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6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CO3 absorbed sodium lauryl sulfate (SLS) surfactant was prepared, Core-shell polymers of inorganic/organic pair, which have both core and shell component, were synthesized b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using styrene(St) as a shell monomer and potasium persulfate (KPS) as an initiator, We found that when CaCO3; core prepared by adding 2,0 wt% SLS, CaCO3 core/PSt shell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on the surface of CaCO3 particle without forming the new PSt particle during St shell polymerization in the inorganic/organic core-shell polymer preparation, The structure of core-shell polymer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CaCO3 using HCl solution, thermal decomposition of polymer composite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zer and morphology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4,000원
        62.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soflavone as a derivatives of flavone is colorless crystalline compounds. It acts on synthesis of fibronectine, collagen III, collagen I in human normal fibroblast by same biological activity to animal hormone. In this study, we tried to search and demonstrate system content rate of dermal translocation system for cosmetics using microemulsion containing isoflavone. The results of microemulsion stability test by centrifugation, storage in incubator and circulation chamber showed that separation of phase did not appear after 30 days. By the skin flexibility test, it has confirmed efficiency and effect as cosmetics materials. As the result, the microemulsion showed that skin flexibility factor improved up to 7.6%. We could confirm that O/W type microemulsion was stable system.
        4,000원
        6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emulsion is stable to aggregation, sedimentation, fusion and has 3nm~200nm of particle size which is transparent and semitransparent. The isoflavone as a derivatives of Flavone is colorless crystalline compounds. It has similar basic structure to steroid materials which is hormone that acts to skin physiological phenomenon. On this study, we tried to search and demonstrate system content rate of dermal translocation system for cosmetics using O/W type microemulsion containing isoflavone. We manufactured O/W microemulsions by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method. It's was found that POE(20) monostearate with HLB value 14 caused microemulsion to be formed, which had 4nm~18nm of average diameter and 3nm~33nm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pparent viscosities of the microemulsions have increased in proportion to add surfactant dose.
        4,000원
        64.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queous urethane dispersion resin begins to assume commercial importance due to increasing environmental awareness of VOC in coating industry. Moreover there have been strong industri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reactive-type polyurethane flame retardant coatings. In this study, chlorinated polyester polyols were synthesized by two step polycondensation reaction using mono chloroacetic acid, adipic acid, trimethylol propane, and 1,4-butanediol. In the next step polyurethane dispersion was prepared using these chlorinated polyester polyols and isophorone diisocyanate with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 and trimethylamine. The structure of chlorinated polyol was characterized by GPC, FT-IR and NMR. Particle size and its distribu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various dispersion parameters including molecular weight and composition of polyol, amount of DMPA, and NCO/OH ratio, etc. The effect of chlorinated polyols on flammability was also evaluated.
        4,000원
        6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smetic industries have recently developed sun-block products, which are composed of W/O or O/W emulsion system. It was very difficult for waterproofing product to show the stability in W/O emulsion with TiO2. To enhance the stability of W/O emulsion, it needs to be combined with the water and oil soluble components as the gelling agents. The emulsifiers used in W/O were 3.0% of cetyl dimethicone copolyol, 2.0% of sorbitan sesquioleate as the basic emulsifiers, and 0.6% of quaternium-18 bentonite and 1.5% of dextrin palmitate as stabilizer were used. The content of titanium dioxide was optimized up to 8.0%. Titanium dioxide was used as the UV scattering powder coated with Al2O3(UV-sperse T40/TN). The sunscreen cream prepared with W/O emulsion system by using QB and DP showed higher stability than that of W/O emulsion system by using each QB and DP. W/O emulsion from Formula 3 for passing one year was very durable more than F1 and F2. Within W/O emulsion by observing F1, F2 and F3 for one year, F3 was more excellent than F2 and F3 when they were observed at RT, 4℃, 40℃, because F3 used the mixed QB and DP in W/O emulsion. The zeta potential for F1, F2, and F3 after one year were 21, 30 and 43,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 F3 was found best stable emulsion. The in-vitro SPF value for F3 was 35 for the initial product at room temperature and also, the in-vitro SPF values of F3 was 32 for after one year. Finally, the mean in-vivo SPF value of 10 volunteers for F3 was 27.3 by the Korea cosmetic association made the rules of SPF.
        4,000원
        66.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separation of toluene/n-heptane mixture by the emulsion type liquid membrane in a batch system, the effect of surfactants on the separation factor and membrane stability were studied over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ranging from 0.1 to 1.5 wt% at the contact time of 5 and 10 minutes and the settling time 5 and 10 minutes. The surfactants used were triethanol amine lauryl sulfate. The separation factor reached its maximum value at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5 wt%.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membrane breakup reached its minium values and the separation factor showed its maximum value at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5 wt%, which confirmed that efficient separation could be effect when emulsion liquid membrane were stable because of low membrane break up.
        4,000원
        6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멀젼형 절삭유(Caltex, Trusol) 수용액을 공칭 세공크기가 0.22μm 인 Millipore사의 GVHP 막과 0.2μm인 SUS 관형막(Mott 사)이 설치된 dead-end 및 십자형흐름 정밀여과 시스템으로 각각 분리하였다. 오일입자의 분포는 0.07 내지 0.22μm의 분포이었다. 투과유속을 예측하기 위하여 cake 여과모델 (CFM)과 standard pore blocking 모델(SPBM)을 적용하였다. Dead-end 시스템에서 0.01 vol% 절삭유 수용액을 400 rpm으로 교반시켜 투과시킬 경우, 100 kPa 이하에서는 CFM 이 투과유곡을 잘 나타내었으나, 150 kPa 이상에서는 SPBM을 적용할 수 있었다. 운전압력을 60에서 200 kPa로 갑자기 증가시키면 분리막 표면에 형성된 오일층이 파괴되고, 다시 60 kPa로 감소시킬 때 반복하여 오일층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투과기구가 CFM에서 SPBM 으로 전환되는 이른바 임계압력을 추정하였으며, dead-end system에서는 약 100 kPa이었다. Reynolds 수가 7080인 십자형흐름 시스템에서 농도를 0.01에서 0.03 vol%로 증가시키면 입계압력이 약 100에서 150 kPa로 증가하였다.
        4,000원
        68.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MA-co-DAMA were synthesized from 2-diethylaminoethyl metacrylate and ethylhexyl metacrylate in acrylmonomer. To facilitate water emulsification, acrylic copolymer was cationized by acetic acid to produce acetated acrylic copolymer. The structures of the synthesized copolymer and acetated copolymers were confirmed by IR, NMR, and molecular weight was measure by GPC, and C.H.N elemental analysis. Acetated acrylic copolymers were perfectly emulsified in water and showed increased emulsion stability.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PDCM-PED) water proof agent of cement for concrete in building construction] was prepared by blending of the guaternized acrylic copolymer syndisized above, sodium silicate, sodium gluconate and oleic acid emulsion. The result with prepared polymer dispersion of cement modifier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excellent waterprooffing effect ; Water permeability ratio is 0.50 under the water pressure of 100g/cm2 and 0.60 under 3kg/cm2, and water absorption ratio is 0.42~0.50 and 1.0~1.02 compressive strength ratio at mixed of water/PDCM-PED is 50 times.
        4,300원
        69.
        1996.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novative batch electrolytic system consisted of electrolytic basin, which was equipped with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 type insoluble electrode, Ti/IrO2 anode and H-C metal cathode, and flotation separator was developed for the efficient treatment of shipboard emulsified oily wastewater. The electorod cleance and current density of elecrolytic basin to ensure maximum treatment efficiency of oily wastewater was evaluated as 6 mm, 3 A/dm3, respectively. The electrolytic efficiency of oily wastewater was affected by the operationtemperature, and it means that the temperature controller to ensure the stabiity of the process is required. The conductivity in the electrolytic basin was increased with the percentage of sea water in the oily wastewater, and over 90% of treatment efficiency of oily wastewater could be obtained at 7% of sea water. The oil removal rate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quantity of electricity, and the maximum value of electrilyic rate constant was 288 mgoil/A.mi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is study might be used for development of an efficient continuous electrolytic system treating the emulsified oily wastewater.
        4,000원
        7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멀젼 액막을 이용한 염색 폐수 내의 염료 이온 제거에 관한 연구이다. Aliquat 336을 함유한 액막과 D2EHPA를 함유한 액막으로 각각 음이온성 염료와 양이온성 염료 제거에 관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 조건하에서 실제의 염색 폐수 처리 실험을 행하였다. 직접 염료인 Sirius Red, 반응성 염료인 Reactofix Supra Blue 및 염기성 염료인 Apollo Blue를 대상으로 하여 막상의 계면활성제(Span 80)와 담체(Aliquat 336 or D2EHPA)의 농도, 내수상의 counter ion(Na2SO4) 농도, 그리고 에멀젼 투여량 등을 변화시키며 염료 제거 실험을 행하였다. 반응 5분 후에 추출 평형에 도달하였으며, 각 염료에 대하여 색소 성분의 95% 이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제막 조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담체의 농도로서 일정량 이상의 담체는 막의 물질 전달 저항을 증가시켜 색도 제거 효과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막상의 계면활성제의 양, 내수상의 counter ion의 양 및 투여 에멀젼의 양은 평형 도달 후의 최종 색도보다는 추출 속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실제 염색 폐수를 에멀젼 액막으로 2단계 처리한 결과 550nm에서의 흡광도를 초기 0.53에서 10분 후 0.03까지 낮출 수 있었다.
        4,000원
        71.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도심지의 경우 탄산화로 인한 철근부식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감소시킨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다양한 구속조건을 가지며 항상 외부의 재하하중을 받고 있다. 도입된 응력수준은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인자의 확산을 변화시키며 탄산화 깊이의 변동성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응력재하수준에 따른 탄산화 변동성을 정량화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탄산화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내구성 설계인자인 피복두께, 이산화탄소 확산계수, 탄산화 반응 수화물, 그리고 외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확률 변수로 정의하였으며, MCS을 통하여 영향인자의 변동성에 따른 내구수명을 도출하였다. 또한 응력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내구수명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결정론적인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피복두께 및 내부 수화물 생성이 내구수명 변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응력수준 을 고려한 내구수명평가는 유지관리 우선순위 설정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7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테아릴 알코올, 세틸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라마이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에멀젼의 다층구조에 따른 강화된 계면막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편광 현미경을 통해 제형 내 몰타 크로스(maltese cross) 무늬를 확인하고, cryo-SEM을 이용하여 다층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소각 X선 산란법(SAXS)을 이용하여 라멜라 구조 생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변화를 확인하고 정적 광 산란법(SLS)을 이용하여 입도 분포를 확인하여 액정에멀젼의 제형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73.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일/정제수(O/W) 나노에멀젼은 피부의 투과성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콜레스테롤, 팔미틴산과 같은 피부 각질층 지질과 세라마이드 IIIB (CIIIB)의 피부 적용을 위한 콜로이드성 운반체 역할을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와 특성화에 초점을 두었다.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자 크기, 나노에멀젼 안정성 및 CIIIB의 용해도와 관련하여 유화 공정 조건을 검토하였다. 80 ℃의 유화 온도 및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유화법을 통해 입자 크기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CIIIB는 오일 및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CIIIB의 농도가 증가하면 나노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Lipoid S75-3을 오일상에 첨가하면 CIIIB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DSC 측정에서 보여지는 일부 상호 작용을 나타냈다. CIIIB와 피부 각질층 지질은 결정화 또는 물리적 불안정성 없이 성공적으로 나노 에멀젼에 혼입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 에멀젼은 피부를 위한 효과적인 보습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7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에서는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을 Tween 80과 Span 80을 함께 사용하여 조성 상전이 유화법으로 O/W (oil-in-water) 저점도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지방알코올의 오일상에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혼합계면활성제의 HLB를 조절하여 입도 분포가 좁 고 안정한 나노에멀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전상점 부근에서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을 함유한 계 모두에서 유사 한 점도와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보였으나 오일과 계면활성제만으로 구성된 계와는 다르게 넓은 수용액상 분율 범위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냈다. 입자 크기가 100 nm 미만의 저점도 나노에멀젼은 실온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하 였다. 지방산 또는 지방알코올을 함유하고, 저에너지 유화법으로 제조된 저점도 O/W 나노에멀젼 제형은 화장품 의 기재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75.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orean mounta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re difficult to industrially apply because of its scarcity and high cost. Advances in plant bio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produce mountain ginseng on a large scale using adventitious root cultures in bio-re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osmetic emulsion using ginsenoside and physiological activity - enhanced raw materials by fermentation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were ferment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HLJG 0702 (KACC 81017BP). ginsenoside contents was analysed by using HPLC.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was measured b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fter microfluidizer processing was performed to prepare emulsions with homogenized particles,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were measur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 e(TEM). Particle stability compares pH, viscosity, light and zeta potential. When ferment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HLJG 0702, the highest change rates of Rg3, Rk1 and Rg5 were shown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increased. The whitening effect was 73.2 ± 0.9% when treated at 100 ㎍/㎖, 1.5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The optimum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were shown to be 418.0 ± 14.9 ㎚ for 6 times treatment with 0 - 10 times microfluidizer treatment. Stability was about 3% in pH, viscosity and light test. the zeta potential was found to be homogeneous at –33.33 mV. Conclusion : Pediococcus pentosaceus HLJG 0702 Fermented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were found to have effective ingredients and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y. We have also developed emulsions that exhibit optimal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76.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농도의 유동파라핀/ Span 80-Tween 80/ 정제수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혼합 경 로와 온도에 따라 형성되는 에멀젼 상태를 비교하였다. 3성분계도상에서 최종 조성에 이르는 혼합경로는 세 가 지로 구성하였다. 혼합 경로에 따라서 제조된 에멀젼의 평균 입자크기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제조 온도가 증가함 에 따라서도 에멀젼의 입자크기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혼합 온도보다는 혼합 경로에 따른 영향이 더욱 컸다.
        77.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C14-22 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로 구성된 액정에멀젼을 제조하 고 다양한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제조한 액정에멀젼을 편광현미경과 cryo-SEM을 이용하여 각각 액정에멀젼의 특징인 maltese cross 무늬와 다층 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DSC를 이용하여 액 정상 형성을 확인하였고, small angle x-ray scattering (SAXS) 분석을 통하여 약 305 Å의 층간 간격을 갖는 다층 라멜라 구조를 확인하였다. 한편, wide angle x-ray scattering (WAXS) 분석을 통해 제조된 액정에멀젼 의 라멜라 구조를 이루고 있는 알킬 사슬 간 배열이 사방정계 구조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정에멀젼 구조 연구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물성 정보는 향후 산업적으로 많이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7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정제수/Span 80-Nikkol BL 25/오일계의 water-in-oil (W/O) 나노에멀젼을 높은 온 도에서 PIC 유화로 제조하였다. 이 방법은 본 시스템에서 미세하게 분산된 저점도의 W/O 나노에멀젼의 형성을 가능케 하였다. 그러나 실온에서 PIC 방법으로 제조된 에멀젼은 나노에멀젼보다는 마크로에멀젼이 제조되었다. 유화온도가 30 ℃에서 80 ℃로 증가하면 온도에 따른 계면장력의 큰 변화의 결과로 입자 크기는 2 μ m에서 100 nm 정도로 감소하였다. 80 ℃에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50 ∼ 200 nm 범위에 있었고 내상의 분율 은 15 wt%까지 가능하였다. 또한 혼합 유화제의 최적 HLB는 7.0 부근에서 가장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 다. 제조된 나노에멀젼은 1개월 이상 실온에서 안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점도의 W/O 나노에멀젼의 형성 최적화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는 W/O 나노에멀젼의 저점도로 인한 부드러운 사용감 등으로 화장품 제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79.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미백제인 RS White를 함유한 O/W 나노에멀젼의 형성 가능성을 유화제 종류별로 실험하 였다. 친수성계면활성제로 Tween 80, 60, HCO 60 및 40과 친유성 계면활성제로 Span 80을 사용한 시스템 에서는 적정한 농도에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으나 Myrj 52, Montanov L 및 Tegocare 450과 Span 80을 사용한 시스템에서는 형성되지 않았다. 형성된 나노에멀젼은 입자의 직경이 100 nm 미만의 반투명 외관을 보 였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평가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이들의 경피흡수 정도를 마크로에멀젼과 비 교한 결과 24 h 동안 피부 투과량은 나노에멀젼은 70.84 μg/cm2, O/W 마크로에멀젼은 28.97 μg/cm2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RS White 미백제를 함유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기능성 소재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 체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80.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중 수형 에멀젼은 우수한 수분 증발 차단력 및 통기성 밀폐막 형성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점도 안정화가 쉽지 않아 다양한 화장품 제형 적용에 한계성을 지녀왔다. 본 연구에서는 유중 수형 에멀젼 형성에 있어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 양이온성 유화제 간의 상호 관계가 제형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 존재 하에 양이온 유화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에는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다가 일정 농도 이상에서는 하락되고, 더욱 농도가 증가하면 전상이 일어나는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비이 온성 유화제 1.0 ∼ 4.0 wt% 사용 조건에서 실리콘 계 마이크로 사이즈 분체 2.5 wt%와 양이온 유화제 0.1 ∼ 0.5 wt%를 사용할 경우 흐름성 있는 범위의 점도까지(2000 ∼ 5000 cps) 낮추면서도 분체의 분산성과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높인 유중 수형 에멀젼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1 2 3 4 5