치를 형성한 누에가 없었으며 고치무게와 번데기 무게는 rotenone 처리에서 0.27 g과 1.01 g으로 가장 적었다.
        7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신나몬 속에서 추출한 식물체 정유 6종의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유충(J2)에 대한 살선충력을 9개 농도(ppm) 수준에서 24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실내검정 하였다. 그 결과 카시아오일류(cassia oils)에서 높은 살선충력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가장 강한 활성을 보인 cassia oil의 구성 성분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이 오일에 함유된 주요 성분들은 (E)-cinnamaldehyde, benzaldehyde, α-terpenen, ρ-cymene, limonene, linalool, α-terpineol, cinnamyl alcohol, eugenol, salicylaldehyde, α-copaene, (E)-cinnamic acid, cinnamyl acetate, β-caryophyllene 등이었다. 각 성분들의 살선충력을 조사하였는데, (E)-cinnamaldehyde가 15 ppm과 10 ppm 농도에서도 99%와 57%의 살선충력을 보였다. 그래서 이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화합물들 42종을 대상으로 200, 100, 50, 25, 10 ppm 농도에서 구조에 따른 살선충력을 비교 검정하였는데, vinyl cinnamate와 (E)-methoxcycinnamaldehyde가 10 ppm에서 각각 83%와 44%의 살선충력을 나타냈다. 이는 살선충력을 갖는 화합물들이 기본 골격으로서 C6-C3를 필요로 하고 더불어 방향성을 갖는 알킨(alkene) 또는 알데하이드 그룹을 갖고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내실험을 통해 신나몬 속 식물체 정유들 또는 함유 화합물들이 토양 내 뿌리혹선충을 방제할 수 있는 잠재성이 매우 높은 식물군임을 확인하였다.
        7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뿌리혹선충에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식물체 정유(anise oil, caffeine,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hea sinensis oil, thyme oil, wintergreen oil, yucca)를 이용하여 토양해충 방제용 미생물 천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과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X-plate에서 1000 ppm 농도로 희석한 각각의 정유에 각 선충들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의 처리에서는 10%이하의 치사율을 보였으나 mustard oil 처리에서는 처리 24시간 후에 두 선충 모두 100% 치사되었으며 quassia 처리에서 72시간후에 16%가 치사되었다. Mustard oil의 농도별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치사효과를 조사한 결과 20 ppm 농도에서도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은 3일후에 100% 치사되었으며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은 69% 치사되었고, 5 ppm 농도에서도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은 3일후에 36% 치사되었다. Sand column에서 mustard oil과 곤충병원성 선충 동시 처리 시,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의 병원성은 100 ppm농도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은 무처리 대비 30%의 병원성을 보였다.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으로 기주 침입수도 mustard oil 처리구에서 적었으나 sand column내에서 생존수는 1000 ppm 농도를 제외하고 차이가 없었다.
        7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different application of nematic ides (fosthiazate 5% G, ethoprophos 5% G, and diazinon 34% EC) for the control of Aphelenchoides fragariae in strawberry were evaluated in a greenhouse experiments. Mother strawberry (Fragaria grandiflora) cv. Yeohong were dipped in solution of nematicides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2.5 g a.i./liter in 20℃ or 46℃) for 10 min. and planted in a greenhouse for dipping treatment. For the compare, mother strawberry were dipped in hot water for 10 min. without chemicals. For soil treatment,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3 ㎏ a.i./㏊ were mixed into soil. For foliar spray, diazinon at 3.4 g a.i./liter was sprayed at foliage until runoff. At 40, 80, and 100 days after planting, runners were harvested from each treatment and the rate of nematode infestation and the number of nematodes per plant were examined. After 100 days of planting, mother strawberry plants dipped in fosthiazate solution (2.5 g a.i./liter, 20℃) for 10 min. produced more number of healthy runners and reduced % of infected runner as much as 90% and also had fewer nematodes per runner. Fosthiazate was more effective than ethoprophos. Foliar application of diazinon was reduced A. fragariae populations only in early season. Hot water treatment and nematicide soil treatment were less effective.
        4,000원
        7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susceptibility of the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to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ScG), S. glaseri Dongrae strain (Sg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strain (HbH), and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rain (HeG) at the petri dish assay. The larval mortality of H. postic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nematode species and treatment concentration. SgD and HeG strain were more effective against H. postica larva than ScG and HbH strain. When SgD and HeG strain were treated with the rate of >20 infective juveniles (ijs) per alfalfa weevil larva, mortality was ca. 77.5-100% at the late instars of H. postica in 3 days. The number of established nematod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nematode species, whereas number of progen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ean number of established ijs of SgD strain in a host was the highest at 80 ijs by 30.2. The highest progeny number of HeG strain was 2,671.5 with 80 ijs. All nematode strains were not parasitic entirely to H. postica adults. These results show that alfalfa weevil late larva is highly susceptible to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the laboratory.
        4,000원
        77.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jor plant parasitic nematode in Chrysanthemum morifolium fields in Korea from May to June in 2005. A genus of Pratylenchus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plant parasitic nematode based on analysis of total 50 samples from 8 cities of chrysanthemum field. Pratylenchus showed 86% occurrence rate and average numbered 1,095 per 200㏄ soils and Ig root. Five Pratylenchus isolates, "Muan", "Masan", "Tean", "Gumi", "Jeongup", were selected for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of Pratylenchus, and ITS and D3-28S ribosomal DNA were amplified by PCR. For the ITS, only" Muan" isolate was differentiated by total 1 kb PCR amplification, which was 200 bp larger than all the other isolates. There was no size variation in amplified D3-28S rDNA and all isolate represented approximately 320 bp of PCR product. Sequence data of D3-28S rDNA were analysed by MegAlign program in DNASTAR software and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Sequence homology was 100% between "Gumi" isolate and "Tean" isolate and "Jeongup" isolate was also close to these isolates by 99.7% sequence homology. "Gumi", "Tean" group and "Jeongup" isolate were determined to be closely related to Pratylenchus vulnus by 96.7% and 96.3% similarity in respectively. D3 sequence of "Masan" isolate was 100% identical to P. penetrans, and "Muari" isolate showed 99.7% similarity to P. brachyurus. This result was congruent with the branch divergence pattern shown in phylogenetic tree.
        4,000원
        7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strains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EPN), steinernematids and heter-orhabditids were evaluated and tried in laboratory, pot, and vegetable greenhouse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of diamondback moth (DBM), Plutella xylostella, from 2002 to 2005. LC₅₀ values of five EPN strains against DB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nematode strain and DBM instar. LC₅₀ value of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1) was the lowest representing 2.6~3.9 infective juveniles (Ijs, 3rd stage) to 2nd to 4th instars of DBM. Pathogenicity of five effective strains against DBM was different depending on nematode strain, concentration, application times, and vegetable in pot. The most effective nematode was GSN1. Steinernema spp. was more effective than Heterorhabditis spp. against DBM. Two or three times of applications of EPN were effective regardless of nematode strain and concentration in pot. Efficacy of EPN was different depending on vegetable species. Efficacy was higher on Chinese cabbage, red mustard, and Ssamchoo than that on cabbage, kale, and leaf broccoli. Efficacy of GSN1, Steinernema GSNUS-10, Steinernema GSNUS-14, and Heterorhabditis GSNUH-l was variable depending on nematode strain, concentration, application times, and vegetable in greenhouse experiments. GSN1 was the most effective and 100,000 infective juveniles per ㎡ (=1 × 10⁹ Ijs/ha) resulted in higher efficacy. Three times of application of nematodes led to higher control efficacy than one or two applications. Efficacy of nematodes was higher on Chinese cabbage than cabbage or kale in greenhouse.
        4,000원
        7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for the establishment of nematode management strategy in major potato production areas in Korea. Nationwide soil collection was done in 11 areas of Cheju, Yesan, Gimchun, Goryoung, Hong chun, Pyungchang, Gimjae, Milyang, Namwon, Gangnung, and Inje in 2004-2005. Root-knot nematode juveniles(J2) were detected in 30 samples among the 50 samples. The average density was 12-69 J2/100㏄ soil. Pratylenchus sp., Helicotylenchus sp., Ditylenchus sp., Tylenchus sp., and Tylenchorh-ynchus sp. were also detected in various locations, however, their densities were very low. Root-knot nematode females were collected from tomato roots inoculated with the potato field soils for PCR-RFLP identification. The females from Cheju, Milyang, and Goryung showed PCR products of 500 bp. And the Dra I restriction enzyme digestions showing 290 bp and 230 bp fragments confirmed their identity as Meloidogyne hapla.
        4,000원
        80.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were introduced into cultural management of turfgrasses to enhance white grub control in golf courses for saving labour and expenses and contribution to giving safe playing and working places for golfers and superintendent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strategy. The turfgrass height influenced efficac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Efficacy was higher at short turfgrass both in pot using Galleria mellonella larvae and in golf courses using 2nd instar of Exomala orientalis and Ectinohoplia rufipes as baits. Aeration increased the efficac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which were lower virulent. Pre-aer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post-aeration. Exomala orientalis larval population was reduced 80.4 and 66.0% in the pre-aeration and post-aeration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compared to 35.4% in the no aeration treatmen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